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프로바이오틱 Lactobacillus brevis SBB07의 균체량 증가를 위한 배양 조건 최적화
Statistical Optimization of Culture Conditions of Probiotic Lactobacillus brevis SBB07 for Enhanced Cell Growth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28 no.5 = no.217, 2018년, pp.577 - 586  

정수지 ((재)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  양희종 ((재)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  류명선 ((재)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  서지원 ((재)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  정성엽 ((재)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  정도연 ((재)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보의 블루베리로부터 분리하여 프로바이오틱스 특성이 우수한 Lactobacillus brevis SBB07의 기능성에 관한 연구에 이어, 산업적 적용을 위한 배양 시간, 배양용 배지의 성분 및 농도, 초기 pH, 배양 온도의 영향 등을 조사하였다. SBB07의 균체량 증진을 위한 배지 최적화를 수행하였고 이를 위해 통계적 방법인 Plackett-Burman design (PBD)와 central composite design (CCD)를 이용하여 배지의 성분 및 최적 농도를 확인하였다. PBD의 경우 탄소원 7종, 질소원 6종, 기타 미량 원소 6종을 이용 총 19가지 요소를 적용하였으며, 이 중 protease peptone, corn steep powder (CSP), yeast extract가 SBB07의 균성장에 중요 인자로 확인하였다. PBD에서 선정된 3가지 인자를 CCD에 적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균체 성장을 위한 최적 농도로 protease peptone 2.0%, CSP 2.5%, yeast extract 2.0%로 이때 최대 균체량은 2.93963 g/l가 예측되었다. 모델의 검증 실험을 통해 예측 모델과 실제 결과가 동일함을 확인하였으며, 확립된 최적 배지를 사용하여 배양 온도 및 초기 pH에 따른 영향을 조사한 결과 기본배양조건과 비교하였을 때 $37^{\circ}C$, 초기 pH 8.0에서 균체량이 $2.2933{\pm}0.0601g/l$에서 $3.85{\pm}0.0265g/l$로 약 1.68배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프로바이오틱스 소재로서 우수한 기능성을 갖는 L. brevis SBB07의 배양 조건 확립을 통해 향후 소재의 산업화를 위한 기반을 확립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recently reported the potential probiotic properties of Lactobacillus brevis SBB07 isolated from blueberries.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culture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initial pH, culture time, and medium constituent for industrial application. The ingredients of the m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계학적 기법인 반응표면분석법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RSM)을 적용하여 산업적 적용이 가능한 배지 성분을 대상으로 배양 조건 및 균체량 증가를 위한 최적의 배지 조성을 확립하고, 배양 온도 및 초기 pH에 의한 균체량의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사람의 장내에 존재하는 미생물의 종류에는 무엇이 있는가? 사람의 장내에는 약 1014 CFU/g 수준의 미생물이 존재하고 있고, 그 종류는 Bacteroides, Clostridium, Enterobacter, Enterococcus, Lactobacillus, Bifidobacterium 및 Proteus 속 등 약 500여 종 이상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들의 장내 균형에 따라 감염성 질병이나 인체 대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5]. 장내 미생물의 불균형은 알레르기, 아토피 피부염, 설사 및 염증성 질환 등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체내 면역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고 있다[6].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은 질병 이외에도 몸에 어떤 이로운 작용을 하는가? 프로바이오틱스 유산균은 항생제 내성 미생물에 의한 괴사성 장염과 박테리아 감염에 의해 발병되는 병원성 설사[2], Helicobacter pylori 감염에 의한 위장 감염[22], 염증성 장질환 예방[19]과, 면역력 증강[13], 콜레스테롤 저하[7]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으며, 궤양성 대장염 및 크론병[18]에 대한 연구가 현재 진행 중에 있다. 또한 유산균은 질병 이외에도 유기산, 박테리오신과 같은 항균 물질을 생산하여 병원성 미생물의 성장을 저해하는 작용을 하며[17], 내산성 및 내담즙성이 우수하여 구강을 통해 섭취하여도 위액 및 각종 효소가 존재하는 위와 담즙이 존재하는 십이지장을 거쳐 장까지 안전하게 도달하여 장내 균총을 개선하는 역할을 수행한다[20].
장내 미생물의 불균형은 무엇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는가? 사람의 장내에는 약 1014 CFU/g 수준의 미생물이 존재하고 있고, 그 종류는 Bacteroides, Clostridium, Enterobacter, Enterococcus, Lactobacillus, Bifidobacterium 및 Proteus 속 등 약 500여 종 이상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들의 장내 균형에 따라 감염성 질병이나 인체 대사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5]. 장내 미생물의 불균형은 알레르기, 아토피 피부염, 설사 및 염증성 질환 등을 유발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체내 면역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보고되고 있다[6]. 최근에는 이러한 장내 미생물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면역 관련 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 부작용의 우려가 없는 다양한 프로바이오틱스 소재를 활용하여 제품화한 의약품이나 건강기능식품이 크게 주목을 받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l-Jumaily, E., Raheema, R. H. and Abdul-Ratha, H. A. 2014. Optimal conditions for acidocin production from Lactobacillus acidophilus isolate. World J. Pharm. Res. 3, 1773-1785. 

  2. Bang, M., Lee, S. D. and Oh, S. 2012. Probiotics and intestinal health. Kor. J. Dairy Sci. Technol. 30, 139-143. 

  3. Chang, C. E., Koo, J. R., So, J. S. and Yun, H. S. 2011. Production of viable Lactobacillus crispatus by using whey based medium. KSBB J. 26, 529-532. 

  4. Chin, H. S., Shim, J. S., Kim, J. M., Yang, R. and Yoon, S. S. 2001. Detection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a bacteriocin produced by Lactobacillus plantarum. Food Sci. Biotechnol. 10, 461-467. 

  5. Food and Agriculture Organisation, World Health Organisation. 2002. Guidelines for the evaluation of probiotics in food. FAO/WHO Guidelines. 

  6. Ha, E. M. 2015. Growth rate and antimicrobial activ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reacting with bacterial culture supernatant. Microbiol. Biotechnol. Lett. 43, 187-194. 

  7. Huang, Y. and Zheng, Y. 2010. The probiotic Lactobacillus acidophilus reduces cholesterol absorption through the downregulartion of Niemann-Pick C1-like 1 in Caco-2 cells. Br. J. Nutr. 103, 473-478. 

  8. Hwang, C. F., Chang, J. H., Houng, J. Y., Tsai, C. C., Lin, C. K. and Tsen, H. Y. 2012. Optimization of medium composition for improving biomass production of Lactobacillus plantarum Pi06 using the Taguchi array design and the Box-Behnken method. Biotechnol. Bioprocess Eng. 48, 337-342. 

  9. Juarez Tomas, M. S., Ocana, V. S., Wiese, B. and Nader-Macias, M. E. 2003. Growth and lactic acid production by vaginal Lactobacillus acidophilus CRL 1259, and inhibition of uropathogenic Escherichia coli. J. Med. Microbiol. 52, 1117-1124. 

  10. Kim, D. H., Dasagrandhi, C., Park, S. K., Eom, S. H., Huh, M. K., Mok, J. S. and Kim, Y. M. 2018. Optimization of gamma-aminobutyric acid production using sea tangle extract by lactic acid bacterial fermentation. LWT-Food Sci. Technol. 90, 636-642. 

  11. Kim, J. K., Won, Y. B., Lee, K. M. and Koo, Y. M. 2009. Influence of organic, inorganic nitrogen sources and amino acids on the biosynthesis of coenzyme $Q_{10}$ by Agrobacterium tumefaciens mutant. KSBB J. 24, 75-79. 

  12. Kimoto-Nira, H., Suzuki, S., Suganuma, H., Moriya, N. and Suzuki, C. 2015. Growth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brevis KB290 in the presence of bile. Anaerobe 35, 96-101. 

  13. Kim, Y. G., Toshihisa, O., Takuya, T., Akira, K., Koji, N., Teruo, Y., Nobuhiko, O. and Hirofumi, D. 2006. Probiotic Lactobacillus casei activates innate immunity via NF-kB and p38 MAP kinase signaling pathways. Microbes Infect. 8, 994-1005. 

  14. Kim, Y. H., Choi, C. Y. and Chun, T. 2016. The preventive and therapeutic effects of probiotics in allergic diseases via immune modulation. J. Food Hyg. Saf. 31, 141-152. 

  15. Lee, K. E., Choi, U. H. and Ji, G. E. 1996. Effect of Kimchi intake on the composition of human large intestinal bacteria. Kor. J. Food Sci. Technol. 28, 981-986. 

  16. Leroy, F. and De Vuyst, L. 1999. Temperature and pH conditions that prevail during fermentation of sausages are optimal for production of the antilisterial bacterial bacteriocin sakacin K. Appl. Environ. Microbiol. 65, 974-981. 

  17. Lim, E. S. 2015. Optimal conditions and effects of prebiotics for growth and antimicrobial substances production of Lactobacillus brevis BK11. Kor. J. Microbiol. 51, 288-299. 

  18. Malin, M., Suomalainen, H., Saxelin, M. and Isolauri, E. 1996. Promotion of IgA immune response in patients with Crohn's Disease by oral bacteriotherapy with Lactobacillus GG. Ann. Nutr. Metab. 40, 137-145. 

  19. McCarthy, J., O'mahony, L., O'callaghan, L., Sheil, B., Vaughan, E. E., Fitzsimons, N. and Shanahan, F. 2003. Double blind, placebo controlled trial of two probiotic strains in interleukin 10 knockout mice and mechanistic link with cytokine balance. Gut 52, 975-980. 

  20. Otero, M. C., Ocana, V. S. and Nadar-Macias, M. E. 2004. Bacterial surface characteristics applied to selection of probiotic microorganisms. Methods Mol. Biol. 268, 435-440. 

  21. Parente, E. and Ricciardi, A. 1999. Production, recovery and purification of bacteriocins from lactic acid bacteria. Appl. Microbiol. Biotechnol. 52, 628-638. 

  22. Shin, E. H. 2002. Studies on growth characteristics of Lactobacillus brevis isolated from Kimchi-Optimization of nutrient composition in Sourdough media. Kor. J. Food Nutr. 15, 215-219. 

  23. Wang, K. Y., Li, S. N., Liu, C. S., Perng, D. S., Su, Y. C., Wu, D. C., Jan, C. M., Lai, C. H., Wang, T. N. and Wang, W. M. 2004. Effects of ingesting Lactobacillus-and Bifidobacterium-containing yogurt in subjects with colonized Helicobacter pylori. Am. J. Clin. Nutr. 80, 737-741. 

  24. Wasilewski, A., Zielinska, M., Storr, M. and Fichna, J. 2015. Beneficial effects of probiotics, prebiotics, synbiotics and psychobiotics in inflammatory bowel disease. Inflamm. Bowel. Dis. 21, 1674-1682. 

  25. Yang, H. J., Jeong, S. J., Jeong, S. Y., Ryu, M. S. and Jeong, D. Y. 2018. Isolation of biogenic amine non-producing Lactobacillus brevis SBB07 and its potential probiotic properties. J. Life Sci. 28, 68-77. 

  26. Yoon, S. J., Shin, W. S., Chun, G. T. and Jeong, Y. S. 2007. Optimization of production medium by response surface method and development of fermentation condition for Monascus polosus culture. KSBB J. 22, 288-296. 

  27. Yu, L., Lei, T., Ren, X., Pei, X. and Feng, Y. 2008. Response surface optimization of l-(+)-lactic acid production using corn steep liquor as an alternative nitrogen source by Lactobacillus rhamnosus CGMCC 1466. Biochem. Eng. J. 39, 496-5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