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단독주택단지의 빗물이용시설 적정 규모 설정 연구
A Study on the Optimum Size of Rainwater Utilization in Detached Residential Complex 원문보기

한국물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34 no.6, 2018년, pp.669 - 677  

백종석 (K-water융합연구원 물순환연구소) ,  김형산 (K-water융합연구원 물순환연구소) ,  신현석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김재문 (부산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  박경재 (울산광역시 도시계획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rrential rain and drought are repeated due to the increase in the unpredictable fluctuating of rainfall patterns. It is time for stabilize water resource management in terms of disaster prevention. Distributed control from sources is needed to minimize damages caused by torrential rains and drough...

Keyword

표/그림 (1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공동주택단지 및 공공시설에서의 빗물이용시설 효과에 관련한 연구가 진행된 반면, 단독주택단지에 적정한 빗물이용시설의 설치 규모와 경제성에 관련한 연구가 전무하다. 본 연구에서는 빗물통의 규모에 따라 시나리오를 설정하여 단독주택단지에 설치시, 가능한 유출 저감량을 분석하고, 설치시 투자되었던 비용이 회수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여 빗물통 지원사업의 최적 규모 및 기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빗물통의 규모에 따른 유출 저감량 분석을 통해 물수지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 비용-편익 분석을 통해 빗물통 설치비의 회수 기간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경제성 분석시 간접편익과 같은 주관이 개입될 수 있는 항목을 배제하였으며, 직접비용과 직접편익 등 객관적으로 정량화 할 수 있는 항목만을 설정하도록 하였다.
  • 편익은 장기모의로 분석했던 유출 저감량을 빗물통에 저장되었던 양으로 고려하여, 이 저장량 중 단독주택의 생활용수로 이용이 가능한 양만큼에 대한 상수도 요금과 하수처리 비용 등으로 환산하여 산정한다. 시나리오별 경제성을 분석하여 가장 효율성 있는 빗물통의 최적 규모를 제시한다.
  • 본 연구에서는 단독주택단지의 빗물통 설치시 적정 규모설정 및 비용-편익 분석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네 가지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단독주택단지의 빗물이용시설 보급에 가장 큰 요인이 경제성인 이유는 무엇인가? 단독주택단지의 빗물이용시설 보급에 가장 큰 요인은 경제성이다. 시설의 설치가 개인의 몫이기 때문에, 개인에게 주어지는 인센티브가 없다면 설치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을 수 없다. 빗물이용시설의 투자비용 대비 회수할 수 있는 편익과 관련한 연구는 다음과 같다.
환경부에서 의무화한 빗물이용시설의 보급 시설 설치의 현황과 한계점은 무엇인가? 정부부처에서는 환경부와 국토교통부를 중심으로 법과 규칙의 제정을 통해 빗물이용시설의 설치를 의무 및 권장하고 있다. 환경부에서는 2017년 물의 재이용 촉진 및 지원에 관한 법률(물재이용법)로서 공공청사, 공동주택, 학교 등과 같은 대규모 건축물에 한하여 지붕의 빗물 집수면적에 0.05 m를 곱한 규모 이상의 집수시설 설치를 의무화하고 있으나, 단독주택과 같은 작은 면적의 경우는 고시되어 있지 않다. 국토교통부와 환경부에서는 2016년 녹색건축 인증에 관한 규칙을 통해 단독주택의 빗물 집수면적과 강우 깊이를 고려한 처리용량에 따라 기준을 구분하여 인증등급을 배부하고 있다.
설치 경제성 고려 시, 가장 효율적인 빗물통 용량은 무엇인가? 백분위수 90퍼센타일에 속하는 30 mm 이상의 강우를 처리할 수 있는 녹색건축인증기준 1등급은 빗물의 재이용 보다는 방재적 성향이 강하다. 물론 빗물통의 용량이 크다면, 강한 강우사상에서 더 많은 빗물을 저장할 수 있겠지만, 빗물통 설치의 경제성을 고려한다면 4등급으로 가장 큰 효율을 얻을 수 있다. 서울시의 소규모 빗물통 지원범위인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Baek, J. S., Lee, S. J., Shin, H. S., and Kim, H. S. (2018). Analysis of effectiveness for water cycle and cost-benefit according to LID application method in environmentallyfriendly village,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4(1), 57-66. [Korean Literature] 

  2. Kang, T. U., Koo, Y. M., and Lee, S. J. (2015). A study on design method and effect analysis of rainwater harvesting facility for efficient us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5(2), 353-361. [Korean Literature]. 

  3. Kim, J. H., Kim, H. S., Lee, D. J., and Kim, G. H. (2007). Analysis of water use characteristics by household demand monitor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9(8), 864-869. [Korean Literature] 

  4. Kim, K. Y., Park, H. J., Kim, T. I., and Han, M. Y. (2014). Evaluation of stored rainwater quality and economic efficiency at Yangdo elementary rainwater harvesting syste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6(5), 333-341. [Korean Literature] 

  5. Kim, M. S., Kang, D. K., Park, M. J., and Kim, S. D. (2014). Parameter estimation methods of rainwater harvesting system reliability model for improving the applicability to Korea: application to Busa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14(2), 345-354. [Korean Literature] 

  6. Ko, H. B., Choi, H. N., Lee, Y. K., and Lee, C. Y. (2016). Analysis on the water circulation and water quality improvement effect of low impact development techniques by test-bed monitoring,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17(5), 27-36. [Korean Literature] 

  7.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KICT). (2016). Green Standard for Energy&Environmental Design(G-SEED),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131-174. [Korean Literature] 

  8. Lee, J. M., Hyun, K. H., Lee, Y. S., Kim, J. G., Park, Y. B., and Choi, J. S. (2011). Analysis of water cycle effect by plan of LID-decentralized rainwater management using SWMM-LID model in a low-carbon green village, LHI Journal of the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2(4), 503-507. [Korean Literature] 

  9. Lee, J. M., Lee, Y. S., and Choi, J. S. (2014). Analysis of water cycle effect according to application of LID techniques,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6(3), 411-421. [Korean Literature] 

  10. Lee, S. W. and Kim, R. H. (2016). Study of benefit characteristics for Low Impact Development (LID) facilities demonstrated in Seoul metropolita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8(6), 299-308. [Korean Literature] 

  11. Lee, W. B., Kim, J. H., Kang, S. I., Jeong, H. C., Moon, H. S. and Hyun, C. T. (2012). Installation criterion for rainwater harvesting facilities of multi-family housings using cost-benefit analysi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8(10), 121-130. [Korean Literature] 

  12.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6). The water statistics,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13.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MSF). (2011). Enforcement regulations of corporate tax act, Ministry of Strategy and Finance. [Korean Literature] 

  14. Park, J. Y., Lim, H. M., Lee, H. I., Yoon, Y. H., Oh, H. J., and Kim, W. J. (2013). Water balance and pollutant load analyses according to LID techniques for a town development,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35(11), 795-802. [Korean Literature] 

  15. Statistics Korea (SK). (2018).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SIS), http://kostat.go.kr/ (accessed Seb. 2018). 

  16. The Bank of Korea (BK). (2018). Economic Statics System (ESS), http://ecos.bok.or.kr/ (accessed Seb. 2018). 

  17. Ulsan Metropolitan City (UMC). (2018). Ulsan Metropolitan City (UMC), http://www.ulsan.go.kr/rep/index. (accessed Seb. 2018). 

  18. Urban Drainage and Flood Control District (UDFCD). (2017). Urban storm drainage criteria manual Volume 1, Runoff, Urban Drainage and Flood Control District, 14-15. 

  19. Yoon, J. B. and Kwon, T. J. (2013). Effectiveness on storm water management of green city planning elements: focusing on multipurpose rainwater utilization facilities,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77, 3-16. [Korean Literature]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