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이 언어·인지능력을 매개로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 성별의 차이를 중심으로
The Longitudinal Effects of Preschoolers' Peer Interaction on Self-Control with Linguistic and Cognitive Abilities as Mediators: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원문보기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 fer, v.56 no.2, 2018년, pp.133 - 144  

장유진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  홍예지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이강이 (서울대학교 아동가족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relations of preschool children's peer interaction, linguistic and cognitive abilities, and self-control, while taking into account gender difference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671 preschoolers from the $5^{th}$, $6^{th}$, and $7^{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변인 간의 관계에서 남녀 간의 측정동일성이 성립하는지 확인하였다. 동일성 제약을 가하지 않은 형태동일성을 기저모형으로 하여 남녀 집단 간에 요인계수가 모두 동일하다고 제약을 가한 후(X2=66.
  • 더불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이 언어·인지능력을 통해 이후의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을 통합적으로 살펴보고 변인 간 경로에 있어 성별의 차이가 존재하는지 탐색해보고자 한다.
  • 즉, 또래 상호작용이 남아와 여아의 이후 발달에 어떻게 상이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가 힘든 실정이었다. 이 연구는 남아와 여아가 또래 상호작용에서 나타내는 차이의 구체적인 양상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또래 상호작용으로 인해 나타나는 발달의 성차에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놀이의 경험 및 상호작용의 경험은 반복적으로 누적되어 궁극적으로 아동의 발달에 영향을 미칠 것이므로, 성별에 따른 또래 상호작용의 영향력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 이 연구는 만 4세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이 1년 후인 만 5세 시기의 언어·인지능력을 매개로 학령기 직전인 만 6세의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 이에 이 연구에서는 총 2년의 시간 간격을 두고, 만 4세의 또래 상호작용과 만 5세의 언어·인지능력이 이후, 만 6세의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을 독립적으로 살펴본다.
  • 자기통제의 하위요인은 정서적, 행동적, 인지적 측면으로 구분되며, 이 연구에서는 자기통제의 정서적 요인에 초점을 맞추고 자 한다. 자기통제와 관련한 정서적 측면의 연구들은 정서를 조절하는 능력을 정서 이해(자기정서 이해, 타인정서 이해, 복합정서 이해), 정서 조절(정서 바꾸기, 정서 숨기기)로 나누기도 하고, 정서조절을 내적인 정서뿐만 아니라 정서관련 행동 조절로 설명하기도 한다(Yang, 2006).
  • 이 연구는 만 4세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이 1년 후인 만 5세 시기의 언어·인지능력을 매개로 학령기 직전인 만 6세의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종단적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종단 데이터를 활용하여 변인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 성별에 따른 구조 모형의 차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주요 결과와 이에 기초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먼저, 비제약모형(B)과 만 4세의 또래 상호작용에서 이들의 1년 후인 만 5세가 되었을 때의 언어·인지능력 간의 경로를 제약한 모형(모형 B1)을 비교한 결과, ΔX2=.038, Δdf=1, p>.05 로 두 모형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영가설을 채택하였다.
  • 형태동일성 및 측정동일성 검증의 결과는 Table 3과 같으며, 두 모형을 비교하여 모형 간의 X2 차이가 유의한지 살펴보았다. 이 연구의 형태동일성과 측정동일성 모형 간 X2 차이는 5.198로 자유도의 차이가 4일 때의 임계치인 .95X21=9.49보다 작아서 영가설을 채택하였다. 두 모형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즉, 요인계수에 동일화 제약을 가해도 모형의 적합도가 나빠지지 않아 측정동일성이 성립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통제의 하위요인은 어떤 측면으로 구분되는가? 자기통제의 하위요인은 정서적, 행동적, 인지적 측면으로 구분되며, 이 연구에서는 자기통제의 정서적 요인에 초점을 맞추고 자 한다. 자기통제와 관련한 정서적 측면의 연구들은 정서를 조절하는 능력을 정서 이해(자기정서 이해, 타인정서 이해, 복합정서 이해), 정서 조절(정서 바꾸기, 정서 숨기기)로 나누기도 하고, 정서조절을 내적인 정서뿐만 아니라 정서관련 행동 조절로 설명하기도 한다(Yang, 2006).
자기통제의 정의에 대해 학자들이 공통적으로 협의하는 바는 무엇인가? Clark 등(2016)에 따르면 다양한 학자들이 자기통제를 정의하고 있으나 공통적으로 합의하 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통제는 다양한 측면을 포함하는 복합적인 구성요소라는 것, 둘째 자기통제는 적응적 방식으로 환경에 반응하는 인간의 의지적 능력(volitional ability)을 의미한다는 것이다(Aksan & Kochanska, 2004; Blair & Razza, 2007; Montroy, Bowles, & Skibbe, 2016).
만 4세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이 만 5세 시기의 언어·인지능력을 매개로 학령기 직전인 만 6세의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한 연구의 주요 결과는 무엇인가? 첫째, 만 4세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은 여아의 평균이 남아의 평균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만 5세 시기의 언어능력과 인지능력도 남아보다 여아의 평균이 높았다. 만 6세의 자기통제력 역시 여아의 평균이 남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는 남아보다 여아의 또래 상호작용이 빈번하며 긍정적이라는 선행연구(Fabes, Martin, & Hanish, 2003; Kim, 2016), 여아의 언어능력이 남아보다 우수하다는 연구(Ready, LoGerfo, Burkam, & Lee, 2005)와 동일한 맥락의 결과이다. 더불어 여아의 자기조절이 남아보다 우수하다는 연구(Duckworth & Seligman, 2006; Matthews, Ponitz, & Morrison, 2009)를 지지하는 결과이다. 이와 같은 결과는 일반적으로 여아가 남아보다 활동성이 낮고 차 분하게 과제에 더 집중함에 기인한 결과로 인지적 과제에서 남아 보다 우수한 수행을 보였다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상관관계 분석 결과, 또래 상호작용 수준이 높은 것은 언어·인지능력뿐만 아니라 높은 수준의 자기통제력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만 4세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이 만 5세의 언어·인지능력을 매개로 만 6세의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남아의 경우 만 4세의 또래 상호작용 은 만 6세의 자기통제력에 직접적인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만 5세의 언어·인지능력을 통해서도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만 5세의 언어·인지능력은 또래 상호작용과 자기통제력 간의 관계를 부분 매개하였다. 반면, 여아의 경우 만 4세의 또래 상호작용은 만 6세의 자기통제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만 4세의 또래 상호작용은 만 5세의 언어·인지능력을 통해서만 만 6세의 자기통제력에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쳐 만 5세의 언어·인지능력이 또래 상호작용과 자기통제력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또래 상호작용이 유아의 언어, 인지 기술의 발달(Bulotsky-Shearer, Bell, Carter, & Dietrich, 2014; Henry & Rickman, 2007)에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지지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3)

  1. Aksan, N., & Kochanska, G. (2004). Links between systems of inhibition from infancy to preschool years. Child Development, 75 (5), 1477-1490. http://dx.doi.org/10.1111/j.1467-8624.2004.00752.x 

  2. Allan, N. P., Hume, L. E., Allan, D. M., Farrington, A. L., & Lonigan, C. J. (2014). Relations between inhibitory control and the development of academic skills in preschool and kindergarten: A meta-analysis. Developmental Psychology, 50 (10), 2368-2379. http://dx.doi. org/10.1037/a0037493 

  3. Bandura, A. (1971). Social learning theory. Morristown, NJ: General Learning Press. 

  4. Blair, C. (2002). School readiness: Integrating cognition and emotion in a neurobiological conceptualization of children's functioning at school entry. American Psychologist, 57(2), 111-127. http://dx.doi.org/10.1037/0003-066X.57.2.111 

  5. Blair, C., & Razza, R. P. (2007). Relating effortful control, executive function, and false belief understanding to emerging math and literacy ability in kindergarten. Child Development, 78(2), 647-663. http://dx.doi.org/10.1111/j.1467-8624.2007.01019.x 

  6. Bronfenbrenner, U., & Morris, P. A. (2006). The bioecological model of human development. In R. M. Lerner & W. Damon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6th ed. pp. 793-828). Hoboken, NJ, US: John Wiley & Sons Inc. 

  7. Bruce, B., & Hansson, K. (2011). Promoting peer interaction. In T. Williams (Ed.), Autism spectrum disorders: From genes to environment (pp. 313-328). Croatia: InTech. 

  8. Bulotsky-Shearer, R. J., Bell, E. R., Carter, T. M., & Dietrich, S. L. R. (2014). Peer play interactions and learning for low-income preschool children: The moderating role of classroom quality.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25(6), 815-840. https://doi.org/10.1080/10409289. 2014.864214 

  9. Byun, H. Y., & Chung, K. S. (2008). A study of young children's social.cognitive play form and the peer-play interactions according to the relations of sibling. Child Care and Education Research, 14, 35- 49. 

  10. Choi, H. Y., & Shin, H. Y. (2008). Validation of the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for Korean children.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29(3), 303-318. 

  11. Chung, J. (2017). Effects of parental depression and low warmth on young children's aggressive behavior: The moderating role of self-control.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7(3), 183-202. http://dx.doi.org/10.18023/kjece.2017.37.3.009 

  12. Chung, O. B. (2004). Developmental Psychology. Seoul: Hakjisa. 

  13. Clark, C. A. C., Pritchard, V. E., & Woodward, L. J. (2010). Preschool executive functioning abilities predict early mathematics achievement. Developmental Psychology, 46(5), 1176-1191. http://dx.doi.org/10.1037/a0019672 

  14. Coolahan, K., Fantuzzo, J., Mendez, J., & McDermott, P. (2000). Preschool peer interactions and readiness to learn: Relationships between classroom peer play and learning behaviors and conduc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2 (3), 458-465. http://dx.doi.org/10.1037/0022-0663.92.3.458 

  15. Crick, N. R., & Grotpeter, J. K. (1995). Relational aggression, gender, and social-psychological adjustment. Child Development, 66(3), 710-722. http://dx.doi.org/10.1111/j.1467-8624.1995.tb00900.x 

  16. Duckworth, A. L., & Seligman, M. E. P. (2006). Self-discipline gives girls the edge: Gender in self-discipline, grades, and achievement test scor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8 (1), 198-208. http://dx.doi.org/10.1037/0022-0663.98.1.198 

  17. Eisenberg, N., Spinrad, T. L., & Eggum, N. D. (2010). Emotion-related self-regulation and its relation to children's maladjustment. Annual Review of Clinical Psychology, 6, 495-525. https://doi.org/10.1146/annurev.clinpsy.121208.131208 

  18. Fabes R. A., Martin C. L., & Hanish, L. D. (2003). Young children's play qualities in same-, other-, and mixed-sex peer groups. Child Development, 74(3), 921-932. http://dx.doi.org/10.1111/1467-8624.00576 

  19. Fantuzzo, J., Coolahan, K., Mendez, J., McDermott, P., & Sutton-Smith, B. (1998). Contextually-relevant validation of peer play constructs with African American head start children: Penn interactive play scal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3(3), 411-431. https://doi.org/10.1016/S0885-2006(99)80048-9 

  20. Graziano, P. A., Slavec, J., Ros, R., Garb, L., Hart, K., & Garcia, A. (2015). Self-regulation assessment among preschoolers with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Psychological Assessment, 27(4), 1337-1348. http://dx.doi.org/10.1037/pas0000113 

  21. Gresham, F. M., & Elliott, S. N. (1990). Social skills rating system: Manual. Circle Pines, MN: American Guidance Service. 

  22. Hebert-Myers, H., Guttentag, C. L., Swank, P. R., Smith, K. E., & Landry, S. H. (2006). The importance of language, social and behavioral skills across early and later childhood as predictors of social competence with peers. Applied Developmental Science, 10(4), 174-187. https://doi.org/10.1207/s1532480xads1004_2 

  23. Henry, G. T., & Rickman, D. K. (2007). Do peers influence children's skill development in preschool? Economics of Education Review, 26 (1), 100-112. https://doi.org/10.1016/j.econedurev.2005.09.006 

  24. Holmes, R. M. (2011). "Do you like Doritos?": Preschoolers' table talk during lunchtime.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81(3), 413- 424. https://doi.org/10.1080/03004430903441508 

  25. Hong, S. (2003).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young children's friends of the same sex according to their age and sex. Korea Journal of Child Care and Education, 34, 315-338. 

  26. Hong, Y.-J., Kang, S., Lee, K., & Choi, N. (2017). The longitudinal effects of young children's home environment stimuli on social competence: The mediating effects of linguistic and cognitive development. The Korean Journal of the Human Development, 24 (4), 161-178. http://dx.doi.org/10.15284/kjhd.2017.24.4.161 

  27. Hu, L., & Bentler, P. M.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https://doi.org/10.1080/10705519909540118 

  28. Justice, L. M., Petscher, Y., Schatschneider, C., & Mashburn, A. (2011). Peer effects in preschool classrooms: Is children's language growth associated with their classmates' skills? Child Development, 82 (6), 1768-1777. http://dx.doi.org/10.1111/j.1467-8624.2011.01665.x 

  29. Kim, H. Y. (2016). Trajectories of child peer interaction and their predictors: Longitudinal analysis using latent growth modeling. Korean Journal of Child Studies, 37 (6), 145-155. https://doi.org/10.5723/kjcs.2016.37.6.145 

  30. Korea Institute of Childcare and Education. (2012-2014).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5-7th survey. Retrieved December 30, 2017, from http://panel.kicce.re.kr/kor/index.jsp. 

  31. Kwon, H. J., Kim, K. E., Woo, H. K., Jeon, G. I., Jeon, S. Y., Jeong, Y. J., et al. (2016). Pla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Gyeonggi: Yangseowon. 

  32. Kwon, J. Y., Chung, M. R., Park, S. K., & Lee, B. S. (2012). An exploration of the variables concerning infants' emotion regulation abil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32(4), 427-444. 

  33. Lee, J. H., & Kim, H. Y. (2012). A study on variables related to positive and negative peer interactions of young children. Journal of Korean Child Care and Education, 8(6), 301-322. 

  34. Lee, S. K., & Kim, H. W. (2016).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classroom environnment, teacher-child interaction, children's cognitive ability and peer interaction.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10), 925-945. http://dx.doi. org/10.22251/jlcci.2016.16.10.925 

  35. Matthews, J. S., Ponitz, C. C., & Morrison, F. J. (2009). Early gender differences in self-regul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1(3), 689-704. http://dx.doi.org/10.1037/a0014240 

  36. McClelland, M. M., & Cameron, C. E. (2011). Self-regul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New Directions for Child and Adolescent Development, 2011 (133), 29-44. http://dx.doi.org/10.1002/cd.302 

  37. McClelland, M. M., Cameron, C. E., Duncan, R., Bowles, R. P., Acock, A. C., Miao, A., et al. (2014). Predictors of early growth in academic achievement: The head-toes-knees-shoulders task. Frontiers in Psychology, 5, 1-14. http://dx.doi.org/10.3389/fpsyg.2014.00599 

  38.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Jeju Special Self- Governing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2008). Korean evidence- based assessment for young children. Seoul: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39. Moffitt, T. E., Arseneault, L., Belsky, D., Dickson, N., Hancox, R. J., Harrington, H., et al. (2011). A gradient of childhood self-control predicts health, wealth, and public safety.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08(7), 2693- 2698. http://dx.doi.org/10.1073/pnas.1010076108 

  40. Montroy, J. J., Bowles, R. P., & Skibbe, L. E. (2016). The effect of peers' self-regulation on preschooler's self-regulation and literacy growth.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46, 73-83.https://doi.org/10.1016/j.appdev.2016.09.001 

  41. Piaget, J., & Cook, M. (1952). The origins of intelligence in children. NY: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42. Ready, D. D., LoGerfo, L. F., Burkam, D. T., & Lee, V. E. (2005). Explaining girls' advantage in kindergarten literacy learning: Do classroom behaviors make a difference?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106(1), 21-38. https://doi.org/10.1086/496905 

  43. Ross, H., Vickar, M., & Perlman, M. (2010). Early Social Cognitive Skills at Play in Toddlers' Peer Interactions. Handbook of Infant Development , (2nd ed., Vol 1, pp. 510-531). Chicester: Wiley-Blackwell. 

  44. Rubin, K. H., Bukowski, W. M., & Parker, J. G. (2006). Peer interactions, relationships and groups. In W. Damon, R. M. Lerner, & N. Eisenberg (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6th ed., Vol. 3, pp. 571-645). New York: Wiley. 

  45. Russell, D. W., Kahn, J. H., Spoth, R., & Altmaier, E. M. (1998).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1), 18-29. http://dx.doi.org/10.1037/0022-0167.45.1.18 

  46. Sadker, D., & Sadker, M. (2001). Sex bias: From colonial America to today's classrooms. In J. A. Banks & C. A. McGee Banks (Eds.), Multicultural education: Issues and perspectives (7th ed., pp. 125- 151). Hoboken, NJ: Wiley. 

  47. Steinberg, L., Vandell, D., & Bornstein, M. (2010). Development: Infancy through adolescence. Wadsworth: Cengage Learning. 

  48. Suh, M.-O. (2004). A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ocial skill rating system for preschool level (K-SSRS: Teacher and parent forms). Korean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4(2), 223-242. 

  49. Vygotsky, L. S. (1977).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functions. Journal of Russian & East European Psychology, 15(3), 60-73. 

  50.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 (pp. 56-75). Thousand oaks, CA: Sage. 

  51. Woodward, L. J., Lu, Z., Morris, A. R., & Healey, D. M. (2017). Preschool self regulation predicts later mental health and educational achievement in very preterm and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he Clinical Neuropsychologist, 31(2), 404-422. https://doi.org/10.1080/1 3854046.2016.1251614 

  52. Yang, O. S. (2006). The development of self-regulation rating scale for young children. Journal of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3(2), 161-187 

  53. Zhou, Q., Chen, S. H., & Main, A. (2012).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the research on children's effortful control and executive function: A call for an integrated model of self-regulation. Child Development Perspectives, 6 (2), 112-121. http://dx.doi.org/10.1111/j.1750- 8606.2011.00176.x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