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사이버불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 연구 :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convergence study of smartphone overuse on cyberbullying : Focusing on mediating effects of aggressio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5, 2018년, pp.61 - 67  

우진주 (경북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곽은미 (경북보건대학교 간호학과) ,  이혜진 (경북보건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사이버불링의 관계에서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K시에 거주하는 고등학생 328명을 대상으로 자가보고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22.0과 AMOS 2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사이버불링은 스마트폰 과다사용(r=.321, p<.001), 공격성(r=.397, p<.001)과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스마트폰 과다사용은 공격성(${\beta}=.195$, p=.014)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공격성은 사이버불링(${\beta}=.260$, p=.007)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마트폰 과다사용은 공격성(${\beta}=.051$, p=.007)을 매개로 하여 사이버불링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고등학생의 사이버불링을 감소시키기 위해 스마트폰 과다사용에 대한 규제와 함께 공격성 감소를 위한 사이버 윤리의식 교육 프로그램 개발 등이 필요할 것이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certain the mediating effects of aggression in high school students' relationship with smartphone overuse and cyberbullying. Data were collected from 328 high school students in K city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한국의 스마트폰 사용량과 보급률은 외국에 비해서 훨씬 높은 편이나[6] 아직까지 과다사용에 대한 규제나 사이버불링에 대한 명확한 법적 제제는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사이버불링은 더욱 심각해질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사이버불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 관계에서 공격성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이버불링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과 함께 청소년 세대의 건강한 발달을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사이버불링은 더욱 심각해질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사이버불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 관계에서 공격성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사이버불링을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과 함께 청소년 세대의 건강한 발달을 위한 중재프로그램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스마트폰 과다사용과 사이버불링의 관계에서 공격성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Fig.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사이버불링에 미치는 영향과 이 관계에서 공격성의 매개 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이버불링이란 무엇인가? 대표적인 역기능으로 지적되고 있는 것이 사이버불링인데 그동안 학교만의 문제라고 생각되어 왔던 전통적인 괴롭힘(bullying)이 최근 전자 정보의 영역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면서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다[3]. 사이버불링은 사이버(cyber)와 불링(bullying)이 결합된 신조어로 온라인상에서 힘의 불균형으로 인해 발생되는 행동을 뜻한다. 다시 말해 쉽게 방어할 수 없는 개인이나 집단에 대해 수행된 공격적이며 의도적이고 반복적인 괴롭힘을 의미한다[4,5].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사이버불링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국내 배경은 무엇인가? 사이버불링은 개인뿐만 아니라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 등 사회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청소년 문제이다. 한국의 스마트폰 사용량과 보급률은 외국에 비해서 훨씬 높은 편이나[6] 아직까지 과다사용에 대한 규제나 사이버불링에 대한 명확한 법적 제제는 없는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을 고려할 때 사이버불링은 더욱 심각해질 수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과다사용이 사이버불링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 관계에서 공격성의 매개 효과를 확인하고자 한다.
스마트폰 사용의 증가에 따라 사이버불링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2013년 인터넷 사용 실태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10명 중 8명이 스마트폰을 소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6] 스마트폰이 청소년들 사이에서 급속히 확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스마트폰 사용의 증가와 함께 모바일 메신저나 SNS를 통한 청소년 또래문화의 형태가 다양해지면서 단체 카톡방, 페이스북 등을 통한 상시적 괴롭힘이 이루어지는 사이버불링이 두드러지게 증가하고 있다[7-9]. 특히 고등학생의 3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J. H. Lee. & S. C. Ahn. (2013). A study on the cyberbullying for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gal response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review for the legislative introduction. Conflict Resolution Research. 11(1), 133-157. 

  2. S. Resett. & M. G. Guadix. (2017). Traditional bullying and cyberbullying : differences in emotional problems, and personality. Are Cyberbullies more machiavellians?. Journal of Adolescence. 61, 113-116. DOI : https://doi.org/10.1016/j.adolescence.2017.09.013 

  3. F. Mishna, M. Saini. & S. Solomon. (2009). Ongoing and online : children and youth's perceptions of cyberbullying.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31(12), 1222-1228. 

  4. D. Olweus. (1996). Bullying at school : knowledge base and an effective intervention program.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794(1), 265-276. 

  5. I. Whitney. & P. K. Smith. (1993). A survey of the nature and extent of bullying in junior / middle and secondary schools. Educational Research. 35(1), 3-24. 

  6. H. Cho. (2013). A study on the usage status of smartphone users by gender and age. Internet & Security Focus. 11, 35-51. 

  7. C. K. Kang. (2017). The strategies for cyberbullying interventions of peer counselors. Forum For Youth Culture. 52, 7-35. 

  8. N. Brody. & A. L. Vangelisti. (2017). Cyberbullying : topics, strategies, and sex differenc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75, 739-748. 

  9. S. Shin. (2016). A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strain and cyberbullying among adolescents. Journal of the Social Science. 23(1), 339-366. 

  10. R. Kowalski, S. P. Limber. & P. Agaston. (2008). Cyberbullying : Bulllying in the digital world. New Jersey. Blackwell Publishing. 

  11. K. H. Lee. (2014). Criminal measures against cyberbullying. Law Review. 56, 269-289. 

  12. H. Y. Kim. & J. S. Min. (2014). A study on the factors of youth cyberbullying : focused on off-line bullying and social media addiction.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8(4), 323-333. 

  13. R. Kowalski, S. P. Limber. & A. McCord. (2018). A developmental approach to cyberbullying : prevalence and protective factors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DOI : https://doi.org/10.1016/j.avb.2018.02.009 

  14. C. H. Lee. & N. M. Shin. (2017). Prevalence of cyberbullying and predictors of cyberbullying perpetra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68, 352-358. DOI : https://doi.org/10.1016/j.chb.2016.11.047 

  15. T. K. Oh. (2013).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bullying victimized experience and emotional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18(12), 207-215. 

  16. D. Sharma, J. Kishore., N. Sharma. & M. Duggal. (2017). Aggression in schools : cyberbullying and gender issues. Journal of Asian Psychiatry. 29, 142-145. 

  17. E. J. Kim & J. M. Jeong. (2016).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chool life satisfaction, school violence, cyberbullying damage in high school. Journal of the Korean Youth Studies. 23(7), 87-115. 

  18. S. N. Kim, E. H. Bang. & Y. S. Han. (2017). Meta-analysis for exploring predictors of cyberbullying perpetration among youth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5), 18-33. 

  19. P. K. Smith. (2012). Cyberbullying and cyber aggression. Handbook of school violence and school safety. London. Routledge, 111-121. 

  20. S. M. You, J. M. Kim. & C. G. Kim. (2017). The effects of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on cyberbullying perpetration :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yberbullying victimization. Journal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33(3), 63-82. 

  21. C. H. Lee. & K. S. Lee. (2013). An exploration of the impact of social media use on cyberbullying by youth : a focus on network characteristics, Journal of the Korea Youth Studies. 24(3), 259-285. 

  22. J. W. Patchin. & S. Hinduja. (2006). Bullies move beyond the schoolyard : a preliminary look at cyberbullying. Youth Violence and Juvenile Justice. 4(2), 148-169. 

  23. V. Dzukaeva. (2014). Family characteristics of psychological separation from parents during late adolescence.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46, 346-352. 

  24. S. S. Lee. & S. H. Jun. (2015). An study on the causes of university students' cyberbullying : three smartphone uses of texting, sns and internet. Korean Criminological Review. 26(3), 187-207. 

  25. J. Y. Lee. & D. P. Park. (2015). The effects of parental overprotection on cyber violence experience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trait anger and aggression. Journal of the Korea Youth Counseling. 23(1), 55-76. 

  26. D. R. Boyd, H .L. Bee. & P. A. Johnson. (2014). Lifespan Development. London. Pearson. 

  27. Y. O. Cho. (2013). The impact of cyberbullying victim experience and the influence of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on delinquent behaviors. Journal of the Korean Youth Studies. 20(10), 117-142. 

  28. S. Icellioglu. & M. S. Ozden. (2014). Cyberbullying : a new kind of peer bullying through online technology and its relationship with aggression and social anxiety.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16, 4241-4245. 

  29. F. Paul, E. Erdfelder, A. G. Lang. & A. Buchner. (2015). G* Power 3 : A flexible statistical power analysis program for the social, behavioral, and biomedical sciences. Behavior Research Methods. 39(2), 175-191. 

  30.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2011). Development of smartphone addiction diagnosis scale. Seoul.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31. Y. I. Ko. (1993). Relationship between anger expression style and depression and aggression in university students. Doctoral dissertation. Pusan University, Busan. 

  32. H. Y. Na. (2016). The mediating effects of attitude toward school violence and 4644viol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yberbullying and smartphone overuse of high school students. Master's thesis. Myongji University, Seoul. 

  33. K. S. Paek. (2017). A convergence study the association between addictive smartphone use, dry eye syndrome, upper extremity pain and depression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 61-6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