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시장의 장소성 기록화를 위한 구성요소 제언
Suggestions for Archiving Elements for Placeness of Traditional Markets 원문보기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v.18 no.2, 2018년, pp.61 - 83  

박은영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이성신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전통시장이 갖는 경제적, 대중적, 행정적, 역사 문화적 기능을 중심으로 전통시장의 장소성을 드러낼 수 있는 유 무형 관련 자료의 기록화를 위한 구성요소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문헌조사와 서울약령시 스토리 아카이브, 광주 대안예술시장 아카이브 프로젝트 D, 대구 북성로 공구 박물관의 기록화 사례를 조사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물리적 환경, 사회적 요소, 경험/인물요소를 전통시장의 장소성 구성요소로 정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전통시장의 대중적 기능, 역사, 문화적 기능, 경제적 기능, 행정적 기능을 중심으로 전통시장의 장소성을 드러낼 수 있는 구체적 기록화 구성요소들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specific elements for archiving tangible and intangible materials based on popular, administrative, historical, and cultural functions of traditional markets. Related literature was thus reviewed and the cases of Seoul Yangnyeongsi Story Archive, Gwangju Dae-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표준국어대사전에서의 장소란? 표준국어대사전은 장소란 ‘어떤 일이 이루어지거나 일어나는 곳’으로 정의한다. 여기서 ‘어떤 일’의 발생은 인간 활동을 기저로 한다.
현대사회에서 전통적인 장소가 사라지는 주된 이유는? 전통시장 역시 유통산업의 변화, 시설 노후화, 위생, 안전 등의 이유로 이용객이 줄어들며 본래 기능이 약화되었다. 특히 시설현대화사업으로 인해 가로(街路)를 기반으로 하는 시장에서 현대식 건물로 교체되어 과거의 모습이 사라진 경우가 많다. 이처럼 시장은 상거래장소로 수익성을 기준으로 현대유통산업에 버금가는 외형적 요건을 갖추었으나 전통시장 고유의 사회, 경제적 가치 및 옛 모습은 변질되어가고 있다.
시장의 특징은? 54). 따라서 시장은 경제적, 문화적, 역사적 상호교류가 활발히 일어나는 지역의 대표적인 전통적 장소로 간주될 수 있다. 시장에 대하여 상인들과 이용자들은 각자의 고유한 경험에 따라 다양하게 인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aek, Seung Hye (2011). A Study on the Documentation of Urban Development A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shin University. Osan. Korea. 

  2. Baik, Seonhae (2004). The intentional formation of placeness in place marketing strategy: a cast study of art festivals at small cities in Korea and the U.S. Unpublished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3. eMuseum. Retrieved October 5, 2017, from http://www.emuseum.go.kr/main 

  4. Hankoo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Center of Archive Studies (2015). Oral Archives Management Methods. Kyunggi-do: Droad. 

  5. Kim, Sunghoon (2006). Korean Periodic Markets. Seoul: KREI. 

  6. Kwon, Soon-Myung & Lee, Seung-Hwi (2009). A Study on Documentation Strategy for Archiving Local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al Studies, 21, 41-84. 

  7. Lee, Bo Ok (2012). Representation of Placeness for Documentati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ea. 

  8. Lee, Seok-Hwan & Hwang, Ki-Won (1997). The Ambiguous Concepts of Place and Placeness. Journal of Country Plan, 32(5), 169-184. 

  9. Lee, Youngsun, Kook, Seungyung, Jung, Eunmi, & Cho, Kyungchul (2007). Study on the Structure and Functional Changes of Periodic Markets, Seoul: KREI. 

  10. Park, Se Hoon & Lee, Young A (2010). Spatial Agglomeration and Politics of Place Identity of Korean Chinese: A Case of Garibongdong. The Journal of Multicultural Society, 3(2), 71-101. 

  11. Relph, Edward (2005). Place and Placelessness (translated by Kim, Duk Hun, Kim, Hyun Ju, & Sim, Seung Hee). Seoul: NonHyung. (first publication in 1976). 

  12. SEMAS Traditional Market TongTong. Retrieved October 5, 2017, from http://www.sijangtong.or.kr 

  13. Seol, Moon-Won & Kim, Jeong-hyeon (2013). Implementing Space-based Networked Documentation for Donghae-Nambu Railway Areas inBusan Metropolitan C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al Studies, 36, 233-269. 

  14. Seol, Moon-Won (2011). A Study on Documenting Locality in Digital Environ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es and Records Management, 11(1), 207-230. 

  15. Seol, Moon-Won (2012 a). Designing a Space-based Locality Documentation Model.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3(4), 437-455. 

  16. Seol, Moon-Won (2012 b). Building Participatory Digital Archives for Documenting Localit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Archival Studies, 32, 3-44. 

  17. Seoul Yangnyeongsi Story Archive. Retrieved October 5, 2017, from http://www.yakstory.com/ 

  18. Tuan, Yi Fu (2007). Space and Place. (translated by Sim, Seung Hee & Gu, Dong Hee). Seoul: Daeyun. (first publication in 1976). 

  19. Uhr, Jeong-Yeon & Yuh, Hong-Koo (2011). A Study on Place Value on the Notion Place. Journal of Country Plan, 45(2), 21-34. 

  20. Yeo, Jin-Won & Chang, Woo-Kwon (2015). A Pilot Study on the Elements of Urban Documentatio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4), 575-598. 

  21. Cox, Richard J. (1996). Documenting Localities: A Practical Model of American Archivists and Manuscripts Curators. Chicago: Scarecrow Press. 

  22. Lukermann, F. (1964). Geography at a formal intellectual discipline and the way in which it contributes to human knowledge. Canadian Geography, 8(4), 167-172. 

  23. Steele, Fritz (1981). The Sense of Place, Boston: CBI Publishing Company.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