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목표관리를 적용한 간호사 성과평가 핵심 지표개발과 가중치 산정
Development of Key Indicators for Nurses Performance Evaluation and Estimation of Their Weights for Management by Objective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0 no.1, 2010년, pp.69 - 77  

이은화 (가톨릭대학교 성모병원 간호부 간호팀) ,  안성희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methodological research was designed to develop performance evaluation key indicators (PEKIs) for management by objectives (MBO) and to estimate their weights for hospital nurses. Methods: The PEKIs were developed by selecting preliminary indicators from a literature review, examining content 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사 성과평가를 위한 핵심지표를 개발하고 지표의 가중치를 산정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연구의 결과, 성과평가 1차 예비지표 100개가 구성되었고, 100개 지표의 내용 타당도를 조사하여 2차 예비지표 61개가 선정되었다.
  • 본 연구는 목표관리를 적용하여 간호사 성과평가를 시행하는 병원을 중심으로 성과평가 지표 개발 및 가중치 산정을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병원 간호사의 성과평가 핵심지표를 개발하고, 지표의 영역에 따른 가중치를 산정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이에 본 연구는 병원 간호사의 성과평가 핵심지표 개발과 지표영역의 가중치를 산정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간호사 업무성과의 객관적이고 공정한 평가 체계와 성과보상 시스템의 구축을 위한 근거가 될 수 있다고 본다.

가설 설정

  • 셋째, 성과평가핵심지표의영역을분류하고가중치를산정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성과란 무엇인가? 성과는 설정한 목표달성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계량적으로 표현한 것으로(Kim, 2005), 조직은 목표설정을 통해 달성해야 할 목적, 내용, 수준 및 일정 등을 분명히 하게 된다(Lee, 2002).
성과관리를 위한 총체적 경영관리 시스템의 하나인 목표관리 방법이란 무엇인가? 성과관리를 위한 총체적 경영관리 시스템의 하나인 목표관리 (Management by Objectives, MBO)는 목표 설정, 실행, 평가 단계를 거치며, 조직과 개인의 합치된 목표를 추진하고 동기를 부여함으로서(Fain & Sheathelm, 1984; Lee, 2007; Nauta & Sanders, 2001) 조직의 가치와 성과를 직접적으로 향상시키는 실무중심의 접근방법이다(Fain & Sheathelm, 1984).
Kaplan과 Norton (1992)의 균형성과표를 적용한 간호조직의 성과평가 지표의 한계는 무엇인가? 그러나 BSC를 적용한 간호조직의 성과평가 지표(Kim, 2005; Kim et al., 2005)는 지표의 수가 70개 이상으로 수가 많고, 신규간호사 이직률, 경력간호사 이직률, 간호관리 등급, 적정재고 유지율, 장비 사용률, 린넨류 망실률, 병상 회전율, 병상 이용률, 병동 운영비 등으로 병동 운영관리 차원의 지표들로서 간호사에게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Lee (2002)의 목표관리에 의한 간호사 업무수행 평가 도구개발에서 도출된 지표는 유용성 검증 결과 세부적인 지표가 포함되지 못하였고, 다양성이 부족하고 구체적이지 않다는 한계점을 연구 대상자로부터 지적받았음을 명시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Cronin, S. N., & Becherer, C. D. (1999). Recognition of staff nurse job performance and achievement. Journal of Nursing Administration, 29, 26-31. 

  2. Curtright, J. W., Stolp-Smith, S. C., & Edell, E. S. (2000). Strategic performance management: Development of a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at the mayo clinic. Journal of Healthcare Management, 45, 58-68. 

  3. Fain, J. A., & Sheathelm, H. H. (1984). Management by objectives: As applied to nursing service. Nursing Forum, 21, 68-71. 

  4. Hyun, C. K. (2003). The effect of the discrepancy between perceived importance and usage of BSC on the perception of fairness of performance appraisal.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sung University, Busan. 

  5. Jang, K. S., Kim, Y. M., Kim, N. Y., & Chung, K. H. (2005). An analysis on the contents and the trend of research of performance appraisal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1, 89-104. 

  6. Jang, K. S., Lee, S. Y., Kim, Y. M., Hwag, S. Y., Kim, N. Y., Ryu, S. A., et al. (2005). Development of clinical performance indicators for establishing a connecting system between hospital performance management and quality improve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1238-1247. 

  7. Jang, R. H. (2003). The decision making supporting system to set efficient weights in making a decision using AHP.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8. Kang, K. H. (2003). Development of the balanced scorecard (BSC) for the hospital nursing uni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9. Kang, K. H., & Kim, I. S. (2005). Development of performance measure indicators in hospital nursing uni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5, 451-460. 

  10. Kaplan, R. S., & Norton, D. P. (1992). The balanced scorecard measures that drive performance. Harvard Business Review, 70, 71- 79. 

  11. Kim, E. J. (2005). Development of the business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ators based on non-profit organization balanced scorecard (BSC) for self-operated school foodservice operation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2. Kim, I. S., Lee, H. J., Kang, K. H., & Jang, S. J. (2005). A survey for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ators of nursing organizations in hospital.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1, 385-399. 

  13. Kim, Y. S. (2006). Development of performance measurement indicators for nursing on delivery uni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4. Lee, J. A. (2000). A study on the performance measurement and compensation management of multinational companies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15. Lee, J. C. (2003). A study on the operation and effectiveness of management by objectives (MBO) syst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rsity, Seoul. 

  16. Lee, J. Y. (2007). An empirical study on the effect on the characteristics of goal setting theory on efficiency of MBO: Focusing on mediating role of reliability on estimation and compens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17. Lee, Y. A. (2003). Development of peer evaluation tool for operating room nurs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8. Lee, Y. S. (2002). Development of nursing performance appraisal tool using management by objectiv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9. Nauta, A., & Sanders, K. (2001). Causes and consequences of perceived goal differences between department within manufacturing organizations.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74, 321-342. 

  20. Park, S. H. (2004). Development of the criteria of performance evaluation for hematopoietic stem cell transplantation un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1. While, A. E. (1994). Competence versus performance: Which is more important.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 525-531. 

  22. Yoo, J. I. (2001). Development of a performance measurement system for the perioperative nursing unit using the balanced scorecard (BSC).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