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BAR를 이용한 의사소통이 간호사의 의사소통 인식과 환자안전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BAR Communication on Nurse's Perception about Communication and Attitudes toward Patient Safety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4 no.1, 2018년, pp.23 - 33  

김미영 (삼성서울병원 간호팀) ,  김경숙 (삼성서울병원 간호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BAR communication program on nurse's perception about communication and attitudes toward patient safety. Methods: A single-group pre-post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A SBAR education program was provided to 167 nurses work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SBAR 교육과 사용이 간호사의 의사소통 인식 정도와 안전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는 단일군 사전-사후 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는 의료진 간 안전한 의사소통을 정착시키기 위해 의사소통의 주체인 간호사와 의사 모두에게 SBAR 교육을 시행하고 임상현장에서의 적용을 통하여 그 효과를 검증한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임상에서의 표준화된 의사소통 도구인 SBAR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병원의 의사소통에 사용했을 때 간호사의 의사소통 인식과 안전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음을 보고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의료진간 의사소통에서 SBAR 사용을 권장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및 활용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 본 연구는 표준화된 의사소통 도구인 SBAR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을 시행한 후 임상현장에서 간호사-의사, 간호사-간호사 간 의사소통에서 SBAR 사용이 간호사의 의사소통 인식 정도와 환자 안전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표준화된 의사소통 도구인 SBAR를 임상현장에 정착시키기 위해 SBAR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간호사와 의사 모두를 대상으로 교육과 적용을 시행하여 임상 현장에서 SBAR 사용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의사소통과 안전의식에 대한 태도의 세부항목별 분석을 통하여 SBAR 적용 전, 후 구체적 변화를 확인하였고, 향후 적용 시 고려해야 할 점을 발견하여 제시하였다는 점에도 의의가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병원 내 간호사와 의사 간 안전한 의사소통의 향상을 목적으로 국내 병원 실정에 맞는 SBAR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의사소통의 주체인 간호사와 의사 모두에게 교육을 시행하여 임상현장 의사소통에서의 SBAR를 사용하도록 한 후 간호사의 의사소통 인식 정도와 환자 안전에 대한 태도의 변화를 통해 SBAR의 교육과 적용이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SBAR 교육과 사용이 간호사의 의사소통 인식을 향상시킬 것이다.
  • 2) SBAR 교육과 사용이 간호사의 환자 안전에 대한 태도를 향상시킬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SBAR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SBAR는 미국 해군에서 대형사고의 위험을 불러일으키는 잘못된 의사소통을 감소시키기 위해 정형화된 대본으로 개발되었고, 의료현장에는 2003년 의사와 간호사의 구조화된 의사소통 형태로 Kaiser Permanante에서 처음 사용하였다[7]. SBAR는 상황(Situation), 배경(Background), 사정(Assessment), 권고(Recommendation)의 4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황(S)은 환자의 상태 또는 발생한 문제에 대한 설명이고, 배경(B)은 현재의 문제와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전달한다. 사정(A)은 측정 및 관찰된 데이터를 중심으로 현재 수집된 정보와 지난 처치 이후 변화된 내용 등 전반적인 분석 자료를 포함하고, 권고(R)는 정보를 전달하는 사람이 어떤 중재 또는 어떤 변화를 기대하는지에 대한 의견 등을 언급한다.
의료진간 정확한 의사소통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의료현장에서는 환자의 안전과 의료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활동들을 강구하고 있다. 이 중 복잡한 의료현장에서 간호사와 의사 간 정확한 의사소통은 오류 발생 감소, 의료의 질 향상, 입원기간 단축, 의료진의 스트레스 감소 및 만족도 향상, 그리고 환자 만족도 향상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어 그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1-3]. 미국의 The Joint Commission의 보고에 의하면 2015년 한 해 동안 미국 내 적신호 사건의 원인 상위 10개 중 3위가 의사소통의 문제이었고, 2004∼2015년까지 10년간의 치료지연 원인의 1위가 의사소통이었다[4].
SBAR는 언제 개발되어 사용되기 시작하였는가? The Joint Commission과 Institute for Healthcare Improvement (IHI)는 의료진간 정확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표준화된 의사소통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의사소통 도구로 SBAR (Situation-Background-Assessment-Recommendation) 사용을 권고하고 있다[5,6]. SBAR는 미국 해군에서 대형사고의 위험을 불러일으키는 잘못된 의사소통을 감소시키기 위해 정형화된 대본으로 개발되었고, 의료현장에는 2003년 의사와 간호사의 구조화된 의사소통 형태로 Kaiser Permanante에서 처음 사용하였다[7]. SBAR는 상황(Situation), 배경(Background), 사정(Assessment), 권고(Recommendation)의 4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황(S)은 환자의 상태 또는 발생한 문제에 대한 설명이고, 배경(B)은 현재의 문제와 관련된 배경 정보를 전달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Randmaa M, Martensson G, Leo Swenne C, Engstrom M. SBAR improves communication and safety climate and decreases incident reports due to communication errors in an anaesthetic clinic: A prospective intervention study. BMJ Open. 2014;4(1):e004268. http://dx.doi.org/10.1136/bmjopen-2013-004268 

  2. Bornemann-Shepherd M, Le-Lazar J, Makic MB, DeVine D, McDevitt K, Paul M. Caring for inpatient boarders in the emergency department: improving safety and patient and staff satisfaction.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2015;41(1): 23-29. https://doi.org/10.1016/j.jen.2014.04.012 

  3. Manojlovich M, DeCicco B. Healthy work environments, nursephysician communication, and patients' outcomes. American Journal of Critical Care. 2007;16(6):536-543. 

  4. The Joint Commission. Sentinel event data: Root causes event type 2004-2015 [Internet]. Oakbrook Terrace, IL: The Joint Commission; 2016 [cited 2016 September 20]. Available from: https://hcupdate.files.wordpress.com/2016/02/2016-02-se- root-causes-by-event-type-2004-2015.pdf. 

  5. The Joint Commission. Improving patient and worker safety: opportunities for synergy, collaboration and innovation [Internet]. Oakbrook Terrace, IL: The Joint Commission; 2012 [cited 2014 January 30]. Available from: https://www.jointcommission.org/assets/1/18/TJC-Impro vingPatientAndWorkerSafety-Monograph.pdf. 

  6. Institute for Healthcare Improvement. SBAR tool: Situation-background-assessment-recommendation [Internet]. Boston, MA: Institute for Healthcare Improvement; 2015 [cited 2016 September 21]. Available from: http://www.ihi.org/resources/Pages/Tools/SBARTechniq ueforCommunicationASituationalBriefingModel.aspx. 

  7. Thomas CM, Bertram E, Johnson D. The SBAR communication technique: Teaching nursing students professional communication skills. Nurse Educator. 2009;34(4):176-180. 

  8. Doucette JN. View from the cockpit: what the airline industry can teach us about patient safety. Nursing. 2006;36(11):50-53. 

  9. De Meester K, Verspuy M, Monsieurs KG, Van Bogaert P. SBAR improves nurse-physician communication and reduces unexpected death: A pre and post intervention study. Resuscitation. 2013;84(9):1192-1196. 

  10. Woodhall LJ, Vertacnik L, McLaughlin M. Implementation of the SBAR communication technique in a tertiary center. Journal of Emergency Nursing. 2008;34(4):314-317. 

  11. Panesar RS, Albert B, Messina C, Parker M. The effect of an electronic SBAR communication tool on documentation of acute events in the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 American Journal of Medical Quality. 2016;31(1):64-68. 

  12. Hyun MS, Cho HJ, Lee MA. Effect of SBAR-collaborative communication program on the nurses'communication skills and the collaboration between nurses and docto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6;22(5): 518-530. 

  13. Shortell SM, Rousseau DM, Gillies RR, Devers KJ, Simons TL. Organizational assessment in intensive care units (ICUs): Construct development,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CU nursephysician questionnaire. Medical Care. 1991;29(8):709-726. 

  14. Cho YA, Kim MK, Cho MS, Nam EY. Nurses' communications with health professional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3;19(1):20-32. 

  15. Sexton JB, Helmreich RL, Neilands TB, Rowan K, Vella K, Boyden J, et al. The safety attitudes questionnaire: Psychometric properties, benchmarking data, and emerging research. BMC Health Services Research. 2006;6:44. https://doi.org/10.1186/1472-6963-6-44 

  16. Kim KJ, Han JS, Seo MS, Jang BH, Park MM, Ham HM, et al. Relationship between intra-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safety attitude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2;18(2):213-221. https://doi.org/10.11111/jkana.2012.18.2.213 

  17. Schwendimann R, Zimmermann N, Kung K, Ausserhofer D, Sexton B. Variation in safety culture dimensions within and between US and Swiss Hospital units: An exploratory study. BMJ Quality & Safety. 2012;22(1)32-41. 

  18. Branch RM. Instructional design: the ADDIE approach. Boston, MA: Springer; 2009. p. 2-4. 

  19. Cha BK, Choi J. A comparative study on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ies: Comparing university hospital nurses and small hospit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5;21(4):405-416. 

  20. Redley B, Botti M, Wood B, Bucknall T. Interprofessional communication supporting clinical handover in emergency departments: An observation study. Australasian Emergency Nursing Journal. 2017;20(3):122-130. 

  21. McVee MB, Dunsmore K, Gavelek JR. Schema theory revisited.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2005;75(4):531-566. 

  22. Vardaman JM, Cornell P, Gondo MB, Amis JM, Townsend-Gervis M, Thetford C. Beyond communication: The role of standardized protocols in a changing health care environment. Health Care Management Review. 2012;37(1):88-97. 

  23. Stephen KR. Cognition: theory and applications. 9th ed. Park GS, translator. Seoul: Cengage Learning Korea Ltd; 2015. p. 293. 

  24. Tjia J, Mazor KM, Field T, Meterko V, Spenard A, Gurwitz JH. Nurse-physician communication in the long-term care setting: Perceived barriers and impact on patient safety. Journal of Patient Safety. 2009;5(3):145-152. 

  25. Andreoli A, Fancott C, Velji K, Baker GR, Solway S, Aimone E, et al. Using SBAR to communicate falls risk and management in inter-professional rehabilitation teams. Healthcare Quarterly. 2010;13:94-10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