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어촌 의료서비스 개선사업 성과에 대한 지역주민과 사업담당자간의 인식 비교
Comparison of Perceptions of Local Residents and Public Health Center Staffs on the Performance of Medical Service Improvement Plan in Rural Areas 원문보기

農村醫學·地域保健 =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 community health, v.43 no.2, 2018년, pp.74 - 84  

이주열 (남서울대학교 보건행정학과) ,  황라일 (신한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perceptions of the rural healthcare service improvement project' performance and reorganization of public health centers between project staffs and local residents. Methods: Data collection from this study was performed in 141 project areas us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농어촌 의료서비스 개선사업은 농어촌 지역보건의료기관의 시설개선과 장비· 차량, 병원선 수리비 등을 지원하여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역주민의 의료접근도를 제고하고 도․농 간 의료서비스 수준의 격차를 완화하는데 목적이 있다(Choi[5]).
  • 또한 보건의료서비스에 대한 욕구의 차이로 농어촌 의료서비스 개선사업의 성과와 지역보건의료기관 운영 개편 문제에 대해 수혜자인 지역주민과 사업담당자 각각의 인식의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지역사회 내에서 이러한 인식의 차이를 조정하면서 공동의 문제로 함께 해결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지역주민과 사업담당자의 사업성과에 대한 공유 정도 및 인식 차이를 탐색할 필요가 있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어촌 의료서비스 개선사업 추진 경험이 있는 지역보건의료기관의 보건소 사업담당자와 관내 서비스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농어촌 의료서비스 개선사업 성과에 대한 전반적 인식도를 파악함으로써, 향후 농어촌 보건의료서비스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는 농어촌 의료서비스 개선사업 추진 경험이 있는 지역의 사업담당자와 관내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농어촌 의료서비스 개선사업 성과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농어촌 지역의 인구감소와 교통발달 등 급변하는 보건의료환경 속에서 농어촌 의료서비스 개선사업 성과에 대한 인식을 파악함으로써, 농어촌 의료서비스 개선사업의 효율적 운영과 보건의료서비스 질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보건소의 농어촌 의료서비스 개선사업 담당자와 관내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농어촌 의료 서비스 개선사업 성과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대상은 농어촌 의료서비스 개선사업 추진 경험이 있는 141개 보건소의 농어촌 의료서비스 개선사업 담당자와 관내 보건소, 보건지소 및 보건진료소를 방문한 지역 주민이며, 자료수집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 이상의 본 연구는 전국 농어촌 의료서비스 개선사업 대상 지역주민과 사업담당자를 대상으로 농어촌 의료서비스 성과 관련 인식도를 비교함으로써, 향후 급변하는 보건의료환경변화 및 지역별 현실에 맞는 농어촌 의료서비스 개선사업의 추진 방향을 재정립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와 농어촌 지역 간 격차의 예시로는 무엇이 있는가?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유례없이 빠른 산업발전과 경제성장을 이루어 다른 개발도상국가의 모델이 되는 긍정적 성과를 달성한 이면으로, 도시 지역 중심의 개발로 인해 도시와 농어촌 지역 간 격차 해소라는 해결과제를 안고 있다. 농어촌 지역은 도시 지역에 비해 저개발상태로 지역의 제반 인프라가 취약한데, 보건의료 측면에서도 의료인력, 시설 및 장비 등 보건의료원이 부족하고 서비스 질도 열악한 실정이다(Hwang[1]). 또한, 농어촌 지역주민은 도시 지역에 비해 흡연, 음주, 영양, 운동 등 건강행태가 취약하고, 대사증후군, 고혈압, 고혈당 유병률도 높게 나타났으며 농가 소득 중 보건의료비 역시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어, 농어촌 지역의 형평성 강화를 위한 보건사업에 관심과 투자가 요구되고 있다(Kim과 Park[2], Lee[3], Kim[4]).
농어촌 의료서비스 개선사업의 목적은 무엇인가? 정부에서는 경제개발과 도시화로 인해 심화된 농어촌 보건의료서비스 문제를 공공기관이 주도하여 해소하고자 1994년부터 현재까지 농어촌발 전특별세를 투입하여 농어촌 의료서비스 개선사 업을 추진하고 있다. 농어촌 의료서비스 개선사업은 농어촌 지역보건의료기관의 시설개선과 장비· 차량, 병원선 수리비 등을 지원하여 양질의 의료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지역주민의 의료접근도를 제고하고 도․농 간 의료서비스 수준의 격차를 완화하는데 목적이 있다(Choi[5]). 그동안 농어촌 의료서비스 개선사업은 약 1조원에 가까운 예산을 투자하여 2016년 기준 총 3,313개소 지역보건의 료기관 중 2,420개소(73.
농어촌에 있는 지역보건의료기관의 문제점은? 한편 민간의료기관이 부족한 농어촌 보건소, 보건지소, 보건진료소 등 지역보건의료기관은 주민들과 친밀한 상호작용을 통해 밀착형 보건사업을 제공하고 있지만, 이용접근성 제한, 신뢰도 및 전 문성 부족 등의 문제들을 지적받고 있다(Kim & June, [9]; Choi et al[10], Kim & Park[11]). 더욱이 교통통신의 발달로 도심 근교에 위치한 보건진료소와 도서벽지 보건진료소 간 보건사업에 대한 수요 차이가 있지만, 지금까지 지역보건의료기관 운영 개편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Hwang JH. Shortage of public healthcare personnel, is it a problem of number of doctors?. J Korean Med Assoc 2012;55(9): 812-814 (Korean) 

  2. Kim MJ, Park, EO. The prevalence and the related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in urban and rural community. Korean J Adult Nurs 2014;26(1):67-77 (Korean) 

  3. Lee JH. The regional health inequity, and individual and neighborhood level health determinants. Health Soc Welfare Rev 2016;345-384 (Korean) 

  4. Kim MG. Improving rural health services. Agricultural & Livestock Sharing News 2013 Mar 13[cited 2017 Oct 5. Available from : URL:http://www.afl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93882 

  5. Choi KH. Improving rural healthcare service system.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2008 (Korean) 

  6. Gi M, Na BJ, Lee WJ, Jung BG, Lee HY, Park SW.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improvement service of rural medical service and establishing future investment directio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2 (Korean) 

  7. Son SB. Operational performance and future task of strategic development committee on rural healthcare service. Weekly Issue 2017;23:1-8 (Korean) 

  8. Na BJ, Kim CW, Kim MH, Jang MH, Park SH, Kim GY, Lee MS. Evaluation of 10 years of rural health service improvement project and future plans. J Agri Med & Community Health 2006;31(1):81-107 (Korean) 

  9. Kim CM, June KJ. Looking back the past 30 years: activities and achievements of community health practitioners in rural and remote areas in Korea.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12;21(1): 261-62 (Korean) 

  10. Choi YJ, Yoon SD, Choi JS. Survey on welfare of farmers and fishermen.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6 (Korean) 

  11. Kim HS, Park YH. Related factors on health service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of health center clients. Korean J Health Serv Manag 2013;7(3):95-109 (Korean) 

  12. Ministry o f Health & Welfare, National Medical Center. 2016 Public Health Statistics. National Medical Center. 2016 (Korean). 

  13. Shin HS. Jeong AS, Huh SI. Effective coverage of selected health services in Korea: Pop-smear Screening, hypertension, and arthritis control. Health and Soc Welfare Rev 2008;28(2):135-156 (Korean) 

  14. Korea Developmeant Institute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Medical Service Improvement Plan in Rural Areas. 2006. Korea Developmeant Institute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orean) 

  15. Jee YJ & Hong HH. Development of optimal models in health subcenter through integrating management of health subcenter & primary health center and expansion of role.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2016;6:159-168 (Korean) 

  16. Na BJ. Reform of the primary health care delivery system in rural areas. Korean J Acad of Rural Health Nurs 2006;1(1):5-10 (Korean) 

  17.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Australian Standard Geographical Classification. cited 2018 May 27. Available from : http://www.abs.gov.au/websitedbs/D3310114.nsf/home/Australian+Statistical+Geography +Standard+(ASGS) 

  18. Na BJ, Nam HS, Chae CH, Lee JY, Lee SJ, Park SW, Kim J, Development of investment plan and guideline for improvement of rural health services for 10 years. Konyang university & Ministry o f Health & Welfare. 2014 (Korean). 

  19. Kim DJ. A Framework to improve the accessibility to emergency medical service in rural area. Health Welf Policy Forum 2013;4:79-8 (Korean)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