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함수적 상황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공변추론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Students' Covariational Reasoning in the Continuous Functional Situation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21 no.1, 2018년, pp.55 - 73  

허준호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  박만구 (서울교육대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이 그래프가 아닌 언어적 표현이나 대응표, 기하학적 패턴 등으로 표현된 함수 과제에서 연속적으로 변하고 있는 두 양의 변화에 대한 공변추론 수준을 파악하고 공변추론 수준 및 추론 과정에 나타나는 특징을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검사지를 통해 선정된 초등학교 4학년 학생 7명이며, 선정된 학생들의 학습지 분석 및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공변추론 수준은 5가지로 파악되었으며, 공변추론 수준에 따라 양적 문제 상황에서 다른 추론과정을 보였다. 특히, 공변추론 수준이 낮은 학생들은 두 변수의 파악에 어려움을 가지고 있었고 대응표를 중심으로 문제를 해결한 반면, 연속공변 수준의 학생들은 시간 변수의 흐름을 생각할 수 있다는 차이가 있었다. 연구 결과로부터 공변추론 관련 다양한 과제의 제시와 각 과제의 의미에 대한 교사들의 탐구가 필요함 등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gnitive activity on cognitive activities that students imagine and cope with continuously changing quantitative changes in functional tasks represented by linguistic expressions, table of value, and geometric patterns, We identified covari...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함수는 어떤 도구인가? 함수는 일상생활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하는 현상을 파악하고, 해석하며, 이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게 해주는 도구이다. 수학 교육 맥락에 있어서도 함수는 학습자 주변의 다양한 실생활 변화를 체계적으로 기술하거나 관련짓는 중요한 수단으로서 수학의 여러 영역을 학습하는 기초가 된다는 점에서 그 가치가 있다(우정호, 2007).
초기 대수와 관련하여 함수적 사고는 어떤 역할을 하는가? 그들은 함수적 사고란 공변하는 양 사이의 관계를 일반화하고, 자연언어, 대수적(기호적)표기, 그래프, 표를 통하여 공변하는 양 사이의 관계를 표현하고 추론하는 것을 포함한다고 말하고 있다. 함수적 사고는 초기 대수(Early Algebra) 와 관련하여 산술학습과 대수 학습을 의미 있게 연결 하는 대수적 사고를 개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Blanton et al., 2015).
공변적 시각이 수학학습에 중요한 이유는? , 2010). 또한 공변적 접근은 양들 사이의 종속, 상관, 인과, 상호작용의 관계에 대한 현상을 이해하는 방식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수학학습에 있어 중요하다(Chazan, 2000). 그리고 미적분학의 학습과도 관련이 있어 함수에 대한 이해에 중요하다는 점이 밝혀져 왔다(Carlson,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교육부(2015). 고시 제2015-74호 [별책 8호] 수학과교육과정.(The Ministry of Education (2015). 2015 Revisedmathematics curriculum. The Ministry of Education Notice 2015-74.) 

  2. 김정원, 방정숙(2008).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함수적 사고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C , 11(2), 105-119.(Kim, J. W. & Pang, J. S. (2008). An analysis of third graders' functional thinking. Journal of the Korean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1(2), 105-119.) 

  3. 김채연, 신재홍(2016). 연속적으로 공변하는 두 양에 대한 추론의 차이가 문제 해결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55(3), 251-279.(Kim, C. Y. & Shin, J. H. (2016). How does the middle school students' covariational reasoning affect their problem solv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55(3), 251-279.) 

  4. 박종희, 신재홍, 이수진, 마민영(2017). 그래프 유형에 따른 두 공변 추론 수준이론의 적용 및 비교. 수학교육학연구, 27(1), 23-49.(Park, J. H., Shin, J. H., Lee, S. J., & Ma, M. Y. (2017). Analyzing students' works wi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aphs using two frameworks of covariational reasoning. Journal of EducationalResearch in Mathematics, 27(1), 23-49.) 

  5. 방정숙, 최인영. (2016).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대수적 사고에 대한 실태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 C, 19(3), 223-247.(Pang, J. S. & Choi, I. Y. (2016). An analysis of algebraic thinking by third grad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19(3),223-247.) 

  6. 송윤오(2016). Algebra Applet을 활용한 교수실험에서 초등학생들의 공변 추론 수준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Song, Y. O. (2016). An analysis of elementary students' covariational reasoning level in teaching experiment using algebra applet. Master's thesis at KNUE.) 

  7. 우정호, 김성준. (2007). 대수의 사고 요소 분석 및 학습-지도 방안의 탐색. 수학교육학연구, 17(4), 453-475.(Woo, J. H. & Kim, S. J. (2007). Analysis of the algebraic thinking factors and search for the direction of itslearning and teaching.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7(4), 453-475.) 

  8. 우정호(2007).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 서울대출판부.(Wu, J. H. (2007). An educational foundation ofschool mathematics. Seoul: SNU.) 

  9. 전형옥, 이경화, 방정숙. (2009).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의 양적 추론 사례 연구. 수학교육학연구, 19(1), 81-98.(Jeon, H. O., Lee, K. H., & Pang, J. S. (2009). Case study of the sixth grade students' quantitative reasoning.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9(1), 81-98.) 

  10. 최지영, 방정숙. (2012). 초등학교 2, 4, 6학년 학생들의 함수적 관계 이해 실태 조사. 학교 수학, 14(3), 275-296.(Choi, J, Y. & Pang, J. S. (2012).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functionalrelationship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4(3), 275-296.) 

  11. Blanton, M. & Kaput, J. J. (2011). Functional thinking as a route into algebra in the elementary grade. In J. Cai & E. Knuth (Eds.), Early algebraization (pp. 5-23). Berlin. Heidelberg: Springer. 

  12. Blanton, M., Levi, L., Crites, T., Dougherty, B., & Zbiek, R. M. (2011). Developing essential understanding of algebraic thinking for teaching mathematics in grades 3-5.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13. Blanton, M., Stephens, A., Knuth, E., Gardiner, A.M., Isler, I., & Kim, J. S. (2015).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algebraic thinking: The impact of a comprehensive early algebra intervention in third grade.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6(1), 39-87. 

  14. Brizuela, B. M., Blanton, M., Sawrey, K., Newman-Owens, A., & Gardiner, M. A. (2015). Children's use of variables and variable notation to represent their algebraic ideas. Mathematical Thinking and Learning, 17(1), 34-63.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5. Carlson, M. P. (1998). A cross-sectional investiga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function concept. In J. J. Kaput, A. H. Schoenfeld, & E. Dubinsky (Eds.), Research in collegiate mathematics education, 3, CBMS issues in mathematics education (Vol. 7, pp. 114-162). Washington DC: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16. Carlson, M., Jacobs, S., Coe, E., Larsen, S., & Hsu, E. (2002). Applying covariational reasoning while modeling dynamic events: A framework and a study.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33(5), 352-379. 

  17. Carraher, D. W. & Schliemann, A. D. (2007). Early algebra and algebraic reasoning. In F. K. Lester Jr (Ed.), Secon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pp. 669-705). Charlotte, N.C.: Information Age. 

  18. Castillo-Garsow, C. C. (2012). Continuous quantitative reasoning. In R. Mwyes, R. Bonillia, L. L. Hatfield, & S. Belbase (Eds.), Quantitative reasoning: Current state of understanding, WISDOMe Monographs (Vol. 2, pp. 55-73). Laramie: University of Wyoming. 

  19. Chazan, D. (2000). Beyond formulas in mathematics and teaching: Dynamics of the high school algebra classroom. NY: Teachers College Press. 

  20. Cooney, T, P., Beckmann, S., Gwendolyn, M., & Lloyd, G. M. (2010). Developing essential understanding of functions for teaching mathematics in grades 9-12.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1. Confrey, J. & Smith, E. (1994). Exponential functions, rate of change, and the multiplicative unit.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6, 135-164. 

  22. Kaput, J. J. (2008). What is algebra? What is algebraic reasoning? In J. J. Kaput, D. W. Carraher & M. L. Blanton (Eds.), Algebra in the early grades (pp. 235-272). New York: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3. Saldanha, L. & Thompson, P. W. (1998). Re-thinking co-variation from a quantitative perspective: Simultaneous continuous variation. In S. B. Berenson & W. N. Coulombe (Eds.), Proceedings of the annual meeting of the psychology of mathematics education-north america (Vol. 1, pp. 298-304). Raleigh, NC: North Carolina State University. Retrieved on November 1, 2017 from http://bit.1y/1b4sjQE 

  24. Smith, J. & Thompson, P. W. (2008). Quantitative reasoning and the development of algebraic reasoning. In J. Kaput, D. W. Carraher, & M. Blanton (Eds.), Algebra in the early grades (pp. 95-132). New York: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5. Thompson, P. W. (2011). Quantitative reasoning and mathematical modeling. In L. L. Hatfield, S. Cahmberlain, & S. Belbase (Eds.), New perspectives and directions for collaborative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WISDOMe Monographs (Vol. 1, pp. 33-57). Laramie, WY: University of Wyoming. 

  26. Thompson, P. W. (2016). Researching mathematical meanings for teaching. In L. English & D. Kirshner (Eds.), Third handbook of intern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pp. 435-461). New York, NY: Taylor & Francis. 

  27. Thompson, P. W. & Carlson, M. P. (2017). Variation, covariation, and functions: Foundational ways of thinking mathematically. In J. Cai (Ed.), Compendium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pp. 421-456).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