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병원 조직 및 구성원들 간 신뢰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Antecedents of Trust among Hospital Employees 원문보기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10 no.2, 2016년, pp.1 - 14  

황슬기 (수원여자대학교 보건행정과) ,  김성호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서영준 (연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antecedents of trust with regard to organization and interpersonal trust among the employees of a hospital organization. Methods : Data were collected from 942 employees who work at ten hospitals of Seoul in other cities in Korea. Collected d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병원에서의 조직신뢰와 대인간 신뢰(상사, 부하, 동료, 신뢰)에 대한 선행요인을 파악하고, 병원 조직 내 신뢰가 구성원들의 신뢰행동과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한다. 세부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무한경쟁시대에서 조직구성원 간의 신뢰가 중요한 이유는? 구성원들은 조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서로가 적극적으로 협력해야하므로 조직구성원 간의 신뢰는 팀웍을 증진시키고 조직성과를 높이기 위한 중요한 선행조건의 하나로 강조되어 왔다. 이는 불확실성의 경영환경 속에서 위기를 대처하기 위한 방안으로 조직 내 신뢰를 높이는 운영이 필요하다고 느끼기 때문이다[1]. 조직 내 신뢰는 업무성과에 직접적 영향을 미친다기 보다는 조직 내 구성원 간에 활발하고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매개체로의 역할이 더 크다고 할 수 있다.
조직신뢰란? 조직 내 신뢰의 유형은 조직이나 업무부서는 물론 최고경영진, 부서의 상사, 부하, 동료 및 다른 부서 혹은 팀 등 다계층적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이를 크게 두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면 조직 실체에 대한 신뢰와 조직 구성원 간 신뢰로 나눌 수 있다. 조직신뢰는 조직 구성원들이 자신이 속한 조직에 대해 얼마나 믿고 의지할 수 있는지에 대한 신뢰이며 이는 조직을 끌어가는 최고경영진에 대한 신뢰와 관련이 있다. 이는 주로 최고경영진의 경영방식, 전략, 평가방식 그리고 보상체계 등에 영향을 받아 구성원들 사이에서 형성되는 신뢰이다[10].
대인간 신뢰는 어떻게 분류되는가? 대인간 신뢰는 조직 내 개인과 개인 간에 형성되는 신뢰로 가까운 상사나 동료와의 상호작용에서 형성되는 신뢰를 말한다. 즉, 대인간 신뢰는 부하의 상사에 대한 신뢰, 상사의 부하에 대한 신뢰, 동료 간 신뢰로 나눌 수 있다. 이는 신뢰대상의 행동이나 의도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를 바탕으로 자신에게 미칠 수 있는 위험부담을 기꺼이 수용하려는 심리적 상태를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S.B. Kim(2010), High Reliability Organization, SERI, pp.1-10. 

  2. M.R. Covey, S.(2009), The Speed of Trust, Gimm-Young Publisher Inc, p.36. 

  3. H.C. Lim, B.S. Lee, K.K. Park(2005), The Effects of Subordinate's Characteristics on Superior's Reaction and Subordinate's Attitud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Superior's Trust to Subordinate-, Vol.29(3);1-30. 

  4. D.J. McAllister(1995), Affect and Cognition Based Trust as Foundations for Interpersonal Cooperation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8(1);24-59. 

  5. H. Lee(2002), Related Factor of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Hospital-Self-Efficacy, Faith in Supervisor, The Graduate School of Master Degree of Yonsei university, pp.10-25. 

  6. J.K. Butler(1991), Toward Understanding and Measuring Conditions of Trust: Evolution of a Conditions of Trust Inventory, Journal of Management, Vol.17(3);643-663. 

  7. O.E. Williamsons(1993), Caculativeness, Trust, and Economic Organization, Journal of Law and Economics, Vol.36(1);453-486. 

  8. P.M. Doney, J.P. Cannon, M.R. Mullen(1998), Understanding the Influence of National Culture on the Development of Trus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3(3);601-621. 

  9. D.M. Rousseau, S.B. Sitkin, R.S. Burt, C. Camerer(1998), Not so Different After all : A Cross-Discipline View of Trust,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3(3);393-404. 

  10. D.P. McCauley, K.W. Kuhnert(1992), A Theoretical Review and Empirical Investigation of Employee Trust in Management, PAQ, Vol.16(2);265-285. 

  11. J. Cook, T. Wall(1980), New Work Attitude Measures of Trust, Organizational Review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Personal Need Non-Fulfillment,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Vol.53(1);39-52. 

  12. C.F. Ashley, J.G. Michele(2012), At What Level(and in Whom) We trust : Trust Across Multiple Organizational Levels, Journal of Management, Vol.38(4);1167-1230. 

  13. J.A. Colquitt, J.A. LePine, R.E. Piccolo, C.P. Zapata, B.L. Rich(2012), Explaining the Justice-Performance Relationship: Trust as Exchange Deepener or Trust as Uncertainty Reduce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7(1);1-15. 

  14. S.K. Hwang, K.M. Ahn, H.C. Chong(2013), The Study of Determinants of Hospital Organization Trust Leading to Trust in Hospital Worker's Organization Trust,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Vol.7(2);113-124. 

  15. C.X. Jiang, R.Y. Chua, M. Kotabe, J.Y. Murray(2011), Effects of Cultural Ethnicity, Firm Size, and Firm Age on Senior Executives' Trust in Their Overseas Business Partners: Evidence from China, Journal of International Business Studies, Vol.42(1);1150-1173. 

  16. A.F. Cameron, J. Webster(2011), Relational Outcomes of Multicommunicating: Integrating Incivility and Social Exchange Perspectives, Organizational Science, Vol.22(3);754-771. 

  17. D.L. Ferrin, K.T. Dirks, P.P. Shah(2006),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Third-Party Relationships on Interpersonal Trust,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1(4);870-883. 

  18. Y.S. Lee(2003), Determinants of Company Trust and Leader Trust and Their Effectiveness, Graduate school of Dissertation of Ph.D. Sungkyunkwan university, pp.10-15. 

  19. B.Y. Choi, D.Y. Yoon, Y.B. Cho(2008), An Empirical Study on the Impact of Perceived Organizational Justice and Trust on the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or the Small and Medium Manufacturers-Focused on the Evaluation of the Proposed Models-. Korean academy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Vol.15(3);193-211. 

  20. J. Selter, R.E. Numerof(1988), Supervisory Leadership and Subordinate Burnout,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31(2);439-446. 

  21. J. Lee, Y.C. Chang(2004), A Study of the Influence of Leadership Type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Korean Academy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Vol.28(1);137-172. 

  22. H.J. Kim(2010), The Effect of Social Responsibility Activities on Corporate Images, Korean Management Consulting Review, Vol.10(3);67-87. 

  23. H.R. Kim(2009), The Effects of Corporate Image on Employees Identification and Affective Well-being, The Korean Academic Association of Business Administration, Vol.22(2);913-929. 

  24. H.W. Park, J.H. Hahn(2011), A Study on the Effect of CSR on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OCB, Journal of Organization and Management, Vol.35(3);115-140. 

  25. S.H. Kang, J.N. Kim, Y.J. Seo(2015), Social Responsibility of Korean Hospitals: Workers' Survey and Its Implications, Korean Public Health Research, Vol.41(3);51-6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