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3차원 디지털 기술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 패션 플랫폼 프로토타입 설계 연구
A Study on Digital Fashion Design Platform based on the 3D Virtual Fashion Technology 원문보기

패션비즈니스 = Fashion business, v.22 no.2, 2018년, pp.88 - 106  

박재현 (재단법인 부산디자인센터(디지털패션비즈센터)) ,  박민희 (경성대학교 디지털미디어학부) ,  김선희 (인천대학교 패션산업학과) ,  송영호 (재단법인 부산디자인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omestic fashion industry is not able to exceed the level of fashion that exists in advanced countries due to the relatively weak design competitiveness and the differentiated capability of product development. In order for the domestic fashion industry to become a growth industry that is value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템플릿 기반의 차원 디지털 패션 기술을 기반으로 다양한 단계의 제조 관련 공정의 지원이 가능한 디지털 패션 플랫폼 구축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 설계하고자 하는 디지털 패션 플랫폼은 주 사용자인 디자이너 개인의 역량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는 아이디어 공유 지향의 시스템 설계와 패션제품의 고부가가치화 및 ICT 융합을 통한 신성장 동력 창출을 견인을 목적으로 하였다(Figure 12).
  • 이에 본 연구는 스타일 창작과 표현에는 능숙하지만 2차원 패턴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의류 제작 능력이 미흡한 국내 신진 디자이너와 중소 패션 디자이너를 대상으로 ‘템플릿 기반의 3차원 디지털 패션 기술’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단계의 제조 관련 공정을 지원할 수 있는 '디지털 패션 플랫폼' 구축을 제안하고자 한다.
  • 첫째, 3차원 디지털 패션 플랫폼 프로토타입 설계의 효율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접근성 제고방안을 연구하였다. 이를 위해서 실제의상과 3차원 디지털 기술을 적용하여 제작한 가상착장 모델을 비교 평가하여 재현성을 검증하였다.
  • 디자이너의 창의적 발상을 구체화 할 수 있는 패턴 템플릿 데이터베이스의 연동은 물론, 패션 트랜드, 국내외 패션 시장에 관한 동향 분석자료, 컨버팅 정보(원단 및 부자재),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연동 웹 사이트도 필요하다. 특히, 웹을 기반으로 한 패턴 템플릿 데이터베이스의 연동 및 3차원 피팅 결과를 활용한 원격 작업지시서 송출 시스템이 장착되어, 디자이너와 생산자, 생산자와 생산자를 온-오프라인으로 연동하는 멀티 서비스 플랫폼 구축을 위한 연구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패션 중소기업을 위한 디지털 패션 플랫폼은 국내 어패럴 중심 패션산업의 중국대비 비교 경쟁력 강화를 목적으로 국내외에서 그 우수성을 평가 받고 있는 국내 3차원 가상 패션 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아이디어 공유 기반 오픈 이노베이션 유형의 ‘협업형 플랫폼’으로 설계하였다(Figure 1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패션산업의 특징은? 패션산업이란 섬유소재에 관련되는 산업을 비롯하여 소재 판매업, 의류 제조업, 의류 판매업 등을 포함하여 패셔너블 한 제품의 생산과 판매에 관련된 모든 산업을 의미하며, 패션 제품의 기획, 제조, 판매의 모든 단계를 체계화해야 비로소 성립되는 산업으로 소재, 봉제가공, 판매 등의 유기적 결합을 전제로 하는 시스템 산업이라 할 수 있다. 패션산업은 소비자 지향적 특성으로 인해 소비자의 변하기 쉬운 성향에 따라 고객 중심화 경향을 보이는데, 투입된 자원의 물질적 가치보다 상품의 감각적·심리적 가치가 더 높고, 생산 및 공급환경의 불확실성 때문에 상품의 다양화, 다단계 프로세스, 제품주기 단축의 경향을 보인다.
패션 산업의 디지털화의 구체적 의미와 활용 분야는? 이러한 패션산업에서 디지털 환경을 수용하는 것을 패션 산업의 디지털화라고 한다(Lee, 2001). 즉 디지털화 된 매체나 장비의 도입 및 사용, 유무형의 패션정보를 디지털 방식으로 처리하거나 유통 또는 활용하는 현상 등을 말하며, 이러한 현상은 패션산업의 여러 현장에서 자동화, 정보화, 인터넷을 활용한 e-비즈니스 등으로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렇게 컴퓨터와 정보기술 발달에 따른 디지털화의 기술적 이점을 패션산업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은 패션디자인의 긍정적 변화와 함께 패션산업의 체질 개혁을 위한 중요한 방법이 될 수 있다(Kang, 2008).
패션산업이란? 패션산업이란 섬유소재에 관련되는 산업을 비롯하여 소재 판매업, 의류 제조업, 의류 판매업 등을 포함하여 패셔너블 한 제품의 생산과 판매에 관련된 모든 산업을 의미하며, 패션 제품의 기획, 제조, 판매의 모든 단계를 체계화해야 비로소 성립되는 산업으로 소재, 봉제가공, 판매 등의 유기적 결합을 전제로 하는 시스템 산업이라 할 수 있다. 패션산업은 소비자 지향적 특성으로 인해 소비자의 변하기 쉬운 성향에 따라 고객 중심화 경향을 보이는데, 투입된 자원의 물질적 가치보다 상품의 감각적·심리적 가치가 더 높고, 생산 및 공급환경의 불확실성 때문에 상품의 다양화, 다단계 프로세스, 제품주기 단축의 경향을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Choi, K., & Kim, J. (2012). A study on the tensile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knits and appearance using 3D digital virtual clothing system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6(2), 115-162. 

  2. Choi, J. (1996). A study on the functional charaterictics of apparel CAD system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3. Cho, Y. (1996). Apparel CAD. Seoul: 敎學硏究社 

  4. Dai, L. & Zhou, J. (2008). The application of 3D digital technology to fashion design. Asian Sosial Science, 4(6), 57-59. DOI: http://dx.doi.org/10.5539/ass.v4n6p57 

  5. Do, W. (2010). The comparison of user preference on domestic versus a foreign 3D virtual Try-On syste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4(7), 1184-1196. 

  6. Han, H. (2014). Generation of 3-Dimensional standard avatar figure by borea women's body typ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lsan University, Ulsan, Korea. 

  7. Joo, S. (2014). Fashion industry system and fashion leaders of digital era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8. Kang, D. (2001). Basic ethics glossary for high school students. Seoul: Shinwonbook. 

  9. Kang, H., & Kwon, M. (2004). A study on digitalization of fashion textile design - A study of fashion textile CAD design according to digitaliz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sign Science, 17(1), 289-298. 

  10. Kang, H. (2008). A study on the digitalization of modern fashion desig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1. Kang, I. (2007). A study on the analysis and improvement plan of 3D Apparel CAD syste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unkuk University, Seoul, Korea. 

  12. Kho, J. (2016).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and representation in post digital fash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Korea. 

  13. Kim, D. (2014). New growth strategy of fashion apparel industry by activating fashion design and ICT convergence.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 Trade(KIET). 

  14. Kim, H., & Kim, Y. (2015). Virtuality in digital fashion imag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9(2), 233-246. http://dx.dio.org/10.5850/JKSCT.2015.39.2.233 

  15. Lee, J., & Lee, J. (2013). Comparison on the pants fitting for obese women between 3D virtual garment and real garment,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7(2), 33-45. http://dx.dio.org/10.12940/jfb.2013.17.2.33 

  16. Lee, J., Kim, J., & Ryu, L. (2013). A study on the generative structure of the meaning and the binary - Opposition in the convergence of fashion design and technology as a emotional method - Focused on fashion design collections, 服飾, 63(7), 134-147. http://dx.dio.org/10.7233/jksc.2013.63.7.134 

  17. Lee, K. (2014). Exploratory study on types, characteristics, & effects of digital signage, The Treatise on The Plastic Media, 17(4), 169-176. 

  18. Lee, M. (2001). Digitalization of the fashion industry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19. Lee, M., & Sohn, H. (2012).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ifferent between CLO 3D avatar sizing and actual body measurement shape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6(4), 137-151. 

  20. Oh, S., & Ryu, E. (2015). A study on expressivity of virtual clothing made of 3D apparel CAD system according to the physical properties of Fabric,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7(4), 613-625. http://dx.dio.org/10.5805/SFTI.2015.17.4.613 

  21. Paek, K., Lee, J., & Kim, M. (2009). A study of applications of 3D body scanning technology : Focused on apparel industry.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18(3), 719-727. 

  22. Park, J. (2003). A study on application status of fashion design CAD system (Unpublished master's thesis). Kunkuk University, Seoul, Korea. 

  23. Park, J. (2017). A study on digital fashion platform prototype design Focusing on the 3D digital - technology base -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sung University, Busan, Korea. 

  24. Changes in Open Innovation Method(Cradle of Innovation, Idea Platform). (2013, July 11). SERI Management Note. Retrieved October 18, 2016, from https://www.seri.org/ 

  25. Sung, H. (2012). An exploratory study of smartphone fashion application to promote mobile shopping,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14(6), 941-951. http://dx.dio.org/10.5805/KSCI.2012.14.6.941 

  26. Tak, M., & Kim, C. (2013). A study on production of iPhone-based augmented reality 3D fashion fitting contents, Korea Multimedia Society, 16(6), 708-719. http://dx.dio.org/10.9717/kmms.2013.16.6.708 

  27. Wu, S., Kang, Y., Ko, Y., Kim, A., Kim, N., & Ko, H. (2013). A study on the case analysis and the production of 3D digital fashion show,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7(1), 66-80.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