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결핵 환자의 흡연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Smoking Behavior in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4 no.1, 2018년, pp.103 - 112  

김민서 (국립목포병원) ,  조숙희 (국립목포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factors affecting smoking behavior in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30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 at a national tuberculosis hospital. Using a descriptive survey design, data were collected from January to March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흡연행위의 중단이 절실한 폐결핵 환자를 대상으로 흡연행위의 주요 원인이라고 제시되는 심리적 변인인 우울, 스트레스 및 금연 관련 자기효능감 간의 관련성 및 흡연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여 향후 폐결핵의 재발 및 사망률 감소를 위한 효과적인 금연교육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폐결핵 환자를 대상으로 흡연과 우울, 스트레스 및 금연 관련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와 흡연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폐결핵 환자의 흡연과 우울, 스트레스 및 금연 관련 자기효능감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 흡연행위에 영향을 미치 는 관련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폐결핵 환자의 금연중재의 근거 확보 및 효과적인 금연 중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를 제시하고자 시도되었으며 주요 연구결과에 대해 논의해 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폐결핵 환자의 흡연행위와 관련된 심리적 변인인 우울, 스트레스 및 금연 관련 자기효능감의 수준을 파악하고 흡 연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 구결과, 성별, 직업 유무, 우울, 금연 관련 자기효능감이 흡연행 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남성인 경우, 직업 이 있는 경우, 우울 수준이 높을수록, 금연 관련 자기효능감이 낮을수록 흡연할 위험비가 증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의 결핵 사망률은? 우리나라는 높은 경제 성장률로 경제적 부유함과 국민의 영양상태가 전반적으로 개선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OECD 가입국 중 결핵 발생률, 결핵 사망률 1위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다. 결핵은 우리나라의 3군 법정 감염병으로 한 해 신 환자 수만 2001년 34,123명에서 2015년 32,191명으로 매년 3만 명 이상의 결핵 환자가 발생하고 2천명 이상이 결핵으로 사망하고 있어, 우리나라 감염성 질환으로 인한 사망에서 여전히 1위를 차지하고 있다[1].
흡연은 폐결핵과 어떤 연관을 가지는가? 흡연은 특히 감염성 호흡기질환 중 폐결핵과도 관련되어 있는데, 폐결핵 발생의 위험을 2배가량 증가시키고, 결핵의 재발과 치료지연, 치료실패, 객담 도말 상의 음전 지연, 질병 악화, 약제내성 결핵 등에 영향을 미치며 결핵 치료 중 또는 치료 후의 사망률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폐결핵 환자에 있어 흡연행위 중단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2].
폐결핵 환자의 우울증이 높은 이유는? 폐결핵 환자들은 질병의 특성으로 일반인에 비하여 부정적인 감정에 더욱 취약하다고 알려져 있다. 폐기능 약화로 인한 활동의 제한과 기능상실로 겪는 자아존중감 저하로 우울을 경험하게 되고, 유병기간이 긴 질환의 특성으로 겪게 되는 실직상 태와 사회적 격리 등으로 많은 스트레스를 느껴 전반적인 삶의 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받아 일반인에 비해 우울수준이 높다는 것으로 보고된다[5,6]. 실제 국내 연구에서 확인된 폐결핵 환자의 우울증 유병율은 남성에서 5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CDC). Annual report on the notified tuberculosis status in Korea [Internet]. Chenogju: KCDC; 2016 [cited 2016 May 30]. Avail- able from: http://tbzero.cdc.go.kr/tbzero/board/boardView.do. 

  2.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International Union Against Tuberculosis and Lung Disease. A WHO / The Union monograph on TB and tobacco control. Geneva: WHO; 2014. 

  3. Kim CH, Jun MJ, Kim SE. The relationship between smoking and personal psychological factors and socioeconomic status in 8th grade students from 2010-2012 online survey of adolescent health behaviors of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Research on Nicotine and Tobacco. 2015;6(1):26-34. 

  4. Kim DH, Suh YS. Smoking as a disease.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009;30(7):494-502. http://dx.doi.org/10.4082/kjfm.2009.30.7.494 

  5. Ryu YJ, Chun EM, Sim YS, Lee JH. Depression and anxiety in out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2007;62(1):11-18. http://dx.doi.org/10.4046/trd.2007.62.1.11 

  6. Kumar K, Kumar A, Chandra P, Kansal HM. A study of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anxiety in patients suffering from tuberculosis. Journal of Family Medicine and Primary Care. 2016;5(1):150-153. https://doi.org/10.4103/2249-4863.184641 

  7. Kang CR.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in some inpatients with tuberculosis [master's thesis]. Gwangju: Chosun university; 2012. p. 1-32. 

  8.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Y: Prentice-Hall; 1986. 

  9. McGee CE, Trigwell J, Fairclough SJ, Murphy RC, Porcellato L, Ussher M, et al. Effect of a sport-for-health intervention (SmokeFree Sports) on smoking-related intentions and cognitions among 9-10 year old primary school children: A controlled trial. BMC Public Health. 2016;16:445. https://doi.org/10.1186/s12889-016-3048-3 

  10. Kim HO. A study on the smoking related social influence, refusal skill and nonsmoking related self-efficacy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Child Health Nursing. 2003;9 (3):237-249. 

  11. Beck AT. An inventory for measuring depression.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1961;4:53-63. 

  12. Sung HM, Kim JB, Park YN, Bai DS, Lee SH, Ahn HN. A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y of Korean version of the Beck Depression Inventory-II(BDI-I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2008; 14(2):201-212. 

  13. Koh KB, Park JK.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global assessment of recent stress scale.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2000;8(2):201-211. 

  14. Baer JS, Lichtenstein E. Classification and prediction of smoking relapse episodes: An exploration of individual differenc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1988;56(1):104-110. http://dx.doi.org/10.1037/0022-006X.56.1.104 

  15. Lee ES, Ryu EJ. A study on the recurrenc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s in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Konkuk Journal of Medical Sciences. 2004;14(1):103-115. 

  16. Kong KR, Lee EN. The mediating effects of resilience between symptom experience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5;27(4):375-383. http://dx.doi.org/10.7475/kjan.2015.27.4.375 

  17. Kim MS.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master's thesis]. Busan: Kosin University; 2006. p. 1-53. 

  18. Yeon JW, Kim H, Lee K, Chang S, Choi H, Ham E, et al. Factors affecting preparation stage to quit smoking in 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3):377-384. http://dx.doi.org/10.4040/jkan.2012.42.3.377 

  19. Kim CM, Son HM. A study on taxi drivers smoking behavior, self-efficacy and expectation level of success in smoking cess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5;16(4):517-526. 

  20. Kim NJ, Hong HS. Influence of stress, self-efficacy for smoking cessation, smoking temptation and nicotine dependency in male college students who smoke.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016;18(1):1-8. http://dx.doi.org/10.7586/jkbns.2016.18.1.1 

  21. Kim SR, Kim OK, Yun KE, Khang YH, Cho JH. Socioeconomic factors associated with initiating and quitting cigarette smoking among Korean men.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009;30(6):415-425. http://dx.doi.org/10.4082/kjfm.2009.30.6.415 

  22. Kim EY, Hwang SY. Predicting factors of smoking and emotional stress among male patients with acute coronary syndrome.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011;23(1): 100-109. 

  23. Cho KS. Prevalence of hardcore smoking and its associated factors in Korea.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013;33 (1):603-628. https://doi.org/10.15709/hswr.2013.33.1.603 

  24. Park MK, Kang KS, Kim NY. A study on Korean adults' health status, smoking perception, and self-efficacy of smoking cessation according to smoking statu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6;17(1):83-90. 

  25. Choi H, Kim MH, Chung H. Present and future of tuberculosis research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determinants of tuberculosis in south Korea. Health and Social Science. 2014;35(1):145-174. 

  26. Kim TS, Kim DJ. The association between smoking and depression. The Korean Journal of Psychopharmacology. 2007; 18(6):393-398. 

  27. Lee KH, Lee SM, Chung WJ. Association of stress level with smoking.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2006;27(1):42-48. 

  28. Jha P, Ranson MK, Nguyen SN, Yach D. Estimates of global and regional smoking prevalence in 1995, by age and sex.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02;92(6):1002-1006. http://dx.doi.org/10.2105/ajph.92.6.1002 

  29. Lou P, Chen P, Zhang P, Yu J, Wang Y, Chen N, et al. Interaction of depression and nicotine addiction on the severity of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prospective cohort study. Irani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16;45(2):146-157. 

  30. Kim HS, Bae SS. Factors associated with relapse to smoking behavior using health belief model.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2011;36(2):87-100. http://dx.doi.org/10.5393/jamch.2011.36.2.08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