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료포락분석을 활용한 일 병동 간호사의 성과평가 방안
Performance Evaluation of Nurses in a General Ward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5 no.1, 2018년, pp.67 - 77  

박연홍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대학원) ,  임지영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iciency of general ward nurses in hospitals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Methods: Participants were 30 nurses working at a general ward. Input variables were labor cost and time of direct nursing. Output variables were prevention r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향후 조직 내 인력의 인사고과나 성과평가 시 객관적인 효율성의 결과에 근거함으로서 분배공정성과 절차공정성을 높일 수 있고, 대상자 간의 효율성 기준의 비교우위 제시가 가능한 자료포락분석은 그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Wagner 등[10]의 연구를 바탕으로, 종합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자료포락분석을 적용하여 간호사 간의 상대적 효율성을 분석하고, 이를 인사고과의 성과평가 방법으로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과란 조직내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는가? 성과는 조직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며,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는 개념으로 조직 차원에서 주로 언급되는 성과평가는 조직구성원의 직무가 어느 정도 성공적으로 달성 되었는지의 여부를 의미한다[2]. 간호사의 성과평가 목적은 간호조직에서 정한 간호 수행이나 목표가 얼마나 잘 이루어졌는가를 확인하여, 간호조직의 생산성을 높이고 궁극적으로는 환자에게 수준 높은 간호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3].
자료포락분석의 여러 모형 중 CCR 모형을 활용한 일반 병동 간호사의 효율성 분석 결과는 어떠했는가? CCR 모형에 의한 일반 병동 간호사의 효율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Table 3). 전체 30명의 대상자 중 3, 4, 6, 10, 11, 12, 16, 19, 20, 25, 27번 대상자의 효율성이 ‘1’로 나타나 11명의 간호업무 효율성이 상대적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대상자의 평균 효율성 점수는 0.986으로 나타나 전반적인 간호사의 업무 효율성이 매우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자료포락분석은 조직과 관련된 연구수행시 어떤 용도에 활용되는가? 이러한 자료포락분석은 여러 조직에서 효율성 분석과 성과 평가에 활용되어 왔는데, Kim [8]은 수련병원간의 훈련 성과에 대한 효율성을, Lee와 Lim [9]은 종합병원 병동간의 간호 업무 효율성을, Im과 Lim [7]은 종합병원 외래간호단위의 업무효율성을 분석, 제시하였다. 이제까지는 주로 조직을 의사결정단위로 하여 조직효율성을 평가하는데 자료포락분석을 활용하여 왔으나, 최근에는 이의 적용 범위가 점차 개인을 의사결정단위로 하여 개인의 업무성과를 평가하는 영역으로 확대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Lee IS, Baek JH, Jeon MK. The effect of person-environment fi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Korean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010; 23(4):1951-1967. 

  2. Ko YK, Lee TW, Lim JY. Development of a performance measurement scale for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07;37(3):286-294. http://dx.doi.org/10.4040/jkan.2007.37.3.286 

  3. Park SA, Park KO, Kim SY, Sung YH. A development of standardized nurse performance appraisal tool.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7;(1):197-211. 

  4. Park SA, Kim JH, Park KO, Kim MS, Kim SY. Development a tool for evaluating nurses' performance in hospital uni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9;15(2): 5-21. 

  5. Lee EH, Ahn SH. Development of key indicators for nurses performance evaluation and estimation of their weights for management by objectiv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0;40(1):69-77. http://dx.doi.org/10.4040/jkan.2010.40.1.69 

  6. Lim JY, Kim MJ, Park CG, Kim JY. Evaluation of efficiency of community visiting health service units - a demonstration of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The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11;17(1):54-65. https://doi.org/10.11111/jkana.2011.17.1.54 

  7. Im HB, Lim JY. Evaluation of efficiency of outpatient clinic in a general hospital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012;19(1):11-18. 

  8. Kim SN. Efficiency evaluation of teaching hospital with DEA [master's thesis]. Incheon: Inha University; 2004. 

  9. Lee SY, Lim JY. Evaluation of the efficiency of general nursing units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011;18(2):118-125. 

  10. Wagner JM, Shimshak DG. Novak MA. Advances in physician profiling: the use of DEA. Socio-Economic Planning Sciences. 2003;37(2):141-163. https://doi.org/10.1016/S0038 -0121(02)00038-1 

  11. Lee HW, Yu SH, Lee HJ, Park CI. Development of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ators in S hospital. Korea Journal of Hospital Management. 2000;5(1):1-23. 

  12. Yoo KR. Data envelopment analysis for assessing the relative efficiency of public sector. The Korean Association for Local Government and Administration Studies. 2000;14(2):1-20. 

  13. Charnes A, Cooper WW, Rhodes E. Measuring the efficiency of decision making units. European Journal of Operational Research. 1978;2(6):429-444. https://doi.org/10.1016/0377 -2217(78)90138-8 

  14. Gloany B, Roll, Y, Ryback D. Measuring efficiency of power plants in Israel by data envelopment analysis. IEEE Transactions on Engineering Management. 1994;41(3):291-301. https://doi.org/10.1109/17.310144 

  15. Lynn MR.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1986;35(6):382-385. http://dx.doi.org/10.1097/00006199-198611000-00017 

  16. Manoharan TR, Muralidharan C, Deshmukh SG. Employee performance appraisal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a case study. Research and Practice in Human Resource Management. 2009;17(1):92-111. 

  17. Yoo KR. Measuring and evaluation of a efficiency in public sectors. Seoul:Daeyoung Publishing; 2004. p. 38-40. 

  18. Kim SH, Choi TS, Lee DW. Efficiency analysis. Seoul: Seoul Economy and Business; 2007. p. 7-15. 

  19. Fare, R, Grosskopf S, Kokkelenberg EC. Measuring plant capacity, utilization and technical change: A nonparametric approach. International Economic Review, 1989;30:655-666. https://doi.org/10.2307/2526781 

  20. Lim JY, Kim MJ, Park CG, Kim JY. Evaluation of efficiency of community visiting health service units: A demonstration of using data envelopment analysis (D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1;17(1): 54-65. 

  21. Song KJ, Kim EH, Yoo CS, Park HO, Park KO. Development of KPCS( Korean Patient Classification System for Nurses) based on nursing need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09;15(1):5-17. 

  22. La Monica EL, Oberst MT, Madea AR. Wolf RM. Development of a patient satisfaction scale. Research in Nursing and Health, 1987;9(1):43-50. 

  23. Yang EJ. The comparison of contentment and its importance in nurse service which both patients and nurses can feel [master's thesis]. Seoul: Kyunghee University;2002. 

  24. Kim JH. Analysis of relative efficiency of the public health care post and its related factors [dissertation]. Seoul: Yonsei University;2003. p. 87-1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