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기술과 관련된 사회적 쟁점에 대한 논증 프로그램이 예비 생물교사들의 의사결정 유형과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SI Argumentation Program on the Preservice Biology Teachers' Decision-Making Types and Communication Ability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2 no.1, 2018년, pp.12 - 26  

김선영 (조선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과학기술과 관련된 사회적 쟁점에 대한 논증 프로그램을 통해 예비 생물교사들의 의사결정 유형과 의사소통 능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또한 의사결정 유형과 의사소통 능력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고, 예비생물 교사들은 SSI 논증 프로그램 후 의사소통 및 의사결정에 관해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지 살펴보았다. SSI 논증 프로그램은 사회적 의사결정과 문제해결전략을 활용하여 개발되었으며, 낙태, 안락사, 유전자 조작인공지능을 주제로 총 12차시에 걸쳐 진행되었다. 예비교사들은 SSI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책을 생각하며, 최선의 방안을 결정하도록 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소집단 토론을 통해 사회과학적 문제에 대한 논증 활동의 기회를 가졌다. 연구 결과, 예비 교사들의 의사소통 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을 나타냈으나, 의사결정 유형에는 변화가 없었다. 또한 Pearson 상관 분석 결과, 의사결정 유형 중 '합리적 유형'은 의사소통 능력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예비교사들은 사회과학적 쟁점에 대한 논증 프로그램을 통해 근거, 자료, 맥락, 반론 등을 고려하여 자신의 주장을 말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고 언급하였다. 또한 사회과학적 문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다른 사람의 비판을 수용할 수 있게 되었을 뿐만 아니라 자신도 다른 사람을 배려하면서 자신의 의견을 말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하여 과학교육에서 SSI 논증 활동을 통한 인성 교육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SSI argumentation program on the preservice biology teachers' decision-making types and communication ability. The SSI argumentation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Social Decision-Making & Problem-Solving strategy' and Toulmin's argumentation pattern. The preserv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각각의 SSI에서 예비교사들은 SSI에 대한 감정을 표현하고, 문제를 인식하며, 목표를 설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SSI에 대한 대안책을 생성하여 가능한 결과를 예상하고 최선의 해결방안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과정에서 조별 논증 토론을 하도록 하여 자신의 주장에 대한 정당한 이유, 근거, 그리고 반박을 할 기회를 제공하였다.
  • 본 연구는 과학기술과 관련된 사회적 쟁점에 대한 논증 프로그램 후 예비 생물교사들의 의사결정유형 및 의사소통 능력의 변화를 살펴보고, 의사결정 유형과 의사소통 능력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또한, 예비 생물교사들은 SSI 논증 프로그램을 통해 의사소통 및 의사결정에 관해 어떠한 경험을 하였는지 살펴보았다.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예비 생물교사를 대상으로 과학기술과 관련된 사회적 쟁점에 대한 논증 프로그램을 경험하도록 한 후 의사결정 유형과 의사소통 능력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살펴보았다. SSI에 대한 논증 프로그램은 8가지의 사회적 의사결정과 문제해결전략 및 Tolmin의 논증 요소를 활용하여 구성되었으며, 예비교사들은 한 학기 동안 총 4가지의 SSI주제를 경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논증의 과정이 가져오는 장점은 무엇인가? 논증은 자신의 관점을 정당화하고 방어하기 위한 주장을 하고, 주장을 뒷받침할 근거를 수집하고, 주장의 타당성을 판단하기 위해 근거를 평가하는 언어적, 사회적, 이성적 활동이다 (Bricker & Bell, 2008). 이러한 과정에서 서로 다른 상대방의 관점을 이해하고, 인지적 부조화를 인식할 뿐만 아니라 반성과 추론을 통해 지식을 함께 구성해 나가는 과정에 참여하게 된다(Chin & Osborne, 2010).
SSI란? SSI는 과학과 관련된 사회적·윤리적 문제 상황 또는 딜레마를 의미하며, 개념적, 절차적, 기술적인 문제와 연관되어 있다(Zeidler et al., 2002).
논증의 역할은? 한편, 논증은 학교 과학 교육의 주요 요소로서 과학 지식이 생성되고, 재조직되고, 때로는 폐기되는 인식론적(epistemological), 사회적(social) 과정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해 준다(Bricker & Bell, 2008; Lawson, 2003). 학생들은 근거를 통해 주장을 뒷받침하고, 다른 사람의 주장과 근거에 도전하며, 자신의 주장 또한 수정해 나가는 논증에 참여함으로써 현상을 이해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Bricker, L. A., & Bell, P. (2008). Conceptualizations of argumentation from science studies and the learning sciences and their implications for the practices of science education. Science Education, 92(3), 473-498. 

  2. Chang, H. S., & Lee, H. J. (2010). College students' decision-making tendencies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issues (SSI).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0(7), 887-900. 

  3. Chin, C., & Osborne, J. (2010). Students' questions and discursive interaction: Their impact on argumentation during collaborative group discussions in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7(7), 883-908. 

  4. Driver, R., Newton, P., & Osborne, J. (2000). Establishing the no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s. Science Education, 84(3), 287-312. 

  5. Elias, M. J., & Tobias, S. E. (1990). Problem solving/decision making for social and academic success. Washington, DC: National Education Association. 

  6. Geddis, A. N. (1991). Improving the quality of science classroom discourse on controversial issues. Science Education, 75(2), 169-183. 

  7. Harren, V. A. (1979). A model of career decision making f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 14(2), 119-133. 

  8. Jang, J., Mun, J., Ryu, H., Choi, K., Krajcik, J., & Kim, S. (2012).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s Global Citizens of Socioscientific Issu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2(7), 1124-1138. 

  9. Ju, I., & Lee, H. (2013). Patterns of middle school students' value-judgement and decision-making on biotechnology-related socioscientific issue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3(1), 79-93. 

  10. Kim, J., Ko, Y., & Lee, H. (2016). Effects of sociosientific issues instructio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character and values as a global citizens.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9(3), 1-25. 

  11. Ko, Y., & Lee, H. (2017). Comparision of the effects of socioscientific issues instruction on promoting college students’ character and values: Based on idiocentrism and allocentris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3), 395-405. 

  12. Koh, H. (1992).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career counseling on Korean college students' decision making styles and on career decision making statu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ookmyung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3. Lawson, A. (2003). The nature and development of hypothetico­predictive argumentation with implications for science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11), 1387-1408. 

  14. Lederman, N. G. (1992). Students' and teachers' concep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A review of the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331-359. 

  15. Lee, H. (2008). Decision-making pattern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on socioscientific issue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12(2), 377-395. 

  16. Lee, S., Chang, Y., Lee, H., & Park, K. (2003).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fe-skills: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Seoul: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EDI]. 

  17. Lee, Y. C. (2007). Developing decision-making skills for socio-scientific issues.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41(4), 170-177. 

  18. Lim, M., & Jung, S. (2013). An analysis of changes in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decision-making on socioscientific issues in biotechnology.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17(4), 1501-1522. 

  19. Miles, M. B., & Huberman, A.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An expanded sourcebook.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Inc. 

  20. Millar, R., & Osborne, J. (Eds.) (1998). Beyond 2000: Science education for the future: A report with ten recommendations. London, England: King's College London, School of Education. 

  21. Ministry of Education [MOE]. (2015). 2015 Revised Science Curriculum. Sejong: Author. 

  22. Sadler, T. D. (2004). Informal reasoning regarding socioscientific issues: A critical review of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5), 513-536. 

  23. Sadler, T. D., Chambers, F. W., & Zeidler, D. L. (2004). Student conceptualizations of the nature of science in response to a socioscientific issu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6(4), 387-409. 

  24. Sadler, T. D., & Donnelly, L. A. (2006). Socioscientific argumentation: The effects of content knowledge and mora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12), 1463-1488. 

  25. Sadler, T. D., & Zeidler, D. L. (2005). Patterns of informal reasoning in the context of socioscientific decision mak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1), 112-138. 

  26. Strauss, A., & Corbin, J. M.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Inc. 

  27. Toulmin, S. (1958). The uses of argument.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28. Zeidler, D. L., Walker, K. A., Ackett, W. A., & Simmons, M. L. (2002). Tangled up in views: Beliefs in the nature of science and responses to socioscientific dilemmas. Science Education, 86(3), 343-36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