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효 더덕 및 소금 처리 발효 더덕의 미생물 특성과 항산화, 항비만, 항당뇨 효능 변화
Changes of Efficacy of Antioxidant, Antidyslipidemic, Antidiabetic and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in Fermented and Salt-treated Fermented Codonopsis lanceolata 원문보기

한방비만학회지 = Journal of Korean Medicine for Obesity Research, v.18 no.2, 2018년, pp.106 - 114  

성은학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교실) ,  이명종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교실) ,  김호준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교실) ,  신나래 (동국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재활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We investigated about the microbial properties and changes in the efficacy of the Codonopsis lanceolata (CL) by natural fermentation. Methods: CL was fermented for four weeks in a well-ventilated place with 2.5% salt. pH, total sugar,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were measured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내염성의 발효유산균이 선택적으로 생장할 수 있도록 조절해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알려져 있다18). 따라서 본 연구는 소금 처리 및 발효에 따른 더덕의 기간별 화학적 특징과 미생물학적인 변화를 모니터링하고, 발효에 따른 활성 물질과 항지질, 항당뇨 효능을 검증하여 활성 성분을 높인 발효 한약을 개발하고자 시행되었다.
  • 여러 결과를 종합해 봤을 때, 4주가 최적의 발효 조건이라 사료되며 소금을 처리하여 발효하였을 때, 그 효과가 극대화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는 처음으로 더덕의 자연 발효 및 소금 처리 자연 발효 특성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소금 처리 시에 온도나 농도를 엄격히 통제하지 못했다는 점에서 그 한계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더덕의 함유 성분은 무엇이며 어떤 질병에 도움이 되는가? 더덕(Codonopsis lanceolata)은 중앙, 동부, 남아시아에서 주로 발견되는 쌍자엽의 다년생초본이다. 기관지염, 기침, 경련, 정신질환, 암, 비만, 이상지질혈증, 부종, 간염, 대장염, 폐질환 등의 질병과 증상을 치료할 수 있는 의학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polyphenol, saponin, tannin, triterpene, alkaloid, steroid 등을 함유하여 다양한 약리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10). 더덕은 한의학적으로 羊乳라 한다.
발효의 정의는? 발효란 미생물, 특히 유용한 미생물인 probiotics가 당질을 이용하여 발효 산물로 알코올, 유기산, CO2 등을 생산하는 것이다1). 예로부터 한국 전통 음식에서 사용된 방법으로, 발효를 이용한 식품들은 음식으로서의 경계를 넘어서 기능성 식품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발효식품은 잠재적으로 항산화2,3), 항암2,4), 항지질2,3), 항당뇨2,3), 항노화2)의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된다.
발효식품은 잠재적으로 어떤 활성을 갖고 있다고 보고되었는가? 발효란 미생물, 특히 유용한 미생물인 probiotics가 당질을 이용하여 발효 산물로 알코올, 유기산, CO2 등을 생산하는 것이다1). 예로부터 한국 전통 음식에서 사용된 방법으로, 발효를 이용한 식품들은 음식으로서의 경계를 넘어서 기능성 식품으로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발효식품은 잠재적으로 항산화2,3), 항암2,4), 항지질2,3), 항당뇨2,3), 항노화2)의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보고된다. 발효를 이용한 식품가공이 관심을 얻어감에 따라 발효 한약의 연구 역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항산화5), 항노화5), 항바이러스6), 항암7), 신경보호효과8) 등의 연구가 보고되었으며, 그 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Park KY. Increased health functionality of fermented food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2 ; 17(1) : 1-8. 

  2. Dharaneedharan S, Heo MS. Korean traditional fermented foods - a potential resource of beneficial microorganisms and their applications. J Life Sci. 2016 ; 26(4) : 496-502. 

  3. Hwang J, Shieh DE, Shyu YS, Hsu CK, Lin CW. Antidiabetic, antihyperlipidemic,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mulberry lees fermented products in diabetic mice. J Food Sci. 2018 ; 83(11) : 2866-72. 

  4. Zhang K, Dai H, Liang W, Zhang L, Deng Z. Fermented dairy foods intake and risk of cancer. Int J Cancer. 2018 Oct 29. doi: 10.1002/ijc.31959. [Epub ahead of print] 

  5. Seong JS, Xuan SH, Park SH, Lee KS, Park YM, Park SN. Antioxidative and antiaging activities and component analysis of Lespedeza cuneata G. Don extracts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pentosus. J Microbiol Biotechnol. 2017 ; 27(11) : 1961-70. 

  6. Wang Y, Jung YJ, Kim KH, Kwon Y, Kim YJ, Zhang Z, et al. Antiviral activity of fermented ginseng extracts against a broad range of influenza viruses. Viruses. 2018 ; 10(9). pii: E 471. 

  7. Oh J, Jeon SB, Lee Y, Lee H, Kim J, Kwon BR, et al. Fermented red ginseng extract inhibits cancer cell proliferation and viability. J Med Food. 2015 ; 18(4) : 421-8. 

  8. Yun BR, Weon JB, Lee J, Eom MR, Ma CJ. Neuroprotective effect of the fermented Gumiganghwal-tang. J Biosci Bioeng. 2014 ; 118(2) : 235-8. 

  9. Choi YK, Sul JU, Park SK, Yu SN, Kim SH, Rhee MS, et al. Research trends of fermented medicinal herbs - based on their clinical efficacy and safety assessment. J Life Sci. 2012 ; 22(12) : 1729-39. 

  10. Hossen MJ, Kim MY, Kim JH, Cho JY. Codonopsis lanceolata: a review of its therapeutic potentials. Phytother Res. 2016 ; 30(3) : 347-56. 

  11. A compilation committee of herbalogy association textbook of Korean Medical College. Herbalogy. 2nd ed. Seoul : Young Lim Press. 2012 : 644. 

  12. Kim CH, Chung MH. Pharmacognostical studies on Codonopsis lanceolata. Kor J Pharmacog. 1975 ; 6(1) : 43-7. 

  13. Park SJ, Park DS, Lee SB, He X, Ahn JH, Yoon WB, et al. Enhancement of antioxidant activities of Codonopsis lanceolata and fermented Codonopsis lanceolata by ultra high pressure extrac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2010 ; 39(12) : 1898-902. 

  14. He X, Zou Y, Yoon WB, Park SJ, Park DS, Ahn J. Effects of probiotic fermentation on the enhancement of b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activities of Codonopsis lanceolata extracted by high pressure treatment. J Biosci Bioeng. 2011 ; 112(2) : 188-93. 

  15. Jung LS, Yoon WB, Park SJ, Park DS, Ahn JH. Evaluation of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steamed and fermented Deodeok (Codonopsis lanceolata). Korean J Food Sci Technol. 2012 ; 44(1) : 135-9. 

  16. Kim SS, Ha JH, Jeong MH, Ahn JH, Yoon WB, Park SJ, et al.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of fermented Codonopsis lanceolata and fresh Codonopsis lanceolate. Korean J Medicinal Crop Sci. 2009 ; 17(4) : 280-5. 

  17. Ahn SJ. The effect of salt and food preservatives on the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Soc Food Sci. 1988 ; 4(2) : 39-50. 

  18. So MH, Lee YS, Kim HS, Cho EJ, Yea MJ. An influence of salt concentrations on growth rate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Korean J Food and Nutr. 1996 ; 9(3) : 341-7. 

  19. Lebovitz HE. Insulin resistance: definition and consequences. Exp Clin Endocrinol Diabetes. 2001 ; 109 Suppl 2 : S135-48. 

  20. Jeong SY, Kang S, Kim DS, Park S. Codonopsis lanceolata water extract increases hepatic insulin sensitivity in rats with experimentally-induced type 2 diabetes. Nutrients. 2017 ; 9(11) : E1200. 

  21. Lee JS, Kim KJ, Kim YH, Kim DB, Shin GH, Cho JH, et al. Codonopsis lanceolata extract prevents diet-induced obesity in C57BL/6 mice. Nutrients. 2014 ; 6(11) : 4663-7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