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동연구 네트워크에서 중심성과 연구성과 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entrality and Research Performance in Collaborative Research Network 원문보기

정보처리학회논문지.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7 no.5, 2018년, pp.169 - 176  

문성구 (동국대학교 경영정보학) ,  김인재 (동국대학교 경영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지난 10년간 사회과학저널 전체에 대한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여 중심성과 연구성과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절대적인 논문 수를 기준에 따른 상, 중, 하 그룹으로 연구성과와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한 결과 대부분의 그룹에서 중심성과 연구 생산성의 상관관계는 높은 상관관계가 나왔지만 연구의 영향력과 인용 속도는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지 않았다. 또한, 종합적인 연구성과와의 관계에서는 중위 그룹의 상관관계가 상위 그룹보다 더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trality and the research performance by conducting the social network analysis for the social science journal in the last 10 years. As a result of the relationship analysis, the correlation between centrality and research produ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공저 네트워크의 이진 및 가중 네트워크의 중심성과 연구성과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지난 10년간의 사회과학 학술지를 게재 논문을 대상으로 상관관계를 분석 실시하였다. 공동연구에 참여하는 역할을 연구자마다 명백하게 구분할 수는 없으나 누적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연구 생산성이 높은 연구자를 상․중․하위로 구분하여 네트워크 중심성과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현재까지 진행된 공저 네트워크 분석에 있어서 가장 큰 규모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한 것이 본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으며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지난 10년간 사회과학 분야 학술지 전체를 대상으로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실시하여 네트워크 특성을 살펴봄과 동시에 관계 내의 중심성이 연구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이진(Binary) 및 가중(Weighted) 네트워크의 중심성 지수와 계량정보학적 연구성과로 대변되는 논문 수, 인용 빈도 그리고 H-지수와의 관계를 분석한다. 또한, 대표적 연구 생산성 지표인 연구자별 논문 수를 중심으로 연구자 그룹을 분류하고 그룹별 공저 네트워크의 중심성과 연구성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셜 네트워크 분석의 목적은 무엇인가? 소셜 네트워크 분석의 목적은 연결망 형태의 특징을 도출하고, 관계성으로 체계의 특성을 설명하거나 체계를 구성하는 단위의 행위를 설명하는 것이다[1], 소셜 네트워크의 정보 확산 패턴 및 구조 분석 문제는 크게 두 가지의 방법으로 접근되어왔다. 한 가지 방법은 확산 패턴 및 구조의 근본적 원리에 대한 이해 및 수학적 모델링을 통한 변화 양상을 연구하는 것이고 다른 방법은 빅 데이터 분석 기법을 도입하여 소셜 네트워크 데이터를 직접 분석하여 얻은 결과를 통해 실제 소셜 네트워크에 대한 과학적 사실을 연구하는 것이다[2].
네트워크의 특성을 보다 체계적,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수단으로 계랑 수지 분석에 있어서 널리 활용된 것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특정 학문 분야의 지식구조는 지식을 생산하고 교환하는 학술 주체(Academic Entity)들이 복잡하게 상호 연결된 네트워크 형태로 나타난다[4]. 이러한 네트워크의 특성을 보다 체계적,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회과학 및 행동과학에서 개발된 소셜 네트워크 분석이 계량서지 분석에 있어서 널리 활용되어 왔다. Newman[5]의 연구에서는 공저자들 간 평균 경로 거리의 값을 4~9 정도로 제시하고 있고, 이는 공저 네트워크를 좁은 세상 네트워크라 불러도 무방하다는 의미로 해석되고 있다.
소셜 네트워크의 정보 확산 패턴 및 구조 분석 문제를 접근하는 두 가지 방법은 무엇인가? 소셜 네트워크 분석의 목적은 연결망 형태의 특징을 도출하고, 관계성으로 체계의 특성을 설명하거나 체계를 구성하는 단위의 행위를 설명하는 것이다[1], 소셜 네트워크의 정보 확산 패턴 및 구조 분석 문제는 크게 두 가지의 방법으로 접근되어왔다. 한 가지 방법은 확산 패턴 및 구조의 근본적 원리에 대한 이해 및 수학적 모델링을 통한 변화 양상을 연구하는 것이고 다른 방법은 빅 데이터 분석 기법을 도입하여 소셜 네트워크 데이터를 직접 분석하여 얻은 결과를 통해 실제 소셜 네트워크에 대한 과학적 사실을 연구하는 것이다[2]. 공동연구 네트워크(Collaborative Network)는 소셜 네트워크의 하위 개념으로서 특정 학술지식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들의 협력과 상호작용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특정 학술지식을 생산하는데 복수의 연구자들이 공동연구의 형태를 취하였을 경우, 그들의 관계를 네트워크로 표현한 것이며 특정 지식 도메인(Domain)의 성과 측정 및 지식 구조 분석 등의 목적으로 활용된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Y. H. Kim, "Social Network Analysis," 3rd ed., Seoul: Parkyoungsa, 2013. 

  2. B. J. Lee, Y. K. Hwang and K, M, Jeong, "Social Network Big Data Analysis and Techniques and Applications,"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 Sciences, Vol.31, No.11, pp.46-51, 2014. 

  3. S. S. Lee, "A Preliminary Study on the Co-author Network Analysis of Korean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Community,"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41, No.3, pp.297-315, 2010. 

  4. A. F. J. Van Raan, "Scaling rules in the science system: Influence of field-specific citation characteristics on the impact of research groups,"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Vol.59, pp.565-576, 2008. 

  5. M. E. J. Newman, "Scientific collaboration networks I. Network construction and fundamental results," Physical Review E., Vol.64 No.1, 2001. 

  6. L. C. Freeman,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rification," Social Networks, Vol.1, pp.215-239, 1979. 

  7. P. Bonacich, "Power and Centrality: A Family of Measures,"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92, pp.1170-1182, 1987. 

  8. L. Page and S. Brin, "The anatomy of a large-scale hypertextual Web search engine," Computer Networks and ISDN Systems, Vol.30, pp.107-117, 1998. 

  9. R. S. Burt, "Structural holes: the social structure of competition," Harvard University Press, 1992. 

  10. S. Lee and B. Bozeman, "The impact of research collaboration on scientific productivity," Social Studies of Science, Vol.35, No.5, pp.673-702, 2005. 

  11. E. Y. Li, C. H. Liao, and H. R. Yen, "Co-authorship networks and research impact: A social capital perspective," Research Policy, Vol.42, No.9, pp.1515-1530, 2013. 

  12. C. S. Park, "A Study on the Network Structure of the Public Administration Academic Community Using the Coauthor Network from 1998 to 2009," Korean Society and Public Administration, Vol.22, No.4, pp.129-153, 2012. 

  13. A. Abbasi, J. Altmann, and L. Hossain, "Identifying the effects of co-authorship networks on the performance of scholars: A correlation and regression analysis of performance measures and social network analysis measures," Journal of Informetrics, Vol.5, No.4, pp.594-607, 2011. 

  14. E. J. Kim and S. S. Lee, "Analysis of Characteristics of Knowledge Structuralization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Information Science through Network Analysis," Journal of Social Science, Vol.27, No.3, pp.53-77, 2016. 

  15. B. H. Leem, "An Effect of Co-authorship Network on Research Performance : Focusing on Co-authoring of Logos Management Review," Logos Management Review, Vol.10, No.1, pp.1-20, 2012. 

  16. S. S. Lee, "Analyt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entralities of Research Networks and Research Performances,"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44, No.3, pp.405-428, 2013. 

  17. E. J. Kim and T. W. Nam, "A Study on the Knowledge Structure Networks of International Collaboration in Psychiatr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ol.32, No.3, pp.317-340, 2015. 

  18. J. Y. Lee, "A Comparative Study on the Centrality Measures for Analyzing Research Collaboration Network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ol.31, No.3, pp.153-179, 2014. 

  19. J. Y. Lee, "Comparative Analysi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entralities in Co-authorship Networks and Research Performance Considering the Number of Co-auth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Vol.33, No.3, pp.175-199, 2016. 

  20. A. Schubert and W. Ganzel, "Mean response time - A new indicator of journal citation speed with application to physics journals," Czechoslovak Journal of Physics, Vol.36, Issue.1, pp.121-125, 1986. 

  21. S. Lehmann, A. D. Jackson, and B. E. Laurtrup, "Measures and mismeasures of scientific quality," http://arxiv.org/abs/ physics/0512238,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