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비스업체 근로자의 직무요구와 직무 스트레스 회복경험이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Job Demand and Recovery Experience from Job Stress on Job Embeddedness among Workers in the Service Industry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9 no.2, 2018년, pp.143 - 154  

전소연 (서울여자간호대학교) ,  이연향 (고신대학교 간호대학) ,  최은경 (동아보건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job demand and recovery experience from job stress on job embeddedness among workers in the service industry.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223 workers from the service industry in P and Y Cities with the help of a structured self-re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직무착근도가 낮을수록 구성원의 이직의도가 높으며 조직잔류가 낮고[7], 직무착근도의 적합성과 희생은 자발적 이직의도와 조직동일시의 조직잔류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며, 연계의 직무착근도는 자발적 이직의도와 조직동일시의 조직잔류 전체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고 하였다[8]. 그러나 직무착근도는 직무 내 ‧ 외적 행위와 결과가 개인적 네트워크 구성에 영향하며 직장 내 ‧ 외적 요소들과 구성원의 조직 내 잔류를 매개해 주는 주된 핵심 개념이 되므로 본 연구에서는 직무착근도를 종속변수로 하여 직무착근도에 영향하는 원인변수들과의 관계와 그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서비스업체 근로자를 대상으로 하여 직무착근도의 정도를 알아보고 그들의 직무착근도를 높여 주기위해서 직무요구와 직무 스트레스 회복경험과의 관계 및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의 설계는 서비스업체 근로자의 직무요구와 직무 스트레스 회복경험이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직무착근도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이직의도와 조직잔류의 선행요인으로서 직무착근도를 원인변수로 주로 다루어졌지만, 본 연구에서는 이직의도와 조직잔류의 선행변인으로 다루기는 하되 직무착근도를 조직에 남으려는 태도로써 결과 변수로 하고, 직무요구와 직무 스트레스 회복경험을 원인변수로 하여 결과변수인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관계와 그 영향을 다루고자 하였다.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Lee 등[13]의 연구에서 직무요구가 높을수록 직무착근도가 높으며, 직무착근도의 적합성과 연계 및 희생이 높게 나타났으며, 한식당 조리 종사원을 대상으로 한 Na [14]의 연구에서 직무요구의 역할갈등과 역할과부하는 적합성과 연계 및 희생의 직무착근도와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직무요구의 역할모호성이 높을수록 직무착근도의 적합성과 연계 및 희생의 정도가 높게 나타나서 직무요구의 역할모호성과 직무착근도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1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직무착근도란 무엇인가? 직무착근도는 조직구성원이 조직을 떠나지 않고 조직에 머무르고자 하는 경향으로 조직을 이탈하지 않고 조직에 계속 남으려는 태도이다[5]. Mitchell 등[5]은 적합성, 연계, 희생이 직무착근도의 구성요소라고 하였으며, 조직에 대한 적합성은 자신의 직무나 자신이 속한 조직과 잘 맞는지를 지각하는 것이고, 조직에 대한 연계는 각 개인이 타인이나 팀, 집단 및 조직 등과 연결된 정도이며, 조직에 관련된 희생은 각 개인이 현재의 직장을 떠날 경우에 희생해야 하는 물질적, 심리적 편익에 대한 지각된 비용이다[6].
높은 조직구성원의 직무착근도의 특징은 무엇인가? 조직구성원의 직무착근도가 높을수록 이직의도가 낮아지며, 실제 자발적 이직이 감소하며, 자발적 이직의 예측인자로써 직무착근도는 직무만족이나 조직몰입 및 직무대안 지각과 직업탐색행동의 설명력보다 크다[5]. 조직차원의 직무착근도와 이직의도의 관계는 지역사회 차원의 직무착근도와 이직의도의 관계보다 크므로[8] 조직의 구성원이 오래 조직에 남아 있을 수 있도록 직무착근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마련이 요구된다.
스트레스 상황에서 회복하기위한 방법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스트레스 상황에서 부정적 영향을 받지 않기 위해 사용하는 주의전환 전략을 통하여 스트레스의 회복을 경험하게 된다[16]. 직무 스트레스 회복경험의 구성은 스트레스 유발 상황을 의도적으로 피하거나 스스로 시선을 스트레스원에서 다른 곳으로 전환시키는 일로부터의 심리적 분리 경험, 휴식경험, 자기성취경험, 여가에서의 통제 경험으로 이루어진다[17]. 직무 스트레스 회복경험이 높을수록 직무착근도가 높았으며, 직무 스트레스 회복경험의 하위영역인 휴식경험과 자기성취경험이 높을수록 직무착근도가 높게 나타났고, 직무 스트레스 회복경험의 자기성취경험과 통제경험은 직무착근도의 적합성과 연계 및 희생의 관계는 순상관관계로 나타나 직무 스트레스 회복경험의 자기성취경험과 통제경험이 높을수록 직무착근도의 적합성과 연계 및 희생의 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Statistics Korea. Korean service industry [Internet]. Seoul: Statistics Korea. 2008 [cited 2017 October 20].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edu/sri_kor_new/1/1/index.action?bmodelist&search_mode&keyword%ED%95%9C%EA%B5%AD%EC%9D%98+%EC%84%9C%EB%B9%84%EC%8A%A4%EC%82%B0%EC%97%85&Search.x0&Search.y0 

  2. Hong HK, Chung KY, Kim WH. Effects of self-efficacy on job embeddedness, innovation behaviors,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2;12(5):415-430. https://doi.org/10.5392/JKCA.2012.12.05.415 

  3. Korea Employer's Federation. Service industry status and outlook [Internet]. Seoul: Korea Employer's Federation. 2009 [cited 2017 October 20]. Available from: http://www.kefplaza.com/labor/manage/econo_view.jsp?nodeId289&idx6082 

  4. Korea Labor Institute. Workplace panel survey: turnover intention [Internet]. Seoul: Korea Labor Institute. 2016 [cited 2017 October 20].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36&tblIdTX_336_2009_H1019 

  5. Mitchell TR, Holtom BC, Lee TW, Sablynski CJ, Erez M. Why people stay: Using job embeddedness to predict voluntary turnover.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2001;44(6):1102-1121. https://doi.org/10.5465/3069391 

  6. Kwon KJ, Hong HK, Lee HR. A study on the predictors of job embeddedness of organization member. Journal of Tourism & Leisure Research. 2010;22(3):367-387. 

  7. Cho YB, Kwag SH, Ryu JR. A study on the effects of job embeddedness on staying organization. Journal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Research. 2008.;15(1):173-200. 

  8. Kim DH, Kim GO.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golf course employees's the job embeddedness, job burnout, remaining in organization. The Korea Journal of Sports Science. 2015;24(4):905-915. 

  9. Yonhapnews. Korean producer service industry lags far behind major competitors [Internet]. Seoul: Yonhapnews. 2015 [cited 2017 October 20]. Available from: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5/04/18/0200000000AKR20150418028200002.HTML 

  10. Kim SE, Oh SY. The impact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n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beauty service provid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Beauty and Art. 2017;18(1):47-60. https://doi.org/10.18693/jksba.2017.18.1.47 

  11. Schaufeli WB, Bakker AB. Job demands, job resource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burnout and engagement: A multi-sample stud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2004;25(3):293-315. https://doi.org/10.1002/job.248 

  12. Yoon JW. The effect of job demands and job resources on job burnout and moderating effect individual traits in service job. Korea Journal of Business Administration. 2006;19(6):2531-2559. 

  13. Lee YH, Lee JH, Jun SY. The effect of job demand, leader member exchange, and recovery experience from job stress on job embeddedness of workers in the manufacturing industry.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7;26(3):172-183. https://doi.org/10.5807/kjohn.2017.26.3.172 

  14. Na JS. The effects of the job resources and job demands of Korean restaurant cooking employees on job embeddedness & job burnout [dissertation]. [Gwangju]: Honam University; 2015. 91 p. 

  15. Jung MY, Park CY, Koo JW, Roh YM. Stress related factors of physically disabled workers in manufacturing industry. Korean Journal Occupational Environment Medical. 2003:15(1):12-25. 

  16. Lee SM, Moon HK, Oh HO, Choi EK, Woo KM, Lee JH. The impacts of job stress and ego-resilience on recovery experience from job stress in the container terminal worker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016;25(1):9-18. https://doi.org/10.5807/kjohn.2016.25.1.9 

  17. Sonnentag S, Fritz C . The recovery experience questionnair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easure for assessing recuperation and unwinding from work.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2007;12(3):204-221. https://doi.org/10.1037/1076-8998.12.3.204 

  18. Shin DH. The relationship among job stress, job embeddedness and job abandonment intention of doping control Officers [master's thesis]. [Seoul]: Korea National Sport University; 2013. 84 p. 

  19. Park KD. The relationship among job embeddedness, job burnout and customer orientation: Focusing on moderating effect of quality of LMX [dissertation]. [Suwon]: Kyonggi University; 2012. 174 p. 

  20. Kahn RL, Wolfe DM, Quinn RP, Snoek JD, Rosenthal RA. Organizational stress: Studies in role conflict and ambiguity. New York: John Wiley & Sons; 1964. 470 p. 

  21. Park HI, Park YA, Kim JI, Hur TK. A validation study of a Korean version of the recovery experience questionnaire. The Korean Journal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2011;24(3):523-552. 

  22. Lee JH, Choi EK. Oh HO, Moon HK, Lee SM. The impacts of job stress and job embededness on presenteeism among container terminal work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6;27(1):31-42. https://doi.org/10.12799/jkachn.2016.27.1.31 

  23. Yoo MJ, Kim JK. A structural model of hospital nurses' turnover intention: Focusing on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s, job satisfaction, and job embeddedness. Journal of Korean Academic of Nursing Administration. 2016;22(3):292-302. https://doi.org/10.11111/jkana.2016.22.3.292 

  24. Kim KY, Lee DM. The effect of reward system on embeddedness and turnover intention. Ordo Economics Journal. 2013;16(4):177-195. 

  25. Park IK. A study on the effects of job embeddeness on turnover intention for hotel employee: The moderating effect of pay satisfa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Management and Sciences. 2010;25(3):61-79. 

  26. Kwon JH. The effects of job resources by hotel F&B employees on job embeddednes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performance. Journal of Hotel & Resort. 2014;13(1):23-42. 

  27. An HJ, Hyun SH. The influence of the cabin crew's organizational career growth on job embeddedness, brand citizenship behavior and voice behavior: The moderating effect of airline scale and turnover experience.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 Tourism. 2015;24(3):103-12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