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중운동치료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효과 : 국내연구의 메타분석
The Effect of Aquatic Exercise Therapy on Bal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 Meta-Analysis of Studies in Korea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6 no.2, 2018년, pp.1 - 16  

이동진 (광주보건대학교 물리치료과) ,  조성현 (남부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is meta-analysis was aimed at guiding future research in stroke treatment and to provide real-world data relating to the effects of aquatic exercise therapy on bal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Methods : We performed a meta-analysis comprising 22 studies involving aquatic exerci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국내에서는 뇌졸중 환자에게 수중운동치료를 실시한 후 균형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효과크기 분석을 통해 제시된 논문은 없는 실정이다. 그리하여 본연구에서는 수중운동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함으로서 수중운동치료의 효과성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따라서 이 결과는 본 연구에서 포함된 연구에 출간오류가 없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전체 연구 결과를 번복할 정도의 심각한 오류는 아니라고 말할 수 있다(박완주 등, 2015; 김경진 등, 2016). 또한 국내 여러 학문 분야에서 실시된 수중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임상적 근거를 제시하기 위해 처음 시도된 연구라는 점과 수중운동치료의 비교 연구에 바탕이 될 수 있는 자료를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 본 연구는 국내 수중운동치료가 뇌졸중 환자의 균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논문들을 분석하였다. 먼저 연구논문을 PICO 기준에 의거하여 검색하였다.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국내에서 발표된 수중운동치료의 효과를 계량적으로 종합 분석하여 프로그램의 특성과 효과의 객관적 유용성을 판단하여 근거기반의 실천적 및 학문적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한미화와 이경희, 2017). 2006년 1월부터 2017년 5월까지 국내에서 수행된 수중치료 효과에 대한 연구 238편의 논문이 1차 검색되었으나, 배제기준들을 적용하고 선정기준에 최종적으로 적합한 논문은 학위논문 12편, 학술연구논문 10편의 총 22편이 본 연구의 메타분석 대상에 포함되었다(박완주 등, 2015).
  • 본 연구는 수중운동치료를 실시하여 뇌졸중 환자의 균형 향상에 대해 연구한 개별적인 연구들의 결과를 가지고 각 효과크기를 사용하여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수중운동치료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메타분석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중운동의 개념은? 수중운동은 물의 고유 특성인 정수압, 부력, 밀도, 마찰, 점성저항, 온도 등의 장점을 이용해 환자의 안전성을 고려한 후에 치료목적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Bandy & Sanders, 2001). 수중운동은 아쿠아에어로빅스,아쿠아로빅, 아쿠아 치료, 수중에어로빅스, 아쿠아틱피트니스, 수중 보행 등 다양한 수심의 풀에서 행해지는 모든 운동을 포함한 개념이며, 미국의 관절염 협회에서 1970년대 중반에 레크레이션 수중운동 프로그램 개발을 시작하여 이를 공식화하면서 널리 보급하기 시작하였다(김종임 등, 1997). 수중운동은 기능적 제한을 가진 환자들에게 개인적으로 알맞은 특별한 재활 환경을 제공할 수 있으며, 물의 저항을 통한 근력 운동과 더불어 상, 하지 및 몸통 운동을 통한 균형의 향상은 지상운동을 적절하게 수중운동으로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다(Brody &Hall, 1999).
메타분석의 장점은 무엇인가? 메타분석은 개별적 연구 결과를 계량적으로 통합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일반화할 수 있는 종합 결과를 찾고, 불필요한 반복연구를 지양하고 임상적 의사결정을 하는데 합리적이고 타당한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박완주 등, 2015).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만성 뇌졸중 환자의 수중 운동을 위한 연구디자인 시 표준 기준을 제시하고, 다른 연구자들이 범할 수 있는 오류를 피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반복되는 연구 방법의 실수나 의미 없는 반복 연구를 줄일 수 있으며,선행 연구자들이 겪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나 연구 방향을 제시해 줄 수 있을 것이다(박완주 등, 2015).아직까지 국내에서는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수중운동치료의 효과를 분석한 무작위배정 실험연구 수가 비교적 적어 효과크기의 동질성 검정과 효과크기에 대한 확증적인 분석 결과를 얻기에는 제한이 있다(김아린과 양인숙, 2017).
수중운동은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가? 수중운동은 물의 고유 특성인 정수압, 부력, 밀도, 마찰, 점성저항, 온도 등의 장점을 이용해 환자의 안전성을 고려한 후에 치료목적으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Bandy & Sanders, 2001). 수중운동은 아쿠아에어로빅스,아쿠아로빅, 아쿠아 치료, 수중에어로빅스, 아쿠아틱피트니스, 수중 보행 등 다양한 수심의 풀에서 행해지는 모든 운동을 포함한 개념이며, 미국의 관절염 협회에서 1970년대 중반에 레크레이션 수중운동 프로그램 개발을 시작하여 이를 공식화하면서 널리 보급하기 시작하였다(김종임 등, 199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4)

  1. 김경진, 홍해숙, 박완주 등(2016). 국내 중년기 비만 여성의 생리적 지표에 대한 복부비만관리프로그램의 효과: 메타분석. 대한비만학회지, 25(3), 138-149. 

  2. 김아린, 양인숙(2017). 운동중재가 심혈관질환자의 혈관내피전구세포에 미치는 영향: 체계적 문헌고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8(4), 366-379. 

  3. 김은영, 황성동, 김은주(2016). 치매 환자의 문제행동을 위한 자극지향적 중재의 효과 연구: 체계적 고찰과 메타분석. 대한간호학회지, 46(4), 475-489. 

  4. 김종임, 강현숙, 최희정 등(1997). 수중 운동 프로그램이 퇴행성 관절염 환자의 통증, 신체지수, 자기효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류마티스 건강학회지, 4(1), 15-25. 

  5. 김태열, 김계엽, Lambeck J(2000). 류마티스 관절염의 수중치료. 대한물리치료학회지, 12(3), 407-414. 

  6. 김태열, 윤희종, Lambeck J(1998). 할리윅 치료. 대한물리치료사학회지, 5(3), 9-15. 

  7. 박기덕, 강승호(2007). 수중재활운동 프로그램적용이 40대 Cerebro Vascular Accident (CVA)환자의 유연성과 보행시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9, 375-385. 

  8. 박완주, 박신정, 황성동(2015). 한국 학령기 ADHD 아동을 위한 인지행동중재의 효과 연구. 한국간호과학회지, 45(1), 169-182. 

  9. 박진희, 배선형(2012). 유방암 환자에서 화학요법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메타분석. 대한간호학회지, 42(5), 644-658. 

  10. 신현희, 신영희, 김가은(2016). 산전우울 임부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7(11), 271-284. 

  11. 한미화, 이경희(2017). 간호대학생을 위한 의사소통 능력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23(1), 15-26. 

  12. Bae DJ(2015). Effect of aquatic therapy for pulmonary function and balance ability in the persons with stroke. Yongin University, Master's Thesis. 

  13. Bandy WD, Sanders B(2001). Therapeutic exercise: techniques for intervention. Balti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p.295-331. 

  14. Becker BE(2009). Aquatic therapy: scientific foundation and clinical rehabilitation applications. Phys Med Rehabil, 1(9), 859-872. 

  15. Borenstein M, Hedges LV, Higgins JPT, et al(2009).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West Sussex, UK, John Wiley & Sons, Ltd. 

  16. Brody LT, Hall CM(1999). Therapeutic exercise: Moving toward function. Philadelphia, Lippincott Willams & Wilikins, pp.286-301. 

  17. Cho WJ, Cho HC(2013). Effects of 8-week aqua therapy and treadmill walking exercise on daily physical fitness and inflammatory markers in stroke hemiplegia patient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52(2), 851-860. 

  18. Cho WJ, Jung HY(2013). Effects of the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program on physical fitness and blood lipid in stroke hemiplegic. Korean J Sports Sci, 22(1), 973-983. 

  19. Chon SC, Oh DW, Shim JH(2009). Watsu approach for improving spasticity and ambulatory function in hemiparetic patients with stroke. Physiother Res Int, 14(2), 128?136. 

  20. Chu KS, Eng JJ, Dawson AS, et al(2004). Water-based exercise for cardiovascular fitness in people with chronic strok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rch Phys Med Rehabil, 85(6), 870-874. 

  21. Chung EJ, Lee JY, Jung JH(2014). The effect of sensory training in aqua and land on the balance of chronic stroke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6(2), 961-972. 

  22. Cohen J(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3. Duval S, Tweedie R(2000). A nonparametric "trim and fill" method of accoun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J Am Stati Assoc, 95(449), 89-98. 

  24. Egger M, Smith GD, Schneider M, et al(1997). Bias in meta-analysis detected by a simple, graphical test. BMJ, 315(7109), 629-634. 

  25. Faull K(2005). A pilot study of the comparative effectiveness of two water-based treatments for fibromyalgia syndrome: Watsu and Aix massage. Journal of Bodywork and Movement Therapies, 9(3), 202?210. 

  26. Getz M, Hutzler Y, Vermeer A, et al(2012). The effect of aquatic and land-based training on the metabolic cost of walking and motor performance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 pilot study. International Scholarly Research Network Rehabilitation. doi:10.5402/2012/ 657979. 

  27. Han SK(2012). Comparison of effects of proprioceptive exercise program in aqua and land on the balance of chronic stroke patients. Eulji University, Master's Thesis. 

  28. Higgins JPT, Green S(2011).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version 5.1.0 [Internet]. London, The Cochrane Collaboration. 

  29. Horak FB(1997). Clinical assessment of balance disorders. Gait Posture, 6(1), 76-84. 

  30. Jung JH(2016). The effects of upper.lower functional training in underwater on balance and pulmonary function of chronic stroke. Daegu University, Doctoral Thesis. 

  31. Jung JH(2012). The effect of obstacle training in water for chronic stroke patients for balance. Daegu University, Master's Thesis. 

  32. Kim HJ(2015). Effects of progressive underwater gait training for balance, gait and endurance in patient with stroke. Sahmyook University, Master's Thesis. 

  33. Kim SH, Lee DK, Kim EK(2014). Effect of aquatic exercise on balance and depression of stroke patients, J Korean Soc Phys Ther, 26(2), 104-109. 

  34. Klein DA, Stone WJ, Phillips WT, et al(2002). PNF training and physical function in assisted­living older adults. J Aging Phys Act, 10(4), 476-488. 

  35. Kwon HM(2010). The effect of balance control and vestibular function by an aquatic rotation control and the obstacle avoidance underwater with hemiplegia patients. Dongshin University, Master's Thesis. 

  36. Lee DJ(2009). A study on effect of task-related training in water and on land for chronic stroke patient for a balance, functional performance and the quality of the life. Sahmyook University, Doctoral Thesis. 

  37. Lee DJ, Ko TS, Cho YM(2010) Effects on static and dynamic balance of task-oriented training for patients in water or on land. J Phys Ther Sci, 22(3), 331?336. 

  38. Lee JD, Lee HK(2008). Effect of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on stroke patients'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and cardiorespiratory function profiles, Korean J Sports Sci, 17(3), 647-655. 

  39. Lee ME, Jo GY, Do HK, et al(2017). Efficacy of aquatic treadmill training on gait symmetry and balance in subacute stroke patients. Ann Rehabil Med, 41(3), 376-386. 

  40. Lee TH, Kim SY, Kim JP, et al(2012). The effect of therapeutic intervention by aquatic physical therapy on stroke patient. Korean Acad Clin Electrophysiol, 10(2), 15-21. 

  41. Lee YH, Kang SJ(2009). Effects of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with land rehabilitation exercise on physical fitness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range of motion of low limbs in chronic hemiplegia. Journal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17(2), 121-141. 

  42. Lee YH, Kang SJ(2010). Effects of 12-week aquatic gait and land exercises on gait capacity in hemiplegia disable. Korean J Phys Educ, 49(1), 457-464. 

  43. Lee YH, Kim JH(2008). The effects of aquatic rehabilitation exercise on relation factors of gait in hemiplegic male disabled after CVA. Korean Society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16(4), 39-54. 

  44. Long KA, Lee EJ, Swank SA(1996). Effects of deep water exercise on aerobic capacity in older women. Med Sci Sports Exerc, 28(5), 210-216. 

  45. Nam HC(2006). Effect of aquatic therapy for functional restoration in the persons with chronic stroke. Daegu University. Doctoral Thesis. 

  46. Park BS, Noh JW, Kim MY, et al(2015). The effects of aquatic trunk exercise on gait and muscle activity in stroke patients: a randomized controlled pilot study. J Phys Ther Sci, 27(11), 3549-3553. 

  47. Park JS(2009).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exercise in water and land on the rehabilitation of chronic stroke patients. Eulji University, Master's Thesis. 

  48. Park JS(2012). The effects of proprioceptive stimulation exercise in aqua on sense, motor ability and stress of hemiplegia patients. Daegu University, Doctoral Thesis. 

  49. Peurala SH, Konoen P, Pitkanen K, et al(2007). Postural instability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Restor Neurol Neurosci, 25(2), 101-108. 

  50. Rosenthal R, Rubin DB(1982). A simple, general purpose display of magnitude of experimental effect. J Educ Psychol, 74(2), 166-169. 

  51. Ruoti RG, Moris DM, Cole AJ(1997). Aquatic rehabilitation. Philadelphi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52. Son NH(2013). The impact of aquatic and ground exercise on balance and walking abilities in stroke patients. Yongin University. Master's Thesis. 

  53. Song JM, Kim SM(2009). The effect of aquatic exercise on the improvement of physical and pulmonary function after stroke. J Korean Soc Phys Ther, 21(2), 15-22. 

  54. Yang HJ(2016). Effects of the underwater treadmill gait training on gait, balance and pulmonary function in stroke patients. Daejeon University, Master's Thesis.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