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웰다잉의 구성요소와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the components of dying with dignity and quality of life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5, 2019년, pp.137 - 144  

임효남 (건양대학교 간호대학) ,  이서희 (건양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보건학과) ,  김광환 (건양대학교 병원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한국인이 생각하는 웰다잉 인식의 구성요소와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층화 비례배분 방식으로 추출하였고, 전국 17개 시와 도의 만 19세 이상 만 75세 미만의 성인 1,000명으로 선정하였다. 설문구성은 일반적 특성 2문항, 삶의 질 척도 26문항, 웰다잉 인식 척도 57문항이었다. 통계 검정법으로는 빈도 분석, 독립표본 t-검정,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삶의 질은 사회적인 삶의 질이 가장 높았으며, 가족 죽음의 경험 유무에 따라 가족의 죽음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가족의 죽음 경험이 없는 대상자에 비해, 신체적, 심리적, 환경적, 사회적 영역의 삶의 질이 모두 통계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웰다잉 인식 중에서는 죽음 준비의 점수가 가장 높았으며, 그 중에서도 심리 경제적 부담 경감의 점수가 가장 높았다.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은 웰다잉 인식의 모든 영역인 신체적 증상과 통제, 죽음준비, 죽음환경, 가족 및 사회관계, 병원치료, 심리 존엄 영성 부분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중년층을 대상으로 한 다른 연구에서는 노후를 위해 죽음을 받아들이는 자세가 우선적으로 중요하다고 인식한 경우와, 죽음준비교육에 참여할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경우가 삶의 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상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죽음준비 및 웰다잉 교육에 웰다잉 인식의 각 영역을 프로그램으로 계획하여 교육한다면 삶의 질을 높이는 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dying with dignity and the quality of life based on the opinions of the Korean populations. The participants were selected using a stratified proportional allocation method and 1,000 adults aged between 19 and 74 ...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웰다잉 인식의 구성요소를 연구하여 어떠한 변인들의 삶의 질과 상관관계가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삶의 질은 가족의 죽음경험 유무에 따라 신체적, 심리적, 환경적, 사회적 영역에서 차이가 있었으며, 웰다잉 인식의 모든 영역과 삶의 질은 양의 상관 관계가 있었다.
  •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인이 생각하는 웰다잉 인식의 구성요소와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웰다잉이란 무엇인가? 노인의 비율이 증가 하면서 인간으로서 존엄과 가치에 합당한 서비스를 받으며 생의 마지막 순간들을 의미 있게 맞을 수 있는 품위 있는 죽음, 즉 웰다잉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대두되고 있다[1]. 웰다잉이란 편안한 죽음, 좋은 죽음, 행복한 죽음을 의미하는 것으로[2], 인간으로서 존엄과 가치에 합당한 대우를 받으며 생의 마지막 순간들을 의미 있게 맞을수 있는 품위 있는 죽음을 말한다[3]. 또한 웰다잉은 좋은 죽음을 맞이하기 위해 아름답고 편안한 죽음을 준비하는 것까지 포함하는 개념이다[4].
노인과 일반인이 좋은 죽음의 의미를 이해하는 것은 왜 필요한가? 노인뿐만 아니라 일반인이 바라보는 좋은 죽음의 의미와 구성요소를 이해하는 것은 개인적 차원에서 개인이 바람직한 죽음을 준비하도록 하고, 사회 복지 차원에서는 복지 정책입안 및 실천 서비스 제공에 있어 국민들의 삶을 성공적 노후로 영위하도록 하는데 의미가 있다[8]. 죽음 자체는 언제 다가올지 모르는 사건이기 때문에 평소에 죽음을 준비하고 삶을 최선을 다해 의미 있게 살아갈때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것이기 때문이다[10-11].
배우자 사별 노인과 배우자 동거 노인의 삶의 질을 비교한 연구와 비슷한 결과를 나타낸 결과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삶은 질은 사회적 삶의 질이 가장 높았으며, 가족 죽음의 경험 유무에 따라 가족의 죽음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가족의 죽음 경험이 없는 대상자에 비해, 신체적, 심리적, 환경적, 사회적 영역의 삶의 질이 모두 통계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배우자 사별 노인이 배우자 동거노인에 비해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측면에서 삶의 질이 모두 낮게 나타난 연구와 비슷한 결과이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S. H. Mah, H. M. Bae, B. S. Kim,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Context-Aware-based Emergency Detection System with Energy Reduction for Elderly Housing",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17, No.1, pp.159-165, Feb. 2017. DOI: https://doi.org/10.7236/JIIBC.2017.17.1.159 

  2. J. M. Kim, S. H. Chang, S. S. Kim, "Predictive Analysis of Traffic Accidents caused by Negligence of Safe Driving in Elderly using Seasonal ARIMA",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Vol.40, No.1, pp.65-78, Mar. 2017. DOI: https://doi.org/10.11627/jkise.2017.40.1.065 

  3. S. H. Chang, J. H. Baek, J. E. Lee, N. Mirazamjon, S. W. Kang, W. B. Lee, "A proposal of the Optimal Angle of Standing Assistant Chair for the Elderly by Comparing of Pressure Distribution on Hip",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 Industrial and Systems Engineering, Vol.41, No.3, pp.108-114, Sept. 2018. DOI: https://doi.org/10.11627/jkise.2017.40.1.065 

  4. S. H. Lee, D. E. Shin, J. A. Sim, Y. H. Yun, " Public Perception and Acceptance of the National Strategy for Well-Dying",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ol.16, No.2, pp.90-97, 2013. DOI: http://dx.doi.org/10.14475/kjhpc.2013.16.2.090 

  5. Y. H. Yun, "The study on the view of death in the Buddhism for well dying's culture formation ", Journal of Korean philosophical society, Vol.130, pp.161-186, 2014. 

  6. Y. R. Song, A. R. M. Park, K. H. Kim, "Study on Death Education and Well-Dying Recognition for University Students",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13, No.3, pp.58-64, Sep. 2015. 

  7. S. Y. Kim, S. S. Hur, B. H. Kim, " Study of Subjective View on the Meaning of Well-dying Held by Medical Practitioners and Nursing Students: Based on Q-Methodology",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ol.17, No.1, pp.10-17, 2014. DOI: http://dx.doi.org/10.14475/kjhpc.2014.17.1.10 

  8. McNamara B, "Good enough death: autonomy and choice in Australian palliative care.", Soc Sci Med, Vol.58, No.5, pp.929-938, March. 2004. DOI: https://doi.org/10.1016/j.socscimed.2003.10.042 

  9. H. S. Jung, J. Y. Lee, S. Y. Kim, E. J. Yang, "Concept Mapping of the Complicated Grief Experience of Korean Adult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Vol.33, No.1, pp.81-107, 2014. 

  10. W. K. Chung, The Relationship of Among of Well-dying Program, Quality of Life, Death Anxiety, and Self-integrity of the Elderly, Ph.D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Venture University, Seoul, Korea. 

  11. M. H. Kim, K. J. Kwon, Y. O. Yim, "Study on 'Good Death' that Korean Aged People Recognize - Blessed Death - ",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Vol.56, No.2, pp.195-213, 2014. 

  12. S. M. Lee, S. Y. Kim, "A Study of Korean"s Perception on the Meaning of Life & Death", J Korean Bioethics Assoc, Vol.13, No.2, pp.1-18, Dec. 2012. 

  13. U. J. Jeong, "Analysis of Welldying Program Effectiveness", Asia-Pacific Journal of Business Venturing and Entrepreneurship, Vol.7, No.2, pp.189-194, 2012. 

  14. K. A. Kang, "Development and Effects of Death Preparation Education for Middle-aged Adults",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ol.14, No.4, pp.204-211, 2011. 

  15. M. K. Byun, H. J. Hyun, S. J. Park, E. Y. Choi, "Efficacy of Well-dying Program for Meaning of life, Self-efficiency, and Successive aging in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18, No.10, pp.413-422, 2017. DOI: https://doi.org/10.5762/KAIS.2017.18.10.413 

  16. J. J. Kim, "A Comparative Study on Influencing Factors of Quality of Life for Elders Depending on Bereavement of the Spouse",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Vol.49, pp.137-159, 2014. DOI: http://dx.doi.org/10.15300/jcw.2014.49.2.137 

  17. S. Y. Back, "The Effect of Song Focus Music Therapy Program on the Happiness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Vol.8, No.4, pp.869-885, Aug. 2017. DOI: http://dx.doi.org/10.22143/HSS21.8.4.44 

  18. M. S. Lee, Y. J. Kim, "Good death recognized by the elderly", The Korea Contents Society, Vol.13, No.6, pp.283-299, 2013. DOI: http://dx.doi.org/10.5392/JKCA.2013.13.06.283 

  19. C. G. Kim, "Factors Influencing Perception of Good Death among the Community-dwelling Elderly", The Korean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Vol.17. No.3, pp.151-160, 2014. DOI: http://dx.doi.org/10.14475/kjhpc.2014.17.3.151 

  20. Akechi T, Miyashita M, Morital T, Okuyama T, Sakamoto M, et al. "Good death in delderly adults with cancer in Japan based on perspectives of the general popuation." J Am Geriatr Soc, Vol.60, pp.271-276, 2012. DOI: https://doi.org/10.1111/j.1532-5415.2012.03895.x 

  21. M. H. Kim, "The Effects of Supportive Group Consultation Program Using Recollection on the Death Anxiety, Depression of Elderly People Who Were Residing at Welfare Facilities", Journal of Psychology and Behavior, Vol.5, No.1, pp.93-116, 2013 

  22. K. H. Ju, "Elder's Level of Social Participation and Quality of Life by Objective and Subjective indicators", Journal of community welfare, 2011 

  23. H. J. Hyun, A. K. Chang, S. J. Yu, Y. H. Park, "Comparison of Comprehensive Health Status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between Institutionalized Older Adults and Community Dwelling Older Adults",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12 

  24. H. J. Oh, H. S. Jeon, "Effectiveness of Death Education program", The Korean Society of Welfare for the Aged, Korea , pp.366-384, Nov. 2017. 

  25. J. B. Min"The effect of spiritual well-being on the elderly's quality of life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ath anxiety and depression", Theology and Praxis, Vol.61, pp.411-441, 2018. DOI: http://dx.doi.org/10.14387/jkspth.2018.61.411 

  26. E. A. Park, M. S. Yoon, "Moderating Role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oss of Relat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Adults", Mental Health & Social Work, Vol.43, No.1, pp.168-197, March. 2015. 

  27. Y. H. Cho, S. R. Shu, J. M. Park, "The Influence of Attitude to Death and Quality of Sleep on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Vol.8, No.5, pp.547-558, May. 2018. DOI: http://dx.doi.org/10.21742/AJMAHS.2018.05.28. 

  28. Hattori K, Ishida DN. "Ethonographic study of a good death among elderly Japanese Americans." Nurs Health Sci, Vol.14, No.4, pp.488-494, 2012. DOI: https://doi.org/10.1111/j.1442-2018.2012.00725.x 

  29. M. K. Byun , H. J. Hyun, S. J. Park, E. Y. Choi, "Efficacy of Well-dying Program for Meaning of life, Self-efficiency, and Successive aging in the Elderly", Journal of academia-industrial technology, 2017. 

  30. M. Y. Kim, "A Narrative Study on Learning Experience of Attendees in Well-Dying Clas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31, No.1, pp.1-27, 2016. 

  31. M. A. Lee, S. K. Lee, H. R. Kim, "The Effects of Gerotranscendental Life-styles on Quality of Life: The Possibility of Combining Gerotranscendental Education Programs for Dying Patients", The Korean Society for Medical Ethics, Vol.17, No.2, pp.117-132,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