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모성건강관리프로그램이 임부의 우울, 모성역할자신감, 분만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aternal Health Care Program on Depression, Maternal Role Self-confidence and Delivery Self-efficacy in Pregnant Women 원문보기

동서간호학연구지 =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23 no.2, 2017년, pp.134 - 141  

김연실 (두원공과대학교 간호학과) ,  이윤정 (꽃동네대학교 간호학과) ,  박규희 (동강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maternal health care program on pregnant women's depression, maternal role self-confidence and delivery self-efficacy in a public health center. Methods: This study use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quasi-experiment design 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사회 보건소를 기반으로 임부에게 제공한 모성건강관리프로그램이 우울, 모성역할자신감, 분만자신감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여 임부들에게 경제적으로 부담없는 질 높은 공공 의료서비스로서 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가설1. 모성건강관리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우울이 낮아질 것이다.
  • 2)가설2. 모성건강관리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모성역할자신감이 높아질 것이다.
  • 3)가설3. 모성건강관리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분만자신감이 높아질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부를 대상으로 모성적응을 증진시키고 분만에 대한 부담을 감소시키기 위핸 산전 교육의 종류와 그 효과는? 임신은 여러가지 측면에서 정신적⋅신체적 스트레스를 유발시키기 때문에 임부의 모성역할에 대한 불안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임부를 대상으로 모성적응을 증진시키기 위한 신생아 또는 영아 양육에 대한 지식과 기술 교육에 초점을 맞추는 것은 중요하고[13-14], 임부가 분만에 대한 부담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분만과정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고 임하도록 도와주는 산전 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다[1]. 특히 임부에게 필요한 양육과 관련된 산전 교육으로 신생아 관리, 수유, 산욕기 관리 등의 교육을 제공했을 때 모성역할자신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고[15], 또한 분만에 실질적으로 필요한 교육으로 운동요법, 요가, 라마즈호흡법, 듀라터치 분만법 등을 임부에게 제공함으로서 분만자심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16-17].
가임여성들이 가장 불안해하는 것은? 이처럼 중요한 시기에 임부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신체적, 정신적, 심리⋅사회적 스트레스를 경험하게 되며, 임부와 태아의 건강에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가임여성들이 가장 불안해하는 것은 진통으로 인한 고통, 출산과정, 조산, 기형아 출산 등에 대한 두려움이며[1], 이러한 막연한 두려움과 불안감은 출산을 기피하게 될 뿐 아니라 가족 모두의 건강증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된다[2].
임신 스트레스를 방치할 경우 나타나는 부정적 영향은? 임부는 출산에 대한 기대도 있으나 동시에 우울, 불안 또는 스트레스와 같은 심리적 불편감을 경험하며[4], 여성의 84%가 임신기 동안 심리⋅사회적 스트레스를 경험한다고 보고하였다[5]. 이러한 스트레스를 방치할 경우 여성들은 임신을 기피하게 되고 임신 후에도 산후 우울증 발병가능성이 높아지게 되고, 또한 임부에게 우울증상이 있어도 약물치료를 할 수 없는 상황임을 감안할 때 예방적 차원에서 우울과 같은 심리적 중재가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6]. 특히 산전 우울은 여성의 생애주기에서 어떤 시기보다도 그 발생이 높고, 좋지 않은 산과적 결과와 연관된다는 것을 알 수 있는데[7], 코호트 연구결과 산전 우울이 심했던 임부들이 상대적으로 자연적 조산발생이 더 많았다고 보고하였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Shim CS, Lee YS. Effects of a yoga-focused prenatal program on stress, anxiety, self confidence and labor pain in pregnant women with in vitro fertilization treat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012;42(3):369-76. http://dx.doi.org/10.4040/jkan.2012.42.3.369 

  2. Swang NM. The necessity for establishing a public prenatal health promotion and education system.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010;163:50-64. 

  3. Whang NM, Yoon KJ. Development of Maternal and Child Health Center Model.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report. 2007. http://repository.kihasa.re.kr:8080/handle/201002/943 

  4. Van Bussel, JC, Spitz BH, Demyttenaere K. Anxiety in pregnant and postpartum women: An exploratory study of the role of maternal orientation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09;114: 232-42. 

  5. Woods SM, Melville JL, Guo Y, Fan MY, Gavin A. "Psychosocialstress during pregnancy", American Journal of Obstetrics & Gynecology. 2010;202(61): 61-7. 

  6. An YG, Jang HK, Beak KR, Kim DK, Lee K, Jang MS. Development of Mindfulness for Pregnant Women (MPW) Program and its Psychological Efficacy. The Korean Journal of Cognitive and Bilolgical Psychology. 2011;23(3): 321-37. 

  7. O'Keane V, Marsh MS. Depression during pregnancy. BMJ: British Medical Journal, 2007 ;334(7601): 1003. 

  8. Dayan J, Creveuil C, Marks MN, Conro, S, Herlicoviez M, Dreyfus M, et al. Prenatal depression, prenatal anxiety, and spontaneous preterm birth: a prospective cohort study among women with early and regular care. Psychosomatic medicine. 2006;68(6): 938-46. 

  9. Leigh B, Milgrom J. Risk factors for antenatal depression, postnatal depression and parenting stress. BMC psychiatry. 2008;8(1): 24. 

  10. Cho YJ, Han JY, Choi JS, Ahn HK, Ryu HM, Kim MY, et al. Prenatal multivitamins containing folic acid do not decrease prevalence of depression among pregnant women.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2008;28(5): 482-84. 

  11. Kwon M. Antenatal depression and mother-fetal interac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hild Health Nursing. 2007;13(4): 416-26. 

  12. Kim H, Bracha Y, Tipnis A. Automated depression screening in disadvantaged pregnant women in an urban obstetric clinic. Archives of women's mental health. 2007;10(4):163-69. 

  13. Mercer RT, Walker LO. A review of nursing interventions to foster becoming a mother. Journal of Obstetric, Gynecologic, & Neonatal Nursing. 2006;35(5):568-82. 

  14. Thoyre S, Shaker C, Pridham K. The early feeding skills assessment for preterm infants. Neonatal Network. 2005;24(3):7-16. 

  15. Chae MY, Hwang MS. The effects of home care nursing based maternal role strengthening programs on the maternal identity and confidence of maternal role on first-time mother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011;18(2):88-98. 

  16. Yeo JH. Childbirth Experience of Participants in Lamaze Childbirth Educatio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0;16(3):215-23. http://dx.doi.org/10.4069/kjwhn.2010.16.3.215. 

  17. Kim GJ. The effects of doula touch delivery education on self-confidence delivery, knowledge of childbirth, couple satisfac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3;14(6):2880-888. 

  18. Park HS, Whang MY. The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To be a Good Mom' Program based on Transactional Analysis on the Stress. Depression and Self-efficacy. Mental Health and Social Work. 2015;43(2):228-52. 

  19. Ban JY, Kim DY. The Effect of the Art Therapy Program Based on Picture Diary on the Pregnant Women's Delivery Psychology. Art Therapy Intervention Research. 2003;10(2): 173-99. 

  20. Song JE, Ahn JA. Effect of intervention programs for improving maternal adaptation in korea: systematic review.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13;19(3): 129-41. http://dx.doi.org/10.4069/kjwhn.2013.19.3.129 

  21. Cho MJ, Kim KH. Diagnostic validity of the CES-D(korean version)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993;32(3): 381-99. 

  22. Walkeret LO, Crin H, Thompson E. Maternal role attainment and identity in the postpartum period : stability and change. Nursing Research. 1986;35(2): 68-71. 

  23. Lee MK. Factors influencing self confidence during delivery in laboring women.w.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05;11(1): 20-6. 

  24. Statistics Korea. 2016. Population survey. http://meta.narastat.kr/metasvc 

  25. Kim SN, Lee JY, Shin SH, Choi CW, Kim EK, Kim HS, et al. Clinical manifestations of capillary hemangiomas in preterm infants. Korean Journal of perinatology. 2015;26(3): 222-28. http://dx.doi.org/10.14734/kjp.2015.26.3.222 

  26. Donesky-Cuenco D, Nguyen HQ, Paul S, Carrieri-Kohlman V. Yoga therapy decreases dyspnea-related distress and improves functional performance in people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a pilot study. The Journal of Alternative and Complementary medicine. 2009;15(3): 225-34. 

  27. Jun HS. The effect of experience of pregnancy on back pain and delivery self-efficacy.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Association for Girls and Women. 2008;22(2): 229-42. 

  28. Jun EH, Choi SH. Effect of a public health center prenatal program on bady mass index, pregnancy stress and childbirth confidence.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2015;22(1): 1-10. 

  29. Joo KS.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a Tailored Maternal Health Management Program for Maternal Adaptation of immigrant Pregnant Women [dissertation]. Seoul: Korea University; 2015. pp.1-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