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의 결혼여부에 따른 식품소비양상 연구 : 2015년 식품소비행태조사의 식품주 구입자 자료를 이용하여
Food consumption behaviors of women by marital status: focus on the 2015 consumers survey data on food consumption behaviors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1 no.2, 2018년, pp.168 - 176  

김은경 (상명대학교 자연과학연구소) ,  주세영 (건국대학교 의료생명대학 식품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농촌경제연구원에서 실시한 2015년 식품소비행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여성의 결혼여부에 따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식료품 구입행태, 외식행태, 배달 및 테이크아웃 이용 행태, 그리고 가공식품 및 조리식품 구입행태를 조사하였다. 식료품 구입 빈도에서는 미혼인 경우는 주 1회 (40.5%), 기혼인 경우는 주 2~3회 (43.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친환경 식품의 구매여부는 결혼여부와 관계없이 구매하지 않는 비율이 60%이상 (미혼 68.2%, 기혼 61.6%)으로 높게 나타났고, 기능성 식품의 복용률은 기혼여성 (54.2%)이 미혼여성 (44.9%)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혼여부에 따른 외식행태는 미혼인 경우가 기혼인 여성보다는 외식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미혼인 경우는 한식당, 기혼은 고깃집을 외식장소로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배달 및 테이크아웃의 소비행태에서는 기혼인 경우가 월 2회 (34.6%), 미혼은 월 1회 (31.2%)가 각각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배달 및 테이크아웃의 빈도는 외식횟수와는 달리 기혼인 경우가 더 높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또한, 결혼여부에 따른 가공식품의 구입행태에서도 미혼여성이 기혼여성에 비교하여 대표적인 가공식품인 빵류, 과자류, 떡류 및 라면, 국수류의 구매 빈도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여성의 결혼 여부에 따른 식품소비 행태인 식품 구매, 외식, 배달/테이크아웃 패턴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관련 연구와 산업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food consumption behavior of women by marital status based on the 2015 consumer survey data on Food Consumption Behaviors of the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Methods: We analyzed data describing 3,312 women aged 19 ~ 75 who were the main buyers of foo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농촌경제연구원에서 실시한 2015년 식품소비행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여성의 결혼여부에 따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식료품 구입행태, 외식행태, 배달 및 테이크아웃 이용 행태, 그리고 가공식품 및 조리식품구입행태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농촌경제연구원에서 실시한 2015년 식품소비행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여성의 결혼여부에 따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사항, 식료품 구입행태, 외식행태, 배달 및 테이크아웃 이용 행태, 그리고 가공식품 및 조리식품구입행태를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식품소비행태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미혼과 기혼자의 외식소비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혼 이외의 식품 소비와 관련된 기타 요인들과의 상호관계를 알 수 없다는점에서 연구의 한계점이 있다.
  • 이에 본 연구는 한국농촌경제 연구원에서 실시한 식품소비행태조사의 주구입자 자료를 이용하여, 1인 가구와 비혼여성의 증가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고자, 결혼 유무에 따른 여성의 식품 구매, 외식 소비, 배달 및 테이크아웃이용, 가공식품 및 조리식품 구매와 관련된 식품소비행태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가 관련 부분의 연구와 식품산업에서의 제품개발 및 마케팅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식품소비행태조사는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수행하는 조사로 1인 가구를 포함한 일반 가구의 식품 주구입자와 만 13세 이상 가구원을 대상으로 하여, 식품 주구입자는 대면 면접조사, 가구구성원은 자기기입식 조사방법으로 구성되었다. 주요 조사목적은 식품 소비의 종합적인 수요와 동향에 대한 기초 자료를 구축하고, 다양한 식품소비에 관한 행태분석을 통해 소비자의 구매 행동 및 성향을 파악하여, 농업의 경쟁력과 식품 소비자의 만족도를 제고하는 데 있다. 한국인의 식품구매행태, 외식동향, 식생활 행태, 식품안전 관련 소비태도, 식품표시이용, 식품관련 교육 및 홍보 등을 조사하고 있다.

가설 설정

  • 1) Values are mean ± SE or frequency (%).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1인 가구의 증가에 영향을 요인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경제 및 소비의 주체인 가계는 경제 성장과 사회 변화에 따라 혼인과 출산으로 인한 전통적인 가족 구성의 감소와싱글가족, 편부모 및 비혈연 가구의 증가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1인 가구의 증가는 여성의 교육수준 증가와 사회 진출로 인한 여성의 경제적인 지위 상승, 사회적 변화에 따른 비혼과 만혼 및 이혼의 증가 및 고령화로 인한 노인독신 가구의 증가로 인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1-3
1인 가구가 새로운 경제소비주체가 됨에 따라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는 분야는 어디인가? 1인 가구가 새로운 경제소비주체로서, 경제와 사회에 큰 영향을주는 집단으로서의 인식이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런추세와 함께 1인 가구나 싱글족의 식생활 라이프, 편의식품 구매, 패스트푸드점 선택속성 및 외식성향 등에 관한 연구가 최근 몇 년 전부터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5-10
경제 및 소비의 주체는 무엇인가? 경제 및 소비의 주체인 가계는 경제 성장과 사회 변화에 따라 혼인과 출산으로 인한 전통적인 가족 구성의 감소와싱글가족, 편부모 및 비혈연 가구의 증가의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1인 가구의 증가는 여성의 교육수준 증가와 사회 진출로 인한 여성의 경제적인 지위 상승, 사회적 변화에 따른 비혼과 만혼 및 이혼의 증가 및 고령화로 인한 노인독신 가구의 증가로 인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Park M, Go DY, Koo JK, Lee KH. Analysis of the effects of structural demographic changes on the demand for services. Seoul: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2013. 

  2. Bennett J, Dixon M. Single person households and social policy: looking forwards. York: Joseph Rowntree Foundation; 2006. 

  3. Yeung WJ, Cheung AK. Living alone: one-person households in Asia. Demogr Res 2015; 32: 1099-1112. 

  4. Statistics Korea.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5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6 [cited 2018 Feb 6].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 

  5. Kim S, Hwang DS. Influence of life style on economic, health, and social preparations for old age: a comparison between single-person and multiple-person households. Consumption Cult Study 2017; 20(3): 227-254. 

  6. Statistics Korea.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2016 [Internet]. Daejeon: Statistics Korea; 2017 [cited 2018 Feb 6].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 

  7. Park JH, Lee SH, Han SH. An analysis on expenditure pattern on cultural consumption of single households. Sejong: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2015. 

  8. Park MS, Koh DY, Goo JK. An analysis on consumption expenditure pattern by household characteristics. Seoul: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 2014. 

  9. Ban JH. Social and economic characteristics and change of single-person households. Mon Labor Rev 2012; (85): 55-67. 

  10. Kim YA. A study on single people's satisfaction of convenience foods and re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food-related lifestyle [dessertation]. Seoul: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15. 

  11. Jung J, Kim TH, Bae HJ. A study of perception and consumption behavior of consumers with regards to local food and eco-friendly food. Culin Sci Hosp Res 2017; 23(2): 104-116. 

  12. Jung JH, Hwang JH, Lee SB.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the dining-out purchase behavior: focused on women in twenties and thirties. Korea J Tourism Hosp Res 2012; 26(3): 97-114. 

  13. Han SH. Married woman's family life management behavior: consumer's purchase behavior, dietary life behavior, and satisfaction of well-being oriented food. J Korean Fam Resour Manage Assoc 2010; 14(2): 127-152. 

  14. Mun SR, Cho YB. The effects of dining out choice attributes on behavioral intention according to foodservice consumption. J Foodserv Manage 2017; 20(5): 51-72. 

  15. Lee SL. The effect of household demographic trend on food expenditure pattern. Consumption Cult Study 2014; 17(3): 85-104. 

  16. Jo PK. The effects of the economic characteristics of singleperson households on the food service industry. Korean J Community Nutr 2016; 21(4): 321-331. 

  17. Yoon DH, Chae SA, Song ET. A survey on single households: 2014 vs. 2015 tracking survey. Seoul: Embrain; 2015. 

  18. Jae MK, Jeon HR, Lee Y. Difference analysis of consumers for dietary life consumption behavior based on eating out and delivering or taking out food service. Consumption Cult Study 2017; 20(3): 27-50. 

  19. Kim S, Lee K, Lee Y. Selection attributes of home meal replacement by food-related lifestyles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South Korea. Food Qual Prefer. Forthcoming 2018. 

  20. Ju SY. Study o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regarding selective attributes of Home Meal Replacement (HMR).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2; 41(11): 1639-1644. 

  21. Lee BS, Park KH, Cho JH. A study on the effect of selection attributes on consumer satisfac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about HMR: in case of ready-to-endcook. Korean J Culinary Res 2011; 17(2): 85-97. 

  22. Jang YJ, Kim WG, Yang IS. Mature consumers' patronage motives and the importance of attributes regarding HMR based on the food-related life styles of the upper middle class. Int J Hospit Manag 2011; 30(1): 55-63. 

  23. Yoo HJ. The effects of concerns on food safety and trust in label information on label use and willingness to pay among Korean consumers. Korean Rev Crisis Emerg Manage 2016; 12(2): 168-178. 

  24. Kim MJ, Chong YK. Consumers' delivery and take-out behaviors and dietary-life satisfaction. J Foodserv Manage 2015; 18(6): 421-443. 

  25. Choi KW, Bang DH. The segmentation of customers dining out: an application of Latent Class Analysis (LCA). J Tourism Sci 2017; 41(4): 131-149. 

  26. Chung CE. Complex sample design effects and inference for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Korean J Nutr 2012; 45(6): 600-612. 

  27. Sung NK. Software packages for survey data analysis. Surv Res 2000; 1(1): 109-123. 

  28.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An instruction for the consumers behavior survey for Food 2016 [Internet]. Naju: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16 [cited 2018 Jan 15]. Available from: http://foodsurvey.krei.re.kr/board/guide. 

  29.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 instruction for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ternet].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8 [cited 2018 Jan 15].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3/sub03_06_02.do.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