$\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골다공증과 체질량지수의 관계에 관한 이론적 고찰
Relationship Between Osteoporosis and Body Mass Index among the Elderly: A Theoretical Review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5 no.1, 2018년, pp.25 - 36  

안경주 (청주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literature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BMI) and bone mineral density (BMD) in elderly using an integrative review. Methods: The keywords 'osteoporosis,' 'body mass index,' and 'bone mineral density' were used to search pe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여성호르몬의 영향을 최소화한 상태에서 골다공증과 BMI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폐경기가 10년 이상 지난 연령층인 65세 이상의 남녀 노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조사연구를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또한,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선행연구들에서 최근 골다공증과 BMI와의 관계에 대해 일관성 있는 결과가 나타나지 않음으로써 향후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중재 개발시 의료진을 혼동하게 할 수 있으므로 이에 관한 선행연구들을 통합적 문헌 고찰을 통해 분석해 볼 필요가 있다.
  • 통합적 고찰 방법론에서 자료의 질 평가는 복합적이기 때문에 질을 평가하는 데에 정석이 되는 표준은 없다[1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노인의 골다공증과 BMI에 대해 연구를 수행한 모든 일차 문헌들을 합성하기 위한 통합적 고찰의 목적에 따라 체계적 고찰이나 메타분석에서 사용하는 개별 연구에 대한 실증적인 평가를 실시하지 않았고 본 연구의 선정 기준과 제외 기준에 적합한 논문인지를 평가하였다[17]. 통합적 고찰에서는 질적 연구도 포함하여 분석할 수 있으나 골다공증에 관한 질적 연구는 검색되지 않았기 때문에 본 통합적 고찰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가 포함되지 않았다.
  • 또한 대부분의 골다공증 논문은 폐경기와 관련된 여성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아 성호르몬의 영향이 커서 혼동변수로 영향을 줄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호르몬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골다공증과 BMI와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의 연구문제는 ‘노인에서 골다공증과 BMI는 어떠한 관계에 있는가?’이다.
  • 본 연구는 1997년 1월부터 2017년 8월까지 발행된 논문 중 65세 이상 노인 대상으로 골다공증과 BMI의 관계에 대해 조사한 관련 연구를 통합적 고찰로 분석하여, 향후 증가하는 노인 골다공증 및 골절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Whittemore와 Knaf [17]이 제시한 5단계의 절차에 따라 노인들의 골다공증과 BMI와 관련된 논문을 이론적으로 통합적 고찰하고 분석한 문헌고찰 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노인에서의 골다공증과 BMI의 관계에 관한 국내·외 연구를 고찰하고 그 결과에 대한 논리적 근거와 이해를 증진시키기 위해 Table 1에 일차 문헌의 주요 내용을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노인을 대상으로 한 골다공증과 체질량지수의 관계에 대해 통합적 문헌 고찰 방법을 이용해 다양한 일차 자료들을 분석함으로써 노인에서의 골다공증과 체질량지수의 관계를 총체적으로 분석하여 의미있는 결과를 얻었다. 본 연구 결과, 1편을 제외한 7편의 연구결과를 통해 기존의 이론대로 노인의 BMI가 높을수록 BMD도 높은 편이라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상 노인에서 골다공증과 BMI와의 관계를 통합적 문헌고찰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BMI가 노인의 골다공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하여 노인의 골다공증 예방을 위한 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 자료 분석 단계에서 최종 8편의 논문을 읽고 분석한 내용을 추출하고 기록하고 자료들을 비교하여 연구 문제에 대한 통합된 분석을 수행하였다[17]. 특히 연구 대상자인 노인의 골다공증과 BMI의 상관관계가 성별에 따라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관해 고찰하였다. 자료 분석의 최종 단계에서는 각 자료의 중요한 분석결과를 통합하여 연구문제에 대한 통찰을 제공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골다공증은 어떤 질환인가? 일반적으로 골다공증은 뼈의 무기질과 단백질이 줄어들어 뼈의 질량(Bone mass)이 감소되고 뼈의 골수강에 빈 공간이 늘어나서 골미세조직이 엉성하게 됨으로써 골절의 위험이 높아지는 점진적인 골격 질환이다[1]. 
뼈의 골밀도는 어떤 연령대에서 제일 높나? 뼈의 골밀도(Bone Mineral Density, BMD)는 30-35세에 가장 높고 그 후 골형성과 골흡수가 균형을 이루어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되다가 노화가 진행되면서 매년 약 1% 정도의 골소실이 발생하여 BMD가 감소한다. 특히 여성의 경우, 폐경기 이후 에스트로겐 분비가 감소되어 폐경 후에는 폐경 전에 비해 골소실이 2배 이상으로 증가하여 BMD가 급격히 감소된다[2].
남성 노인에서의 골다공증이 주목받지 못하는 이유는? 한편, 노인의 골다공증에 대한 일반적인 생각은 폐경 후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 감소 때문에 중년과 노년 여성에서 골다공증이 많이 발생하고 남성 노인의 골다공증은 많지 않을 것으로 생각하였으므로 노인 골다공증은 여성 질환이라고 여겨졌었다. 하지만 남성 노인의 경우에는 여성처럼 폐경 이후 뼈 소실이 빠르게 일어나는 것과 같은 경험을 하지 않지만, 남성 또한 나이의 증가와 함께 천천히 뼈 소실이 진행되고 있어 60대 이후 평균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im KH, Lee JH, Yeo JD. The bone mineral density impact factors of adult women before the menopause - based o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adiology. 2015;9(3):147-168. https://doi.org/10.7742/jksr.2015.9.3.147 

  2. Chung JE, Hwang SJ, Kim MJ, Song JY, Cho HH, Kwon DJ, et al. Relationship between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in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nopause. 2010;16:29-38. 

  3. Korea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National Health Insurance Expenditure Trends Report in 2015 [update 2014 Sep 30; cited 2016 Dec 13]. 2016. Available from: https://www.hira.or.kr/dummy.do?pgmidHIRAA030096040000&cmsurl/cms/medi_info/08/01/02/1350906_27018.html&subject 

  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 Preventio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12 [update 2013 Dec 24; cited 2018 Mar 26].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3.do?classType7 

  5. Kim JH, Choi HJ, Kim MJ, Shin CS, Cho NH. Fat mass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bone mineral content in Koreans. Osteoporosis International. 2012;23:2009-2016. https://doi.org/10.1007/s00198-011-1808-6 

  6. Reid IR. Relationship among body mass, its components, and bone. Bone. 2002;31(5):547-55. 

  7. Albala C, Yanez M, Devto E, Sostin C, Zeballos L, Santos JL. Obesity as a protective factor for postmenopausal osteoporosis.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 Related Metabolic Disorders. 1996:20(11);1027-1032. 

  8. Ravn P, Cizza G, Bjarnason NH, Thompson D, Daley M, Wasnich RD, et al. Low body mass index is an important risk factor for low bone mass and increased bone loss in early postmenopausal women. Journal of Bone & Mineral Research. 1999;14(9):1622-1627. https://doi.org/10.1359/jbmr.1999.14.9.1622 

  9. Mpalaris V, Anagnostis P, Goulis DG, Iakovou1 I. Complex association between body weight and fracture risk in postmenopausal women. Obesity Reviews. 2015;16:225-233. https://doi.org/10.1111/obr.12244 

  10. Lim J, Jung J, Park C, Dong K, Kim H, Kim S. Relationship analysis of osteoporosis and body mass index (BMI) in the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Radiology. 2011;5(6):363-367. https://doi.org/10.7742/jksr. 2011.5.6.363 

  11. Carsote M, Peretianu D, Valea A. Obesity and fracture: Between black and white aspects. Journal of Obesity & Weight Loss Therapy. 2015;5(6):1-5. https://doi.org/10.4172/2165-7904.1000288 

  12. D'Amelio P, Isaia GC. Male osteoporosis in the elderly. International Journal of Endocrinology. 2015;Article ID 907689, 8 pages. https://doi.org/10.1155/2015/907689 

  13. Center JR, Nguyen TV, Schneider D, Sambrook PN, Eisman JA. Mortality after all major types of osteoporotic fracture in men and women: An observational study. The Lancet. 1999;353(9156):878-882. https://doi.org/10.1016/S0140-6736(98)09075-8 

  14. Jang YH, An YJ, Cho SH, Ju JY, Han SH.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bone mineral density of lumbar spine in men.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2015;5(3):327-331. 

  15. Kim YR, Nam HS, Lee TY. The bone density level of Korean men aged 60 years and over, and its relevant factor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3):1180-1190. https://doi.org/10.5762/KAIS.2013.14.3.1180 

  16. Prelevic GM. Osteoporosis in men. Journal of Royal Society of Medicine. 2001;94(12):620-623. 

  17. Whittemore R, Knafl K. The integrative review: updated methodolog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5;52(5):546-53. https://doi.org/10.1111/j.1365-2648.2005.03621.x 

  18. Conn VS, Ranz MJ. Managing primary study quality in meta-analyses.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03;26:322-333. https://doi.org/10.1002/nur.10092 

  19. Makovey J, Nganathan V, Sambrook P. Gender differences in relationships between body composition components, their distribu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a cross-sectional opposite sex twin study. Osteoporosis International. 2005;16:1495-1505. https://doi.org/10.1007/s00198-005-1841-4 

  20. Kawai M, de Paula FJA, Rosen CJ. New insights into osteoporosis: The bone-fat connectio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2012;272:317-329. https://doi.org/10.1111/j.1365-2796.2012.02564.x 

  21. Reid IR. Adipokine effects on bone. Clinical Reviews in Bone & Mineral Metabolism. 2009;7:240-248. https://doi.org/10.1007/s12018-009-9048-4 

  22. Thomas T. The complex effects of leptin on bone metabolism through multiple pathways. Current Opinion in Pharmacology. 2004;4:295-300. https://doi.org/10.1016/j.coph.2004.01.009 

  23. Legiran S, Brandi ML. Bone mass regulation of leptin and postmenopausal osteoporosis with obesity. Clinical Cases in Mineral & Bone Metabolism. 2012:9(3):145-149. 

  24. Fujita Y, Watanabe K, Maki K. Serum leptin levels negatively correlate with trabecular bone mineral density in high-fat diet-induced obese mice. Journal of Musculoskeletal & Neuronal Interactions. 2012;12:84-94. 

  25. Biver E, Salliot C, Combescure C, Gossec L, Hardouin P, Legroux-Gerot I, et al. Influence of adipokines and ghrelin on bone mineral density and fracture risk: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lgy & Metabolism. 2011;96:2703-2713. https://doi.org/10.1210/jc.2011-0047 

  26. Zhao LJ, Liu YJ, Liu PY, Hamilton J, Recker RR, Deng HW. Relationship of obesity with osteoporosis. The Journal of Clinical Endocrinology & Metabolism. 2007;92(5):1640-1646. https://doi.org/10.1210/jc.2006-0572 

  27. Compston JE, Watts NB, Chapurlat R, Cooper C, Boonen S, Greenspan S, et al. Obesity is not protective against fracture in postmenopausal women: GLOW. American Journal of Medicine. 2011;124:1043-1050. https://doi.org/10.1016/j.amjmed. 2011.06.013 

  28. Seeman E. Pathogenesis of bone fragility in woman and men. The Lancet. 2002;359:1841-1850. https://doi.org/10.1016/S0140-6736(02)08706-8 

  29. Kirchengast S, Huber J. Sex-specific associations between soft tissue body composition and bone mineral density among older adults. Annals of Human Biology. 2012;39(3):206-213. https://doi.org/10.3109/03014460.2012.676067 

  30. Cho KS, Kim HK, Park SO, Bae YS, Hwang ON, Kwon BE et al. Medical-Surgical nursing, 6th ed. Seoul: Hyunmunsa; 2013. p3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