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문제 만들기 활동 분석
Analysis of problem posing activity of fifth grade student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20 no.3, 2017년, pp.193 - 204  

성창근 (광주영천초등학교) ,  이남경 (화순초등학교) ,  이대현 (광주교육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문제 만들기 활동과 수학 수업을 통합할 수 있는 실제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수학 수업의 정리 단계에서 문제 만들기 활동을 실행하고, 학생들이 만든 문제를 체계적인 절차와 준거를 사용해 분석하였다. 먼저 학생들이 만든 540문제 중 수학적으로 해결 가능한 문제는 81%, 오류가 있는 문제는 18%로 나타났다. 이어서 수학적으로 해결 가능한 문제를 복잡성 수준에 따라 분석하였는데, 상-수준 13%, 중-수준 30%, 하-수준 57%였다. 마지막으로 오류 유형으로 분류된 비-수학적 문제, 단순한 진술, 해결 불가능 문제는 학생들의 성취 수준과 학습 내용에 따라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었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생성한 문제를 분석하기 위한 체계적인 절차와 준거를 제시하고 수학 수업과 문제 만들기 활동을 통합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develop a practical approach to integrating student-driven mathematical problems posing in mathematics instruction. A problem posing activity was performed during regular mathematics instruction. A total of 540 mathematical problems generated by stud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문제 만들기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전에 문제 만들기가 수학사, 과학사에서 활용된 예를 제시하여 문제 만들기의 의미와 중요성을 설명하였다. 그리고 실제로 교사가 학생들이 풀어야할 문제를 만드는 과정에 대해 직접적으로 시범 보이고 학생들에게 직접 만들어보게 하였다. 이때 본 연구는 특정한 문제해결 전략 처치의 효과를 밝히는 것에 목적을 두지 않았기 때문에 What-if, What-if not 등과 같은 특정한 문제 만들기 전략을 지도하지 않았다.
  • 본 연구는 2009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5학년 수학 학습을 통해 학생들이 만든 문제의 유형과 오류 경향을 분석하여 문제의 해석과 이해 및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함으로써 문제 만들기와 수학 수업의 통합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K광역시 소재 H 초등학교 5학년 1개 학급 23명을 대상으로 약 12주에 걸쳐 한 차시 수업의 정리 단계에서 문제 만들기 활동을 전개하고, 학생들이 만든 540문항에 대해 분석 작업을 진행하였다.
  • 9%였다. 본 연구는 문제 만들기 전략의 처치에 따른 학습 효과를 밝히는데 목적을 두지 않았기 때문에 특정한 처치를 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학생들은 대부분 해결 가능한 문제를 만들 수 있었다. 서론에서 밝혔듯이 문제 만들기 활동을 수학 교육 연구자가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처치나 구인이 아니라 교사가 일상의 수업에서 사용할 수 있는 교수 전략이어야 한다.
  • 또한 오류가 있는 문제는 학생들의 수준과 학습 내용에 따라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생성한 문제를 양적인 그리고 질적인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절차와 준거를 마련함으로써 문제 만들기 활동이 수업의 한 부분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으며, 학생들의 이해를 평가할 수 있는 도구로도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구체화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수업의 정리 단계에서 ‘문제 만들기’ 활동을 전개하였다.
  • 또한 학생들이 만든 오류가 있는 문제는 학습 내용에 따라 어떤 특징을 보이는 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근거로 문제 만들기 활동에 논의하고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다시 말해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수학 수업에서 문제 만들기 활동이 이루어지고, 학생들이 만든 문제를 분석함으로써 학생들의 이해와 교사의 수업을 반성할 수 있는 교수학적 장치로 활용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규적으로 이루어지는 수학 수업에서 특히 정리 단계에서 앞서 학습한 내용과 관련된 문제를 학생들에게 만들게 하고, 그것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문제 만들기 활동과 실제 수업을 통합할 수 있는 실제적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제 만들기 활동을 수학 수업에 자연스럽게 통합하려는 방안으로 한 차시 수업의 정리 단계에서 앞서 학습한 내용과 관련이 있는 문제를 만들어 보게 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이러한 방법의 장점은 첫째, 교사들이 문제 만들기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가 없더라고 수행할 수 있으며 둘째, 일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정규 수업 시간의 정리 단계에서 문제 만들기 활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업의 일부분으로 통합될 수 있으며 셋째, 학생들은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자신의 이해한 바를 더욱 확장할 수 있어 한 시간 동안 학습한 개념과 절차를 반성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문제 만들기란? 문제 만들기란 주어진 상황을 탐구하기 위해 새로운 문제나 질문을 생성하는 것 또는 문제를 해결하는 도중에 어떤 문제를 재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수학교육 연구 커뮤니티에서 문제 만들기 관련 연구는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져오고 있다.
학생들이 질적으로 수준 높은 문제를 생성하기 위해 수학 교과서에 다양한 인지적 능력을 요구하는 문제가 수록되어야 하는 근거는? 넷째, 학생들이 생성한 문제의 질은 학습한 개념이나 지식의 이해 수준과 관련이 있다는 점과 더불어 교과서나 익힘책 등 수학 교재에 제시된 수학적 과제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즉, 학생들이 학교에서 접하는 문제의 질은 학생들의 문제 생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뜻이다. 학생들이 생성한 해결 가능한 문제 중 절반 이상이 복잡성 하-수준이었다. 이는 교과서에 제시된 문제 또는 수학 시간에 접하는 대부분의 문제가 복잡성 하-수준임을 반증해준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이 보다 질적으로 수준 높은 문제를 생성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기 위해서 학생들에게 다양한 인지적 능력을 요구하는(cognitive demand) 문제가 수학 교과용 도서에 수록될 필요가 있다.
문제해결 중에 이루어지는 문제 만들기 활동은 어떻게 수행되는가? 먼저, 문제해결 전에 수행되는 문제 만들기 활동은 주로 문제를 이해하기 위한 활동으로 문제에 제시된 상황 즉 이야기, 그림, 표, 다이어그램 등에 대해 자유롭게 문제를 만드는 것이다. 문제해결 중에 이루어지는 문제 만들기 활동은 문제 해결자가 문제를 보다 쉽게 해결하기 위해 주어진 문제를 재구성하거나, 문제의 조건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문제해결 후 행해지는 문제 만들기 활동은 이미 해결한 문제해결 해법을 새로운 상황에 적용하거나 조건을 달리하여 문제를 만드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교육과학기술부 (2011). 초등학교 수학 5-1 교사용 지도서. 서울: 두산동아(주)(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2011). Mathematics teachers' guide 5-2. Seoul: Dong-A Publishing Co.) 

  2. 김경옥.류성림 (2009). 상황 제시형 수학 문제 만들기 활동이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학교수학, 11(4), 665-683.(Kim, K. O., & Ryu, S. R(2009). The effects of the situation-based mathematical problem posing activity on problem solving ability and mathematical attitudes. School Mathematics, 11(4), 665-683.) 

  3. 김준겸.임문규 (2001). 문제 상황 제시에 따른 문제 만들기 활동이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5, 77-98.(Kim, J. K., & Lim, M, K.(2001). An effect coming to the problem solving ability from the problem posing activity by presenting the problem situation.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5, 77-98.) 

  4. 김판수 (2012). 문제설정에서의 수학적 창의성 평가 요소에 대한 소고. 영재교육연구, 24(6), 1052-1071.(Kim, P. S.(2012). A note on factors of mathematical creativity assessment through problem posing.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24(6), 1052-1071.) 

  5. 배준환.박만구 (2016). 반성적 문제 만들기 활동이 초등학생들의 문제해결력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2), 311-331.(Bae, J. H., & Park, M. G(2016). The effects of feflective problem posing activities on students' problem solving ability and Attitudes toward mathematics.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 20(2), 311-331.) 

  6. 윤미란.박종서 (2008). 구조중심 협동학습을 통한 문제 만들기 학습이 수학학업성취도와 수학적 성향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2(2), 101-124.(Yun, M. R., & Park, J. S(2008). Structure-centered cooperative learning, mathematics achievement, problem posing, mathematical disposition.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 12(2), 101-124.) 

  7. 이강성.활동주 (2007) 수학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수학 창의성과 문제설정의 상관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시리즈 A , 46(4), 503-519.(Lee, G. S., & Hwang D. J. (2007). Correlation between gifted and regular students in mathematical problem posing and mathematical creativity Ability. The Mathematical Education, 46(4), 503-519.) 

  8. 이경미.이광호.이근철 (2012).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문제 만들기. 학교수학, 14(4), 431-443.(Lee, K. M., Lee, K. H., & Lee, K. C.(2012). The analysis of the 5th graders' responses on problem posing. School Mathematics, 14(4), 431-443.) 

  9. 이대현 (2012). 문제 만들기 활동에서 학생들의 수학적 창의성 분석. 한국학교수학논문집, 15(3), 411-428.(Lee, D. H. (2012) An Analysis on the students' mathematical creativity in problem posing activities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15(3), 411-428.) 

  10. 주홍연.한혜숙 (2016). 중학생들의 수학적 문제제기 유형과 전략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 55(1), 73-89.(Joo, H. Y., & Han, H. S. (2016). The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problem posing types and strategies. The Mathematical Education, 55(1), 73-89.) 

  11. Cai, J., & & Hwang, S. (2002). Generalized and generative thinking in U.S and Chinese students'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and problem posing. Journal of Mathematical Behavior, 21(4), 402-421. 

  12. Cai, J.(1998). An investigation of U.S and Chinese students' mathematical problem posing and problem solving. Mathematical Education Research Journal, 10, 37-50. 

  13. Cai, J., Moyer, J. C., Wang, N., Hwang, S., Nie, B., & Garber, T. (2013). Mathematical problem posing as a measure of curricular effect on students' learning.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83(1), 57-69. 

  14. Chua, P. H. (2011). Characteristics of problem posing of grade 9 students on geometric task.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Singapore. 

  15. English, L. D. (1997). Promoting a problem posing in classroom. Teaching Children Mathematics, 3, 172-179. 

  16. English, L. D., Fox, J. L., & Watters, J. J(2005). Problem posing and solving with mathematical modeling. Teaching Children Mathematics, 12(3), 156-163. 

  17. Kilpatrick, J. (1987). Problem formulating; Where do goof problem come from? In A. H. Schoenfeld(Ed.), Cognitive science and mathematics education(pp. 123-147). Hinsdale NJ: Lawrence Erlbaum. 

  18. Krutetskii, V. A. (1976). The Psychology of Mathematical Abilities in School Childre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 Lin, K. M., & Leng, L. W.(2008). Using problem posing as an assessment tool. Paper presented an the 10th Asia Pacific Conference on Giftedness, Singapore. 

  20. NCTM(2000). Principles and Standard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CTM. 

  21. Pien, C. L. (2013). Posing problems to understand chilren's learning of fractions. Paper presented at the 36th annual conference of MERGA(2013) on "Mathematics education: Yesterday, today and tomorrow", Melbourne, Australia, 7-11 July 2013. 

  22. Quek, K. H. (2001). Cognitive characteristics and contextual influence in mathematical problem pos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ational Institute of Education, Singapore. 

  23. Silver, E. A., & Cai, J. (1993). Mathematical problem posing and problem solving by middle school student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Atlanta, GA. 

  24. Silver, E. A., & Cai, J. (1996). An analysis of arithmetic problem posing by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27(5), 521-539). 

  25. Silver, E. A., & Cai, J. (2005). Assessing students' mathematical problem posing. Teaching Children Mathematics, 12(3), 129-135. 

  26. Van Harpen, X. Y., & Sriraman, B. (2013). Creativity and mathematical problem posing. Educational Study in Mathematics, 82(2), 201-2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