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학설계 측면에서 한국 STEAM 프로그램 분석틀 제안
Suggesting an Analysis Framework for Korea STEAM Programs in the Perspective of Engineering Design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1 no.1, 2018년, pp.63 - 77  

이동영 (부산대학교) ,  남윤경 (부산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 STEAM 프로그램에 공학 설계(Engineering Design)가 얼마나 반영되었는지 분석한 것이다. Gusey et al. (2014)의 STEM 프로그램 분석도구를 바탕으로 41개의 STEAM 프로그램을 분석하는 예비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STEAM 프로그램의 특성에 맞게 유형을 분류할 수 있는 핵심 요소와 분석 도구를 제안하였다. 한국 STEAM 프로그램의 분석 요소는 Gusey et al. (2014)가 제안한 요소와 더불어 과학 탐구과정과 과학 내용과 관련된 5개의 요소들이 추가되었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요소와 분석틀을 사용하여 76개의 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한국STEAM 프로그램은 공학설계 요소의 반영 비율이 낮고(28.5%) 과학 내용 중심적이며(62.3%) 완전한 공학 설계 과정이 반영된 프로그램은 5.8%에 불과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Korea STEAM Programs in the perspective of Engineering Design. A pilot study of analyzing 41 STEAM programs was conducted by using Guzey et al. (2014)'s STEM program analysis framework. Based on the pilot study result, we suggested specific criteria to analyz...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학설계 측면에서 한국 STEAM 분석이라는 본 연구의 목적에 비추어 볼 때 Guzey et al. (2014)에서 제시된 기준을 우선적으로 고려하여 한국적 STEAM 프로그램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 STEAM프로그램을 평가할 수 있는 요소들을 제안하고자 한다.
  • , 2014)을 바탕으로 한국과학창의제단에서 제시하고 41개의 STEAM 프로그램을 분석하는 예비 연구를 진행하여 이를 바탕으로 공학 설계 측면에서 한국형 STEAM 프로그램 분석을 위한 기준 요소를 찾아 내고 이를 분석 틀로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첫 번째 목표이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된 분석틀을 바탕으로 한국창의재단에서 2016년에 개발된 76개 STEAM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공학 설계 측면에서 한국 STEAM 프로그램을 분석하는 것이 두 번째 연구 목표이다. 본 연구 목표 달성을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STEAM 프로그램을 공학 설계에 근거하여 분석하기 위한 틀을 제안하고 이에 따른 한국 STEAM 분석 결과를 제시 하고자 한다. 먼저 공학 설계 요소에 근거해서 개발된 미국 STEM 프로그램 분석 기준 (Guzey et al.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 STEAM 프로그램을 공학 설계에 근거하여 분석하기 위한 틀을 제안하고 이에 따른 한국 STEAM 분석 결과를 제시 하고자 한다. 먼저 공학 설계 요소에 근거해서 개발된 미국 STEM 프로그램 분석 기준 (Guzey et al., 2014)을 바탕으로 한국과학창의제단에서 제시하고 41개의 STEAM 프로그램을 분석하는 예비 연구를 진행하여 이를 바탕으로 공학 설계 측면에서 한국형 STEAM 프로그램 분석을 위한 기준 요소를 찾아 내고 이를 분석 틀로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첫 번째 목표이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된 분석틀을 바탕으로 한국창의재단에서 2016년에 개발된 76개 STEAM 프로그램을 분석하여 공학 설계 측면에서 한국 STEAM 프로그램을 분석하는 것이 두 번째 연구 목표이다.
  • 본 연구는 한국 STEAM 프로그램을 공학설계의 측면에서 분석하기 위해 적절한 도구를 제안하고 이를 적용하여 STEAM 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를 제시하는 순서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순서는 (그림 1)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재 한국 STEAM 교육이 끼치는 영향은? 현재 한국 STEAM 교육은 융합인재 교육이라는 이름으로 과학 교육뿐 아니라 수학, 기술, 예술 등 여러 과목에서 초·중등학교 교육방법에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 특히 2009 개정 교육과정 이후, 각 급 학교에서는 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STEAM교육을 교육과정 내에서 실시하도록 하면서 모든 학생들이 STEAM 활동을 경험 하고 있다.
한국형 융합인재 교육이 다른 선진국의 STEM 교육과 보이는 다른 양상은? 그 중 한 가지 예로 STEAM 교육의 목적을 들 수 있다. STEM 교육이나 융합적 STEAM 교육은 이공계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학업성취도와 전문성의 개발, 그리고 여학생과 소수민족의 이공계 출신을 장려라는 목적을 가지지만 한국 STEAM교육은 그 모형 (예, 박현주 외, 2012) 에서도 알 수 있듯이 흥미 증진, 실생활연계, 융합적 사고력 배양을 강조한다(백윤수 외, 2012; 이상균과 이하룡, 2013; 최은영 외, 2017). 또한 STEM 교육이 다루고 있는 교육적 논의의 범위에서도 차이가 있다. 김민철(2013)은 STEM 교육에 대한 논의는 철학부터 시작하여 질 관리까지 다양한 영역에 대하여 활발한 논의가 일어나고 있는 반면, 한국 STEAM 교육에 대한 논의는 주로 개발과 적용, 효과성 검증에 집중하고 있다고 보고하였다.
한국 STEAM 준거틀의 문제는? 이러한 차이는 학교 현장에서 한국 STEAM 교육의 기준 이라고 할 수 있는 STEAM 준거틀에서 다루는 내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 심재호 외 (2015)는 한국 STEAM 준거틀의 문제를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기술하고 있다; 첫째, 한국 STEAM 준거틀은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고 너무 많은 내용을 요구하고 있어서 현장 교사들이 실천하기에 매우 부담스럽고 명확한 목적을 제시하고 있지 않다는 것과 둘째, 한국 STEAM은 그 준거틀에서 교과의 핵심 개념 또는 아이디어가 제시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강주원, 남윤경(2016). 융합인재교육(STEAM)을 위한 창의적 공학문제해결 성향 검사도구 개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3), 276-291. 

  2. 공준호, 홍승호(2017). '뼈와 근육'을 주제로 한 STEAM 프로그램이 초등학생들의 기초 탐구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생물교육학회지, 45(3), 344-354. 

  3. 교육과학기술부(2012), 2009 개정 과학 교사용 지도서. 

  4. 교육부(2017). 2015 개정 과학 교사용 지도서 현장 검토본. 

  5. 김민철(2013). 미국의 STEM 교육 정책과 한국의 STEAM 교육 정책의 비교.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6. 김용진, 김어진, 류민정, 문병무, 민재식, 이승석, 이승우, 이윤형, 이종선, 주경남, 최선영, 최윤희, 한효정(2017). 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의 분석 및 콘텐츠 맵 개발 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결과보고서. 

  7. 김지영, 박은미, 박지은, 방담이, 이윤하, 윤회정 (2015). 통합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3), 403-417. 

  8. 김지영, 박은미, 박지은, 방담이, 이윤하, 윤회정 (2015). 통합교육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3), 403-417. 

  9. 문대영(2008). STEM 통합 접근의 사전 공학 교육프로그램 개발, 공학교육연구, 11(2), 90-101. 

  10. 문대영(2009). 초등학생의 공학에 대한 태도 및 공학 문제 해결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2(4), 51-66. 

  11.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이주연, 정진수, 최종현. (2012). 융합인재교육 (STEAM) 실행방향 정립을 위한 기초연구. 한국과학창의재단 연구 보고서. 

  12. 성의석, & 나승일(2012). 통합적 STEM 교육이 일반고등학교 학생의 과학 및 기술교과 자기효능감과 공학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1), 255-274. 

  13. 신영준, 한선관(2011). 초등학교 교사들의 융합인재교육(STEAM)에 대한 인식 연구, 초등과학교육, 30(4), 514-523. 

  14. 심재호, 이양락, 김현경(2015). STEM, STEAM 교육과 우리나라 융합인재교육의 이해와 해결 과제, 한국과학교육학회, 35(4), 709-723. 

  15. 옥현주(2011). 영국의 STEM 교육 동향과 시사점, KEDI 교육정책포럼 215, 28-32. 

  16. 이상균, 이하룡(2013). 프로젝트 기반 STEAM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6(1), 78-86. 

  17. 이선주(2015). 공학적 설계 과정을 강조한 과학 수업이 공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과학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8. 이춘식(2008). 학생들의 기술에 대한 태도 척도 개발, 실과교육연구, 14(2), 157-174. 

  19. 이효녕, 권혁수, 박경숙, 오희진 (2014). 과학 탐구 기반의 통합적 STEM 교육 모형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 34(2), 63-78 

  20. 조향숙(2012). 융합인재교육(STEAM)의 정책, 연구, 실천, 융합인재교육 STEAM 학술대회 자료집, 13-28. 

  21. 최은영, 문병찬, 한광래(2017). 국내 융합인재교육(STEAM)의 연구 동향 분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2), 185-198. 

  22. Bevins, S. (2012). STEM: Moving the liberal arts education into the 21st century. Technology and Engineering Teacher, 71(4), 10-13. 

  23. Brophy, S., Klein, S., Portsmore, M., & Rogers, C. (2008). Advancing engineering education in P-12 classrooms.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97(3), 369-387. 

  24. Eger, J. M. (2011). National Science Foundation slowly Turning STEM to STEAM. Retrieved from http://www.huffingtonpost.com/john-m-eger/national-science-foundati_b_868449.html. 

  25. Glancy, A. W., & Moore, T. J. (2013). Theoretical foundations for effective STEM learning environments. 

  26. Guzey, S. S., Tank, K., Wang, H. H., Roehrig, G., & Moore, T. (2014). A high-quality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of grades 3-6 for implementing engineering into classroom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14(3), 139-149. 

  27. Hjalmarson, M., & Lesh, R. (2008). Engineering and design research: Intersections for education research and design. Handbook of design research methods in education: Innovations in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learning and teaching, 96-110. 

  28. Moore, T. J., Glancy, A. W., Tank, K. M., Kersten, J. A., Smith, K. A., & Stohlmann, M. S. (2014). A framework for quality K-12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Journal of pre-college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29. Moore, T. J., Tank, K. M., Glacy, A. W., & Kersten, J. A. (2015). NGSS and the landscape of engineering in K-12 state science standard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2(3), 296-318. 

  30. Nam, Y., Lee, S. J., & Paik, S. H. (2016). The Impact of Engineering Integrated Science (EIS) Curricula on First-Year Technical High School Students' Attitudes -toward Science and Perceptions of Engineering. Eurasia Journal of Mathematics, Science & Technology Education, 12(7), 1881-1907. 

  31. National Research Council (2009). Engineering in K-12 education: Under standing the status and improving the prospect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32.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 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 core idea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33.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3), Developing Assessments for the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y Press. 

  34. NGSS Lead States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Washington, DC: The National Academy Press. 

  35. Pinnell, M., Rowly, J., Preiss, S., Franco, S., Blust, R., & Beach, R. (2013). Bridging the gap between engineering design and PK-12 curriculum development through the use the STEM education quality framework. Journal of STEM Education: Innovations and Research, 14(4), 28-35 

  36. Platz, J. (2007) How do you turn STEM into STEAM? Add the Arts!. Retrieved from http://www.oaae.net/index.php/en/resources/educator/stem-to-steam. 

  37. Roehrig, H. H., Moore, T. J., Wang, H. H., & Park, M. S. (2012). Is adding the E enough? Investigating the impact of K-12 engineering standards on the implementation of STEM integration.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12(1), 31-44. 

  38. Roehrig. H. (2017, January). A Curricular Framework for Integrated STEM. In chairperson Nam. Y. Science and Engineering Integrated STEM Education. Workshop conducted at the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South Korea. 

  39. Strauss, A., &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Procedures and techniqu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40. Tarnoff, J. (2010). STEM to STEAM-recognizing the value of creative skills in competitiveness debate. Retrieved from http://www.huffingtonpos 

  41. Yakman, G. (2008). STE@M Education: An overview of creating a model of integrative education. Retrieved from http://steamedu.com/wp-content/uploads/2014/12/2008-PATT-Publication-STEAM.pdf.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