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아 및 발아온도가 커피의 산화방지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ermination and temperature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offee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0 no.2, 2018년, pp.198 - 202  

임예서 (서울우유 협동조합 중앙연구소) ,  신용국 (서울우유 협동조합 중앙연구소) ,  김도완 (서울우유 협동조합 중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커피 생두의 발아 유무와 발아온도에 따른 커피 내 산화방지물질과 산화방지 활성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다. $20^{\circ}C$ 발아 커피는 미발아 커피에 비해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았고, DPPH와 ABTS 제거능 또한 높게 나타났다. $40^{\circ}C$ 발아 커피는 $20^{\circ}C$ 발아커피에 비해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유의적으로 낮았다. 특히, $40^{\circ}C$ 발아 커피는 미발아 커피와 비교했을 때에도 총 폴리페놀 함량이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커피 내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산화방지 활성은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총 폴리페놀 함량은 산화방지 활성과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는 미발아 커피에 비해 $40^{\circ}C$ 발아 커피에서 총 폴리페놀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했음에도 불구하고, DPPH 제거능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ABTS 제거능은 유의적 차이를 보이지 않은 것과 연관된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커피 생두의 발아는 커피 내 산화방지 물질과 산화방지 활성을 높이며, 적절한 발아온도의 설정은 이러한 커피의 생리활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resent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germination and temperature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offee. Green beans were germinated at 20 and $40^{\circ}C$. Germinated green beans were dried and roasted. Ground coffee was brewed at $90^{\circ}C$ for 5 min. Coff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생두의 발아 유무 및 발아 온도에 따른 커피 내 산화방지 물질의 농도와 산화방지 활성 변화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커피의 품질과 기능성 향상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물이 발아과정을 거치면서 생산하는 파이토케미컬은 무엇인가? 또한 다양한 식물 종자를 대상으로한 선행 연구 결과에 따르면, 종자의 발아는 영양소 이외에도 생리활성물질인 파이토케미컬(phytochemical) 함량을 높인다고 보고되고 있다. 발아에 의해 증가되는 대표적 파이토케미컬은 페놀성 화합물 이다(Cevallos-Casals과 Cisneros-Zevallos, 2010; Fernazdez-Orozco 등, 2006; Sharma과 Gujral, 2010). 이러한 페놀성 화합물은 산화 방지 활성과 높은 상관관계를 보이며, 실질적으로 다양한 식물 종자에서 발아에 의해 산화방지 활성이 유의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ajak 등, 2014).
커피란 무엇인가? 커피는 전세계적으로 널리 음용되는 대표적 기호음료 중 하나로 특유의 맛과 향 등의 관능 특성으로 인해 기호성이 높고, 산화방지 활성 등의 기능성이 보고되면서 그 소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커피 생두에 함유된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하이드록시시남산(hydroxycinnamic acids)과 같은 페놀성 화합물, 로스팅 공정을 거치며 형성되는 멜라노이딘(melanoidins)과 같은 마이얄 반응 생성물, 그 밖의 카페인(caffeine), 휘발성 성분 등이 커피의 산화방지 활성과 관련된 주요 성분으로 보고되고 있다(Pérez-Marínez 등, 2010).
커피의 산화방지 활성을 일으키는 주요 성분은? 커피는 전세계적으로 널리 음용되는 대표적 기호음료 중 하나로 특유의 맛과 향 등의 관능 특성으로 인해 기호성이 높고, 산화방지 활성 등의 기능성이 보고되면서 그 소비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커피 생두에 함유된 클로로겐산(chlorogenic acid), 하이드록시시남산(hydroxycinnamic acids)과 같은 페놀성 화합물, 로스팅 공정을 거치며 형성되는 멜라노이딘(melanoidins)과 같은 마이얄 반응 생성물, 그 밖의 카페인(caffeine), 휘발성 성분 등이 커피의 산화방지 활성과 관련된 주요 성분으로 보고되고 있다(Pérez-Marínez 등,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driana F, Carmen MD. Phenolic compounds in coffee. Braz. J. Plant Physiol. 18: 23-36 (2006) 

  2. Alexandros P, Dimitrios S, Konstantinos K, Christina T, Demetrios AS, Aristides MT. Comparison of antioxidant activity between green and roasted coffee beans using molecular methods. Mol. Med. 12: 7293-7302 (2015) 

  3. Alothman M, Bhat R, Karim AA. Antioxidant capacity and phenolic content of selected tropical fruits from Malaysia, extracted with different solvents. Food Chem. 115: 785-788 (2009) 

  4. Ashihara H, Sano H, Crozier A. Caffeine and related purine alkaloids: Biosynthesis, catabolism, function and genetic engineering. Phytochemistry 69: 841-856 (2008) 

  5. Ashihara H, Suzuki T. Distribution and biosynthesis of caffeine in plants. Front Biosci. 9: 1864-1876 (2004) 

  6. Bidel S, Hu G, Qiao Q, Jousilahti P. Antikainen R, Tuomilehto J. Coffee consumption and risk of total and cardiovascular mortality among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Diabetologia. 49: 2618-2626 (2006) 

  7. Cevallos-Casals BA, Cisneros-Zevallos L. Impact of germination on phenolic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13 edible seed species. Food Chem. 119: 1485-1490 (2010) 

  8. Cho ES, Jang YJ, Hwang MK, Kang NJ, Lee KW, Lee HJ. Attenuation of oxidative neuronal cell death by coffee phenolic phytochemicals. Mutat. Res. 661: 18-24 (2009) 

  9. Cruz de Carvalho MH. Drought stress and reactive oxygen species: production, scavenging and signaling. Plant Signal Behav. 3: 156- 165 (2008) 

  10. Del Castillo MD, Ames JM, Gordon MH. Effect of roasting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coffee brews. J. Agr. Food Chem. 50: 3698-3703 (2002) 

  11. Duenas M, Herandez T, Estrella I, Fernandez D. Germination as a process to increase the polyphenol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of lupin seeds (Lupinus angustifolius L.). Food Chem. 117: 599-607 (2009) 

  12. Eira MTS, Silva EAA, De Castro RD, Dusser S, Walters C, Bewley D, Hilhorst HWM. Coffee seed physiology. Braz. J. Plant Physiol. 18(1): 149-163 (2006) 

  13. Fernazdez-Orozco R, Piskula MK, Zielinski H, Kozlowska H, Frias J, Vidal-Valverde C. Germination as a process to improve the antioxidant capacity of Lupinus angustifolius L. var. Zapaton. Eur. Food Res. Technol. 223: 495-502 (2006) 

  14. Franca MB, Panek AD, Eleutherio ECA. Oxidative stress and its effects during dehydration. Comp. Biochem. Phys. A. 146: 621- 631 (2007) 

  15. Hu G, Bidel S, Jousilahti P, Antikainen R, Tuomilehto J. Coffee and tea consumption and the risk of Parkinson's disease. Movement Disord. 22: 2242-2248 (2007) 

  16. Kim DO, Chun OK, Kim YJ, Moon HY, Lee CY. Quantification of polyphenolics and their antioxidant capacity in fresh plums. J. Agr. Food Chem. 51: 6509-6515 (2003) 

  17. Kim KH, Kim NY, Kang SH, Lee HJ. Phytochemical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odonopsis lanceolata leaves. Korean J. Food Sci. Technol. 47: 680-685 (2015) 

  18. Lopez-Galilea I, De Pena MP, Cid C. Correlation of selected constituents with the total antioxidant capacity of coffee beverages: Influence of the brewing procedure. J. Agr. Food. Chem. 55: 6110-6117 (2007) 

  19. Marina C, Simone B, Maria TF, Riccardo M. Increasing espresso coffee brew antioxidant capacity using phenolic extract recovered from hazelnut skin waste. J. Funct. Foods. 4: 137-146 (2012) 

  20. Oh NS, Kwon HS, Lee HA, Joung JY, Lee JY. Preventive effect of fermented maillard reaction products from milk proteins in cardiovascular health. J. Dairy Sci. 97: 3300-3313 (2014) 

  21. Pajak P, Socha R, Galkowska D, Roznowski J, Fortuna T. Phenolic profile and antioxidant activity in selected seeds and sprouts. Food Chem. 140: 300-306 (2014) 

  22. Perales-Sanchez JX, Reyes-Moreno C, Gomez-Favela MA, Milan- Carrillo J, Cuevas-Rodriguez EO, Valdez-Ortiz A, Gutierrez- Dorado. Increasing the antioxidant activity, total phenolic and flavonoid contents by optimizing the germination conditions of amaranth seeds. Plant Food Hum. Nutr. 69: 196-202 (2014) 

  23. Perez-Marinez M, Caemmerer B, Paz De Pena M, Cid C, Kroh LW. Influence of brewing method and acidity regulators on the antioxidant capacity of coffee brews. J. Agr. Food Chem. 58: 2958- 2965 (2010) 

  24. Sacchetti G, Di Mattia C, Pittia P, Mastrocola D. Effect of roasting degree, equivalent thermal effect and coffee type on th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offee brews and their phenolic fraction. J. Food Eng. 90: 74-80 (2009) 

  25. Sanchez-Gonzalez I, Jimenez-Escrig A, Saura-Calixto F.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of coffee brewed using different procedures (Italian, espresso and filter). Food Chem. 90: 133-139 (2005) 

  26. Sharma P, Gujral HS. Antioxidant and polyphenol oxidase activity of germinated barley and its milling fractions. Food Chem. 120: 673-678 (2010) 

  27. Soong YY, Barlow PJ. Antioxidant activity and phenolic content of selected fruit seeds. Food Chem. 88: 411-417 (2004) 

  28. Upadhyay R, Ramalakshmi K, Jagan Mohan Rao L. Microwaveassisted extraction of chlorogenic acids from green coffee beans. Food Chem. 130: 184-188 (2012) 

  29. Weiss D, Van der Luit A, Knegt E, Vermeer E, Mol JNM, Kooter. Identification of endogenous gibberellins in petunia flowers. Plant Physiol. 107: 695-702 (199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