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항지진 발생 주변지역 지질특성에 따른 저수지 취약성 해석
Analysis of Reservoir Vulnerability Based on Geological Structure Around Pohang Earthquake 원문보기

한국지진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v.22 no.3, 2018년, pp.169 - 174  

임성근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송성호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  유재형 (충남대학교 지질환경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total of 594 reservoirs (17%), which are managed by KRC, equipped with earthquake-resistant facilities whereas remaining ones did not. In addition, reservoirs were placed without the effect of geological structures (i.e., fault and lineament). Therefore, development on technique for alleviating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전과 다르게, 이번 지진으로 총저수량 규모가 722여 천톤에 이르는 대형 저수지에 종방향 균열 피해가 나타났다는 것은 큰 우려사안이었다. 따라서 우선 대형 자연재해 대비를 위한 비상대처계획 수립 대상 저수지 (총저수량 기준 30만 톤 이상)에 대한 저수지 주변 지질구조선 등을 파악 및 분석하여 지질재해 취약성 평가지표를 수립하고, 이를 통한 소규모 저수지에 대한 지질재해 취약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농업용 저수지를 대상으로 주변 단층분포 특성에 따른 지질재해 취약성 등급화를 통해 지진 시 우선수위를 정하여 저수지 안전성 확보를 위해서 효과적으로 비상대응체계를 확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지역 내 저수지 제체 중앙을 기준으로 2 km 반경을 저수지별 지질재해 취약성 영향범위로 설정하였다.
  • 또한 내진보강을 위한 대상 저수지 선정시에도 기존의 설계기준인 총저수량과 제고 이외에 주변 지질구조선에 따른 취약성 등급 결과를 활용한 새로운 보강기준의 적용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 주변 단층분포 특성을 고려한 저수지별 지질재해 취약성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등급화 방안 마련 및 이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고자 하였다. 또한, 최근에 본진이후 여진이 계속되고 지진 안전에 대한 국민적인 관심이 높아졌으며, 공사관리 노후 저수지에 대한 종합적인 지진대처 방안 마련 필요에 따라 저수지 안전성 확보를 위한인근 지질재해 취약성을 고찰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이변 및 지진 등에 취약한 농업용 저수지(30~50 년 빈도 최대강수량으로 설계)에 대한 지질재해 대비를 위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기후변화에 따른 기상이변 및 지진 등에 취약한 농업용 저수지(30~50 년 빈도 최대강수량으로 설계)에 대한 지질재해 대비를 위한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농업기반 수리시설물 중 지진·화산재해대책법에 따른 내진설계 대상 시설은 전체 3,548개소 (저수지 3,398개소 및 방조제 150개소) 중 총 697개소 (저수지 594, 방조제 103)이지만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1]), 이는 각각 저수량 500천 m3 이상 (및 제고 15 m 이상)과 국가관리방조제를 기준으로 설정됨에 따라 각 시설물이 위치한 지질구조와 무관하게 지정되어 있다. 그러나 2016년 9월 12일 규모 5.8 경주지진의 영향을 공사관리 지진가속도계 17개소와 농어촌지하수/해수침투관측망 지하수위 관측공 364개소의 관측자료로 분석한 결과(Wang and Manga [2]), 진앙으로부터의 거리와 무관하게 단층 및 지질구조선 분포에 따라 영향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관련법에 의거한 내진설계 의무시설 의 내진 보강 기준을 상향시키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시설물이 위치한 지역의 단층 및 선구조 등 지질구조선을 고려한 기준 마련이 필요하다.
취약성 평가의 구성요소에는 무엇이 포함되는가? 저수지 주변 단층분포 특성에 따른 지질재해 취약성 등급화를 위해 지진 시 우선순위를 정하여 긴급하게 대처하기 위해서, 취약성 평가의 구성요소인 내진성능, 정밀안전진단 및 지진영향 및 지질구조선 평가지표를 정립하였다. 연구지역 내 지질재해 취약성 평가 대상 저수지는 21개소가 해당되며, 저수지 제체를 중심으로 위치보정을 실시하였다.
내진보강을 위한 대상 저수지 선정에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결과적으로 단층 및 선구조 등 지질구조 밀도가 높은 인근 저수지에 대한지질재해 예측 기법과 체계적인 지질재해 취약성도 구축을 통한 종합적인 대응기법이 필요하다. 또한 내진보강을 위한 대상 저수지 선정시에도 기존의 설계기준인 총저수량과 제고 이외에 주변 지질구조선에 따른 취약성 등급 결과를 활용한 새로운 보강기준의 적용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저수지 주변 단층분포 특성을 고려한 저수지별 지질재해 취약성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등급화 방안 마련 및 이의 활용방안을 제시하고자 하고자 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Korea rural community corporation, Statistical yearbook of agricultural production infrastructure maintenance. 2015 Ed. c2016 (in Korean). 

  2. Wang CY, Manga M. Hydrologic responses to earthquakes and a general metric. Geofluids. 2010;10 (1-2):206-216. 

  3. Bae SH. Urban change analysis using the 1:50,000 topographical map which is produced at 1910’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2007;10 (3):93-10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Hubbard BE, Mack TJ, Thompson AL. Lineament analysis of mineral areas of interest in Afghanistan. US Geological Survey. c2012 (No. 2012-1048). 

  5. Kassou A, Essahlaoui A, Aissa M. Extraction of structural lineaments from satellite images landsat 7 ETM+ of tighza mining district (central morocco). Research Journal of Earth Sciences. 2012; 4 (2):44-48. 

  6. Lee DS. Chemical composition of petrographic assemblages of igneous and relate rocks in southKorea. J. Korea. Inst. Mining Geol. 1977;10:75-9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Song Y et al. Development of deep, low-enthalpy geothermal energy. Research Report OAA2003001-2006 (4). KIGAM. Korea. c2006 (in Korean). 

  8. Jang BS, Im ES, Oh BH. Methodologies for survey and retrofit of small dams pierced by diversion tunnel. J. Korea Inst. for Structural Maintenance and Inspection. 2008;12:75-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Thannoun RG. Automatic extraction and geospatial analysis of lineaments and their tectonic significance in some areas of Northern Iraq using remote sensing techniques and GIS. International Journal of Enhanced Research In Science Technology & Engineering Bulletin, 2. c2013. 

  10. Park SG, Kim JH, Seo GW. Application of electrical resistivity monitoring technique to maintenance of embankments. Geophys. and Geophys. Explor. 2005;8:177-1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