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행정직원의 조직공정성, 조직신뢰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 -병원 규모의 조절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Organizational Trust,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of Hospital Office Worker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Hospital Scales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12 no.1, 2018년, pp.13 - 22  

이영진 (인본병원) ,  안재선 (가천대학교 헬스케어경영학과) ,  김문중 (가천대학교 경영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is study examines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members of an organization who maintain cordial and friendly relationships with their colleagues, so that the human resources department within a hospital can be used efficiently. Methods : A total of 600 copies of the questionnai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에 위치한 대형 병원과 중소병원에 근무하는 행정직원을 대상으로 조직공정성과 조직신뢰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통해 효율적인 인적자원의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어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각 측정항목에 대한 신뢰성과 타당성 분석결과 신뢰도 및 타당성이 매우 양호하게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조직공정성과 조직신뢰 그리고 조직 시민행동에 대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기존의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조직공정성과 조직시민행동의 두 변수 사이에 조직신뢰에 따른 매개효과에 관한 실증연구와 더불어 병원규모에 대한 조절효과로 조직시민행동의 영향관계에 대하여 규명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다시 말해 조직구성원들이 조직공정성을 인식하고 조직을 신뢰하면 조직시민행동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② 조직신뢰는 조직공정성 뿐만 아니라 매개역할을 통해 간접적으로 조직시민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전자의 경우, 조직공정성은 구성원들의 조직에 대한 신뢰를 증가시키고 높은 신뢰수준은 결과적으로 그들의 조직 시민행동 유발정도를 높이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직공정성은 무엇에 영향을 미치나? 따라서 조직구성원들의 자발적 참여를 통해 다른 동료와의 관계를 원활하게 유지함으로써 조직 내의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이용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조직공정성은 임금만족, 조직몰입, 직무만족, 신뢰 등과 같은 태도와 이직, 조직시민행동, 성과 등에 영향력을 보인다는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5][6].
3가지 공정성 개념은 무엇인가? 조직구성원들이 자신이 받고 있는 처우에 대한 반응을 이해하기 위해 3가지 공정성 개념으로 구분할 수 있다. 분배공정성(Distributive Justice)은 조직의 보상결과에 대해 지각하는 정도를 의미하고, 절차공정성(Procedural Justice)은 보상배분에 있어 적용되는 절차와 규칙에 대해 지각하는 정도이며, 상호작용공정성(Interactional Justice)은 보상배분의 절차와 규칙이 실행되는 과정에서 대인적 처우의 질에 대한 지각을 의미한다. 분배공정성은 Price & Muel er[7], Ko & Ryu[8]의 연구에 사용한 변인의 측정문항은 서술문으로 책임, 노력, 경력, 교육과 훈련대비 적절한 보상 등의 4가지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조직이 목표달성을 위해 중요시하는 것은 무엇인가? 조직은 목표달성을 위해 구성원들에게 동기부여를 시키는 과정에서 구성원이 인지하는 공정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조직공정성은 조직구성원이 조직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와 행동을 발현시키는 선행요인으로써 조직이 요구하는 행동의 범위를 넘어 자발적으로 조직을 위해 다른 사람과 협력하는 조직시민행동은 개인의 성과를 넘어 조직성과와 직결되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C. Argyris(1964), Integrating the individual and the organization. New York: John Wiley, p.330. 

  2. E.A. Lynd, T.R. Tyler(1988), The Social psychology of procedural justice. New York : Plenum, p.267. 

  3. N.M. Hauenstein, T. McGonigle, S.W. Finder(2001), A meta-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ocedural justice and distributive justice: Implications for justice research, Employee Responsibilities and Rights Jouna, Vol.13(1);39-56. 

  4. S.K. Hwang, S.H. Kim, Y.J. Seo(2016), Antecedents of Trust among Hospital Employees. Korea Society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10(2);1-14. 

  5. H.K. Moon, B.K. Choi, W. Ko(2009), A Critical Review of Organizational Justice Literature in Korea : Challenge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Korea Academy of Management, Vol.17(4);229-306. 

  6. J.A. Colquitt, D.E. Conlon, M.J. Wesson, C.O.L.H. Porter, K.Y. Ng(2001), Justice at the millennium: A meta-analytic review of 25 years of organizational justice research.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6;425-445. 

  7. J.L. Price, C. Mueller(1986), Handbook of organizational measurement, Marshf eld, MA: Pittman, p.293. 

  8. J.W. KO, C. Ruy(2005), The Relative Effects of Distributive, Formal Procedural, and Interactional Justice on Hotel Employee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Supervisory Trust, Korea Tourism Research Association, Vol.28(4);193-212. 

  9. D.B. McFarlin, P.D. Sweeney(1992), Distributive and procedural justice as predictors of satisfaction with personal and organizational outcom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5(3);626-637. 

  10. B.P. Niehoff, R.H. Moorman(1993), Justice as a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thods of monitoring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6;527-556. 

  11. S.L. Robinson(1996), Trust and breach of the psychological contract,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41;574-599. 

  12. L.J. Williams, S.E. Anderson(1991), Job satisfaction and organisational commitment as predictor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and in-role behaviors, Journal of Management, Vol.17;601-617. 

  13. D.W. Organ(1988),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good soldier syndrome, Lexington: Lexington, Ma. England, p.132. 

  14. S.Y. Jeong(2016), Effects of organizational trust by employees in franchised Korean restauran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Vol.30(9);191-205. 

  15. C.C. Pan, C.J. Kim, J.H. Jung(2017),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and Organizational Trust, The 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Vol.31(2);87-112. 

  16. J. Greenberg(1990), Organizational justice: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Journal of Management, Vol.16;399-432. 

  17. B.R. Shin, W.S, Choi, K.T. Seo(2016), The Moderating Effects of Organizational Trust in the Effect of Relation between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Justice, Proactive Behavior and the Intention of Knowledge Sharing by Hotel Employee, Tourism Research Vol.41(1);105-131. 

  18. H.K. Iqbal, U. Aziz, A. Tasawar(2012), Impact of Organizational Justice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 Empirical Evidence from Pakistan, World Applied Sciences Journal Vol.19(9);1348-1354. 

  19. Y.W. Sohn, J. Shin(2015), effects of employees' social comparison behaviors on distributive justice perception and job satisfaction. Social Behavior & Personality: An international journal, Vol.43(7);1071-108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