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기요양시설 거주 노인 대상 테크놀로지 활용 중재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Interventions Using Technologies for Older Adult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A Systematic Review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9 no.2, 2018년, pp.170 - 183  

김다은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김향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현정희 (질병관리본부) ,  이효진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성혜현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배소영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  탁성희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박연환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  윤주영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Although innovative interventions using technologies have been introduced in long-term care settings, available evidence is still anecdota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synthesize the outcomes of interventions using technologies delivered to nursing home residents. Meth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국내외 장기요양시설에서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된 테크놀로지 활용 중재연구들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하여 중재의 종류 및 방법, 연구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확인하고, 국내 장기요양시설에서 적용 가능한 테크놀로지 활용 중재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장기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건강 결과 및 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추후 테크놀로지 활용연구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장기요양시설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한 테크놀로지 활용 중재연구의 현황을 확인하고, 연구결과를 종합하기 위해 수행된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이다. 본 연구는 PRISMA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그룹의 체계적 문헌고찰 보고지침, SIGN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의 체계적 문헌고찰 지침 및 한국보건의료연구원의 체계적 문헌고찰 매뉴얼에 따라 수행되었다[11-13].
  • 본 연구는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하여 국외 및 국내에서 수행된 장기요양시설 거주 노인 대상의 테크놀로지 활용 중재 연구의 현황을 살펴보고, 연구결과들을 종합하여 장기요양시설에서의 테크놀로지 활용의 필요성 및 적용 가능성을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장기요양시설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한 테크놀로지 활용 중재 연구에 대하여 체계적 문헌고찰을 수행하였다. 최종 선정된 20편의 문헌은 연구에서 활용한 테크놀로지의 종류에 따라 1) 전자 문서 테크놀로지, 2) 임상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3) 안전 관련 테크놀로지, 4) 건강 및 웰니스 관련 테크놀로지, 5) 사회적 연결 테크놀로지 연구로 분류하여 연구방법 및 결과를 종합하여 분석하였다.
  • 본 체계적 문헌고찰 연구에 채택된 문헌의 중재 내용 및 연구결과 등을 분석하기 위하여 추출할 자료 목록을 선정하였다. 연구의 특성으로는 저자, 게재 년도, 국가, 연구 유형, 표본 수,연구참여자 특성 등을 추출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외 장기요양시설에서 거주 노인을 대상으로 실시된 테크놀로지 활용 중재연구들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통하여 중재의 종류 및 방법, 연구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확인하고, 국내 장기요양시설에서 적용 가능한 테크놀로지 활용 중재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장기요양시설 거주 노인의 건강 결과 및 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추후 테크놀로지 활용연구 방향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기요양 영역에서의 테크놀로지 활용이 주는 이점은 무엇인가 이는 테크놀로지의 급속한 발전 및 확산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의료 환경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현 흐름에서 장기요양 서비스 영역에서도 테크놀로지 활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장기요양 영역에서의 테크놀로지 활용은 거주자의 투약 및 질환 관리와 신체 및 인지기능의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하고, 안전과 관련한 중재 제공 및 케어의 접근성을 강화시킬 수 있다[2]. 특히, 투약 관리를 위한 테크놀로지는 케어 제공과정을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해주어 궁극적으로는 장기요양시설 거주자의 삶의 질 증진에 기여할 수 있으며,모니터링 테크놀로지는 거주자들이 거주 공간에서 독립적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원거리에서도 케어제공자가 거주자의 상태를 관찰할 수 있도록 한다[1]. 또한, 정보통신기술의 활용은 대상자 및 가족과 건강 전문가 및 케어제공자 간의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며, 외부와의 사회적 연결을 향상시키고 장기요양서비스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1,2].
보건의료서비스 영역에서 테크놀로지 활용을 확산시키는 요인들에는 무엇이 있는가 보건의료서비스 영역에서 테크놀로지 활용을 확산시키는 요인들로는 케어 인력의 부족, 환자들의 낮은 만족도, 의료비용의 증가, 환자 안전 및 케어의 질 향상에 대한 요구 등이 보고되었다[3]. 간호 영역에서는 테크놀로지 활용을 통해 간호사가 행정 및 관리 등에 소요되었던 간접간호 시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직접간호 시간을 증가시켜 대상자와의 관계를 형성하거나 대상자를 주의 깊게 사정할 수 있도록 한다고 알려져 왔다[4].
테크놀로지와 보건의료서비스의 융합은 장기요양 영역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가 또한, 테크놀로지와 보건의료서비스의 융합은 보건의료서비스 전달체계를 변화시켜 맞춤형 의료로 일컬어지는 개인 별로 특화된 서비스의 제공을 가능하게 하여 대상자의 만족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5]. 특히, 장기요양 영역에서 최신 기술의 활용은 기존의 제공자 중심의 서비스에서 벗어나 새로운 거주자 중심(resident-centered)의 환경을 가능하게 하여 궁극적으로 거주자들의 기능 수준과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장기요양 영역에서도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연구는 확대되어야 한다[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OECD and European Union. A good life in old age? Monitoring and improving quality in long-term care, OECD health policy studies. Paris: OECD Publishing; 2013. 268 p. https://doi.org/10.1787/9789264194564-en 

  2. Czaja SJ. Long-term care services and support systems for older adults: The role of technology. The American Psychologist. 2016;71(4):294-301. https://doi.org/10.1037/a0040258 

  3. Mettler T, Raptis DA. What constitutes the field of health information systems? Fostering a systematic framework and research agenda. Health Informatics Journal. 2012;18(2):147-156. https://doi.org/10.1177/1460458212452496 

  4. Barnard A. Radical nursing and the emergence of technique as healthcare technology. Nursing Philosophy. 2016;17(1):8-18. https://doi.org/10.1111/nup.12103 

  5. Yoon KJ, Song TM, Choi SE, Jung Y, Lee KH. Challenges for activating the convergence of ICT and healthcare services. Sejong: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6 December. Report No.:2016-51 

  6. Tak SH, Benefield LE, Mahoney DF. Technology for long-term care. Research in Gerontological Nursing. 2010;3(1):61-72. https://doi.org/10.3928/19404921-20091103-01 

  7. Braun R, Catalani C, Wimbush J, Israelski D. Community health workers and mobile technology: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Public Library of Science ONE. 2013;8(6):e65772. https://doi.org/10.1371/journal.pone.0065772 

  8. Jamal A, McKenzie K, Clark M. The impact of health information technology on the quality of medical and health care: A systematic review. Health Information Management Journal. 2009;38(3):26-37. https://doi.org/10.1177/183335830903800305 

  9. Prgomet M, Georgiou A, Westbrook JI. The impact of mobile handheld technology on hospital physicians' work practices and patient care: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Informatics Association. 2009;16(6):792-801. https://doi.org/10.1197/jamia.M3215 

  10. Choi M, Kong S, Jung D. Computer and internet interventions for loneliness and depression in older adults: A meta-analysis.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2012;18(3):191-198. https://doi.org/10.4258/hir.2012.18.3.191 

  11. Moher D, Shamseer L, Clarke M, Ghersi D, Liberati A, Petticrew M, et al.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protocols (PRISMA-P) 2015 statement. Systematic Reviews. 2015;4(1). https://doi.org/10.1186/2046-4053-4-1 

  12.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SIGN 50: A guideline developer's handbook. Edinburgh: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s Network; 2015. 104 p. 

  13. Kim SY, Park JE, Seo HJ, Lee YJ, Jang BH, Son HJ, Suh HS, Shin CM. NECA's guidance for undertaking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for intervention. Seoul: National Evidence-based Healthcare Collaborating Agency; 2011. 271 p. 

  14. Stevenson 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in UK schools: An independent inquiry. London: Independent ICT in Schools Commission; 1997 March. 41 p. 

  15. LeadingAge CAST. State of technology in aging services [Internet]. Washington D.C.: LeadingAge. 2011[cited 2016 Sep 1]. Available from: http://hweb.leadingage.org/State_of_Technology_in_Aging_Services_Report.aspx 

  16. LeadingAge CAST. Telehealth and remote patient monitoring for long-term and post-acute care: a primer and provider selection guide [Internet]. Washington D.C.: LeadingAge. 2013 [cited 2016 Sep 1]. Available from: http://www.leadingage.org/white-papers/telehealth-and-remote-patient-monitoring-long-term-and-post-acute-care-primer-and 

  17. Czaja SJ. The potential role of technology in supporting older adults. Public Policy & Aging Report, 2017;27(2):44-48. https://doi.org/10.1093/ppar/prx006 

  18. Finkel S. Introduction to behavioural and psychological symptoms of dementia (BPSD).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00;15(1):S2-S4. https://doi.org/10.1002/(SICI)1099-1166(200004)15:1+3.0.CO;2-3 

  19. O'Connor C, Smith R, Nott M, Lorang C, Mathews RM. Using video simulated presence to reduce resistance to care and increase participation of adults with dementia. American Journal of Alzheimer's Disease & Other Dementias. 2011;26(4):317-325. https://doi.org/10.1177/1533317511410558 

  20. Camberg L, Woods P, Ooi WL, Hurley A, Volicer L, Ashley J, et al. Evaluation of simulated presence: A personalized approach to enhance well-being in persons with Alzheimer's disease.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1999;47(4):446-452. https://doi.org/10.1111/j.1532-5415.1999.tb07237.x 

  21. Smalbrugge M, Pot AM, Jongenelis L, Gundy CM, Beekman ATF, Eefsting JA. The impact of depression and anxiety on well being, disability and use of health care services in nursing home patient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2006;21(4):325-332. https://doi.org/10.1002/gps.1466 

  22. Barca ML, Engedal K, Laks J, Selbaek G. A 12 months follow-up study of depression among nursing-home patients in Norway.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2010;120(1-3):141-148. https://doi.org/10.1016/j.jad.2009.04.028 

  23. Joranson N, Pedersen I, Rokstad AMM, Ihlebaek C. Effects on symptoms of agitation and depression in persons with dementia participating in robot-assisted activity: A cluster-randomized controlled trial. The Journal of Post-Acute and Long-Term Care Medicine. 2015;16(10):867-873. https://doi.org/10.1016/j.jamda.2015.05.002 

  24. Tsai HH, Tsai YF. Changes in depressive symptoms,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over 1 year after a minimum 3-month videoconference program for older nursing home residents.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2011;13(4):e93. https://doi.org/10.2196/jmir.1678 

  25. De Luca R, Bramanti A, De Cola MC, Leonardi S, Torrisi M, Aragona B, et al. Cognitive training for patients with dementia living in a sicilian nursing home: A novel web-based approach. Neurological Sciences. 2016;37(10):1685-1691. https://doi.org/10.1007/s10072-016-2659-x 

  26. Sihvonen SE, Sipila S, Era PA. Changes in postural balance in frail elderly women during a 4-week visual feedback training: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Gerontology. 2004;50(2):87-95. https://doi.org/10.1159/000075559 

  27. Kong HJ, Kim J, Hwang EJ, Hong JY, Kin SH. Effects of healthcare smart home exercise program on the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of obese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014;34(1):103-114. 

  28. Korea Ministry of Health & Welfare. Eup-myeon-dong welfare hub, greatly expanded from 980 to 2,100 [Internet]. Sejong: Korea Ministry of Health & Welfare. 2017 [cited 2017 August 19]. Available from: http://www.mohw.go.kr/react/al/sal0301vw.jsp?PAR_MENU_ID04&MENU_ID0403&page52&CONT_SEQ338039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