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의 TEMPA 표준치, 손기능과 근력에 관한 연구
Normative Data of Upper Extremity Performance Test for Elderly (TEMPA) for Korean Adult Population and Characteristics of Hand Function and Strength 원문보기

Therapeutic science for neurorehabilitation = 신경재활치료과학, v.7 no.2, 2018년, pp.29 - 40  

이창대 () ,  정민예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박지혁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  김종배 (연세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작업치료학과)

초록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성인의Upper extremity performance test for elderly (TEMPA) 표준치를 제시하고,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성인의 손 기능의 특성과 근력의 차이를 연령별, 성별로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20세에서 59세 사이의 손 기능에 장애가 없는 성인 138명이었다. 손 기능의 특성과 근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모든 대상자에게 TEMPA, Jarmar dynamometer, pinch gauge를 시행하였다. 결과 : 성인의 손 기능에는 연령별, 성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40대와 50대에서 수행 속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성인의 근력은 40대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근력을 보였으며 50대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대부분의 결과에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 작업치료사는 중년 성인의 손기능과 근력에서 나타나는 감소의 전조 증상에 대한 관심과 그 기능 수준을 유지하기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성인의 TEMPA 표준치가 확립되었다. 이 표준치가 임상적 평가 및 근거 기반연구에 있어 유용한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stablishing clinical norms of TEMPA Korean version for Korean adult population in addition to identifying characteristics of hand function by age and gender based on the collected data. Methods : A total of 138 healthy adults between ages 20 and 59 were r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stablishing normative data of Korean TEMPA as well as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hand function and strength by age and gender based on the collected data from the adult population. The result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overall speed and qualitative movement among adult groups coheres with the former studies (Chae & Lee, 1997).
  • Thus, if this valid and reliable measurement has more normative data for various population, it would be a considerable value to occupational therapy practitioners.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establishing the normative data of TEMPA Korean version for adult population, as well as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hand function and strength in adult population through TEMPA Korean version and hand pinch strength tests.
  •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establishing norms of TEMPA Korean version for the adult population. With this data we hope more Korean researchers and occupational therapy practitioners use TEMPA in research and during intervention.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ellace, J. V., Healy, D., Besser, M. P., Byron, T., & Hohman, L. (2000). Validity of the Dexter Evaluation System's Jamar dynamometer attachment for assessment of hand grip strength in a normal population. Journal of Hand Therapy, 13(1), 46-51. Doi: 10.1016/S0894-1130(00)80052-6 

  2. Chae, K., & Lee, H. S. (1997). Assessment of Upper Extremity Function in Normal Korean Adults by Manual Function Te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5(1), 52-57. 

  3. Desrosiers, J., Hebert, R., Dutil, E., & Bravo, G. (1993). Development and reliability of an upper extremity function test for the elderly: The TEMPA. Canadi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0(1), 9-16. 

  4. Incel, N. A., Sezgin, M., As, I., Cimen, O. B., & Sahin, G. (2009). The geriatric hand: correlation of hand-muscle function and activity restriction in elderly. Internationa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32(3), 213-218.doi: 10.1097/MRR.0b013e3283298226 

  5. Jebsen, R. H., Taylor, N., Trieschmann, R., Trotter, M., & Howard, L. (1969). An objective and standardized test of hand function.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50(6), 311. 

  6. Kim, C. R., Jeon, Y. J., Kim, M. C., Jeong, T., & Koo, W. R. (2018). Reference values for hand grip strength in the South Korean population. PloS one, 13(4), e0195485. Doi: 10.1371/journal.pone.0195485 

  7. LaCroix, A. Z., Guralnik, J. M., Berkman, L. F., Wallace, R. B., & Satterfield, S. (1993). Maintaining mobility in late life. II. Smoking, alcohol consumption, physical activity, and body mass index. American Journal of Epidemiology, 137(8), 858-869. Doi: 10.1093/oxfordjournals.aje.a116747 

  8. Lee, C. D. (2015). A Study on Validity and Reliability of Upper extremity performance test for elderly (TEMPA). (Master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Retrieved from http://www.riss.kr/link?idT13873411 

  9. Lemmens, R. J., Timmermans, A. A., Janssen-Potten, Y. J., Smeets, R. J., & Seelen, H. A. (2012). Valid and reliable instruments for arm-hand assessment at ICF activity level in persons with hemiplegia: A systematic review. BioMed Central Neurology, 12(1), 21. Doi: 10.1186/1471-2377-12-21 

  10. Massy-Westropp, N. M., Gill, T. K., Taylor, A. W., Bohannon, R. W., & Hill, C. L. (2011). Hand grip strength: Age and gender stratified normative data in a population-based study. BMC research notes, 4(1), 127. Doi: 10.1186/1756-0500-4-127 

  11. Regardt, M. (2014). Hand function, activity limitation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with polymyositis and dermatomyositis. Inst for neurobiologi, vardvetenskap och samhalle/Dept of Neurobiology, Care Sciences and Society. 

  12. Russo, A., Onder, G., Cesari, M., Zamboni, V., Barillaro, C., Capoluongo, E., ... & Landi, F. (2006). Lifetime occupation and physical function: A prospective cohort study on persons aged 80 years and older living in a community.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Medicine, 63(7), 438-442. Doi: 10.1136/oem.2006.027623 

  13. Stamm, T. A., Machold, K. P., Smolen, J. S., Fischer, S., Redlich, K., Graninger, W., ... & Erlacher, L. (2002). Joint protection and home hand exercises improve hand function in patients with hand osteoarthriti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thritis Care & Research, 47(1), 44-49. Doi: 10.1002/art1.10246 

  14. Werle, S., Goldhahn, J., Drerup, S., Simmen, B. R., Sprott, H., & Herren, D. B. (2009). Age-and gender-specific normative data of grip and pinch strength in a healthy adult Swiss population. Journal of Hand Surgery (European Volume), 34(1), 76-84. Doi: 10.1177/175319340809676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