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요양보호사의 억제대 사용에 대한 인식
A Study on Caregiver's Perception of Restraint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7 no.5, 2016년, pp.452 - 458  

강혜경 (안보경영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들의 억제대 사용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6년 1월 13일부터 2월 10일까지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 113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을 통해 이루어졌다. 억제대 사용의 인식에 대한 전체 평균은 3.43(${\pm}0.24$)이였으며, 억제대 적용 이유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항목은 "대상자를 침대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하여"였으며, 주로 노인 대상자들의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항목에서 억제대 사용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억제대 사용에 대한 지식은 18점 만점에 평균 11.23점으로 보통 수준이었으며, 50세 이하의 요양보호사들의 지식수준이 다소 낮았다. 억제대 사용에 대한 태도는 전체평균 9.19점으로 다소 긍정적으로 가급적 억제대 사용을 자제해야 한다고 생각했으며, 근무경력 3년 이하의 요양보호사들이 더 높게 나타났다. 억제대는 노인대상자의 신체 정신적 그리고 인권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가장 많은 시간을 함께 하는 요양보호사들의 억제대 사용에 대한 인식의 고려와 향상을 위하여 억제대 사용에 대한 정확한 지침과 눈높이에 맞는 교육이 제공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s a descriptive study on visiting caregivers' perception of restraint use. Data were collected from 113 caregivers working at long-term facilities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from Feb to March 2016. The caregivers' perception of restraint use was the medium score. The items they consid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인요양시설 요양보호사들의 억제대 사용에 대한 인식과 지식, 그리고 태도를 중심으로 조사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 시행 아래 노인요양시설에 등록되어 노인에게 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간호인력을 대상으로 억제대 사용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 억제대 적용의 가장 큰 원인이「대상자를 침대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하여」로 Kim et al.[9]의 결과와 동일한데 비하여 Lee&Kweoun[10]의 연구결과와는 차이를 보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일부 노인요양시설을 중심으로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 아래 간호 전문인력으로서의 역할과 비중이 커진 요양보호사들의 억제대 사용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살펴보고, 억제대의 적절한 고려와 무분별한 사용의 예방과 관련한 요양보호사들의 교육 프로그램의 방향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령화는 사회적 의존성이 갖는 현실적 문제는? 인간의 평균수명 연장으로 많은 노인들이 보다 긴 노후를 보낼 수 있게 되었지만 고령화는 사회적 의존성이 높은 치매노인과 일상생활수행능력이 저하된 노인인구의 부양부담이라는 현실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2008년 7월부터 시행된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 이후 가족들의 간호 및 돌봄을 대신하여 요양시설과 같은 사회적 서비스가 점점 보편화 되어가고 있다.
요양보호사란? 간호인력은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의 본격적인 정착으로 급속하게 증가한 노인시설과 노인병원으로 인하여 많은 공급과 수요가 발생되고 있다. 이중 일차적인 노인의 돌봄서비스를 양적으로 가장 많이 제공하는 간호인력은 요양보호사로, 치매와 중풍 등 노인성 질환으로 인하여 독립적인 일상생활 수행이 어려운 노인을 위하여 노인요양 및 재가시설에서 신체 및 가사지원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력을 말한다[1]. 따라서 요양보호사는 전문적인 요양보호서비스를 제공해 주는 간호인력으로 돌봄에 대한 가족의 상당한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2].
요양시설과 같은 사회적 서비스에서 가장 많이 요구되는 영역 중 하나는 무엇인가? 이와 관련하여 2008년 7월부터 시행된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 이후 가족들의 간호 및 돌봄을 대신하여 요양시설과 같은 사회적 서비스가 점점 보편화 되어가고 있다. 이 사회적 서비스에 있어 그 역할의 확대와 중요도가 가장 많이 요구되는 영역 중에 하나가 바로 노인요양시설의 간호인력이다. 간호인력은 노인장기요양보험 제도의 본격적인 정착으로 급속하게 증가한 노인시설과 노인병원으로 인하여 많은 공급과 수요가 발생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National Health Insurance, Information, Available From: http://www.nhis.or.kr/wbdy/retriveWbdy01.xx (accessed May, 15, 2016). 

  2. H. K. Choi, "A Comparative Study on Perceptions and Expectations of Families and Care Workers on Elder Care Services in Nursing Facilities", Family and Culture, Vol.22, No.4, pp. 1-31, 2010. 

  3. Y. H. Nam, S. J. Lee, I. S. Chae, K. S. Kim, "The Study on Human Rights Sensitivity of Care Giver Who Works in Elderly Welfare Facility",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Vol.26, No.3, pp. 241-257, 2012. DOI: http://dx.doi.org/10.18398/kjlgas.2012.26.3.241 

  4. K. K. Kim, "Development of a Web-based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working in Nursing Homes on Human Rights of Older Adul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40, No.4, pp. 463-472, 2010. DOI: http://dx.doi.org/10.4040/jkan.2010.40.4.463 

  5. M. H. Lim, I. S. Ko, "Risk Factors leading to Accidents associated with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s in Nursing Hom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14, No.1, pp. 1-11, 2012. 

  6. C. Weiner, N. Tabak, B. Bergman,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s for patients suffering from dementia", Nursing Ethics, Vol.10, No.5, pp. 512-525, 2003. DOI: http://dx.doi.org/10.1191/0969733003ne633oa 

  7. D. Evans, J. Wood, L. Lambert, "Patient injury and physical restraint devices: A systematic review", Journal Advanced Nursing, Vol.41, No.3, pp. 274-282, 2003. DOI: http://dx.doi.org/10.1046/j.1365-2648.2003.02501.x 

  8. Joint of Commission on Accreditation of Healthcare Organization, Comprehensive accreditation manual for hospitals. Oakbrook, 2002, Available From: http://www.jointcommission.org/accreditation/nursing_care_centers.aspx.(accessed May, 10, 2016). 

  9. S. M. Kim, Y. J. Lee, D. H. Kim, S. Y. Kim, H. Y. Ahn, Y. S. Jeong, "Perception, Attitude, and Knowledge about Physical Restraints among Nursing Personnel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ol.15, No.1, pp. 62-71, 2009. DOI: http://dx.doi.org/10.5977/JKASNE.2009.15.1.062 

  10. K. J. Lee, M. S. Kweoun, "Perceptions of Nurses, Nurse Assistants, and Families on the Use of Physical Restraints with Elderly People in Care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3, No.2, pp. 158-168. 2001. 

  11. J. Y. Kang, E. N. Lee, E. Y. Park, Y. O. Lee, M. M. Lee, "Emotional response of ICU patient' family toward physical restraints", Korean Journal Adult Nursing, Vol.25, No.1, pp. 148-156, 2013. DOI: http://dx.doi.org/10.7475/kjan.2013.25.2.148 

  12. S. Y. Ha, Y. K. Ha, M. H. Kim, "Familie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Applied Physical Restraints in General Neurological Ward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6, No.5, pp. 3293-3302, 2015.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5.16.5.3293 

  13. M. H. An, J. Y. Choi, "Relationship of Knowledge, Attitude, Correct Metered Dose Inhaler Use, and Self-management Compliance among Patients with COPD",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Vol.24, No.2, pp. 160-170, 2012. DOI: http://dx.doi.org/10.7475/kjan.2012.24.2.160 

  14. G. M. Lee, H. J. Koh, H. Y. Kim, "Unmarried Mother'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Emergency Contraceptive Pills",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ol.19, No.2, pp. 99-107, 2013. DOI: http://dx.doi.org/10.4069/kjwhn.2013.19.2.99 

  15. L. K. Evans, N. E. Strumpf, "Frailty and physical restraint". In HM Perry, JE Morley, RM Coe (Eds). Aging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 pp. 324-333, New York: Springer, 1993. 

  16. J. S. Kim, H. Y. Oh, "Perceptions and attitude on use of physical restraints among caregivers in long term care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Vol.26, No.2, pp. 347-360, 2006. 

  17. L. M. Janelli, C. Yvonne, K. Scherer, G. W. Kanski, M. A. Neary, "What nursing staff members really know about physical restraints", Rehabilitation Nursing, Vol.16, No.2, pp. 345-348, 1991. DOI: http://dx.doi.org/10.1002/j.2048-7940.1991.tb01245.x 

  18. M. H. Park, B. S. Lee, " Study on the ICU Nurses' Intention to Use Restraints and Related Factors", Health Policy and Mangemnet, Vol.8, No.2, pp. 191-215, 1998. 

  19. K. S. Kim, J. H. Kim, S. H. Lee, H. K. Cha, S. J. Shin, S. A. Chi, "The Physical Restraint Use in Hospital Nursing Situ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0, No.1, pp. 60-71, 2000. 

  20. Y. K. Scherer, L. M. Janelli, G. W. Kanski, M. A. Neary, N. E. Morth, "The Nursing Dilemma of Restraint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17, No.2, pp. 14-17, 1991. DOI: http://dx.doi.org/10.3928/0098-9134-19910201-06 

  2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GUIDELINES FOR HOSPITAL EVALUATION PROGRAMME", May, 2007. http://khna.or.kr/bbs/linkfile/2007/070527.pdf (accessed May, 2, 2016). 

  2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Establish guidelines for the safe use of Physical restraint in hospital", (Press Resources), December, 24, 2015, http://www.google.co.kr/url?sat&rctj&q&esrcs&frm1&sourceweb&cd2&ved0ahUKEwjTnIPAl-XLAhXCIaYKHfseD-4QFggiMAE&urlhttp%3A%2F%2Fdownload.mohw.go.kr%2Ffront_new%2Fmodules%2Fdownload.jsp%3FBOARD_ID%3D140%26CONT_SEQ%3D294906%26FILE_SEQ%3D143689&usgAFQjCNFfexRvRqcVS8dVutYjzNSHBTHGuQ&bvmbv.117868183,d.dGY (accessed May, 2, 201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