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 평가와 개선방안
A Study on the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an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 in the Local Community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8 no.7, 2017년, pp.131 - 139  

백종섭 (대전대학교 행정학과) ,  홍성애 (공주대학교 간호보건대학 보건행정학과)

초록

본 연구는 지역주민에게 건강증진서비스를 제공하는 공무원을 대상으로 보건소 중심 통합건강증진사업의 효과성을 알아보기 위해 시행되었다. 조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5년 9월 10일부터 10월 5일까지 시행되었으며, 총 254개 보건소에 각 2부씩 508부를 배부하여 349부를 회수하였고, 이 중 339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 대상자들은 통합건강증진사업의 효율성과 자율성, 책임성, 보건복지부지원. 유관기관지원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평균 수준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건소 내에 통합건강증진 전담부서가 있는 경우와 필수사업의 비중이 높을수록 모든 검정변수에서 평가가 긍정적이었다. 하지만 통합사업 전에 비해 업무량이 증가하였으며, 필수사업 시행이 지역별 건강문제나 지역 여건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것들이 문제점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합건강증진사업의 성공적 운영 전략에 반영할 필요성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iveness of public health center's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 for the public officials who provide health promotion services to local resid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0 to October 5, 2015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체적으로는 전국 보건소의 통합건강증진사업에 대한 효율성과 자율성, 책임성 수준을 파악하고, 더불어 통합건강증진사업의 정착을 위한 정부 및 유관기관의 지원 활동에 대한 인식과 문제점를 파악할 것이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통합건강증진사업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즉, 보건소 건강증진사업을 건강영역별, 생애과정별로 재구성하여 포괄적인 연계 및 협력을 통한 대상자 중심의 통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여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또한 지자체가 재원의 용도 및 세부내역을 자율적으로 설계ㆍ집행할 수 있도록 개선하고, 지역별 건강문제와 지역 여건 등을 반영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사업영역 및 사업량을 선택하여 운영하도록 자율성을 확대하도록 하였다. 더불어 지자체의 관리·감독 역할을 강화하고, 과정 및 결과 평가를 실시할 수 있도록 성과중심의 평가체계를 개선하여 책임성을 강화시키겠다는 의미이다.
  • 본 연구는 2013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지역사회 중심의 통합건강증진사업의 기본 방향인 효율성 제고, 자율성 확대 및 책임성 강화 수준은 어느 정도인지 파악하고, 정부 및 유관기관의 지원 활동과 문제점 등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전국 규모의 표본을 가지고 분석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각 지방자치단체의 보건소 통합건강증진사업을 담당하는 공무원들이 인지하는 사업의 효율성, 자율성 및 책임성 수준과 통합건강증진사업을 위한 정부 및 유관기관의 지원 활동에 대한 평가, 그리고 실무 현장에서 인식하는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한 실증적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보건소 중심 통합건강증진사업의 효율성 확대와 자율성 제고 및 책임성 강화 수준을 알아보고, 통합건강증진사업을 위한 정부 및 유관기관의 지원 활동에 대한 인식 수준과 사업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통합건강증진사업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 결과, 전반적으로 대상자들은 통합건강증진사업의 효율성과 자율성, 책임성, 보건복지부지원.
  • 지역사회 통합건강증진사업이란, 지방자치단체가 지역사회 주민에게 제공하는 건강생활실천과 만성질환 예방, 취약계층 건강관리 사업을 지역사회 특성과 주민의 요구가 반영된 프로그램 및 서비스 등을 기획하고 추진하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5]. 이 사업은 지역사회 주민의 건강수준 향상을 위해 지자체가 주도적으로 사업을 추진하여 지역주민의 건강증진사업 체감도를 향상시키고,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함께 노력하여 제3차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목표를 달성하며, 지역별 다양한 특성과 수요에 부합하는 차별적인 건강증진사업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통합건강증진사업은 17개 세부사업을 1개로 묶어 예산을 통합하고 이것을 국민건강증진종합계획 2020의 분류방식에 따라 13개 사업 분야로 영역을 구분하였다[5].
  • 본 사업의 실적에 대한 평가는 주기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만, 기본 방향에 대한 효과를 검증한 실태조사는전무한 형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시행되고 있는 보건소 통합건강증진사업이 기본 방향에 얼마나 부합되는지를 실증적 분석을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전국 보건소의 통합건강증진사업에 대한 효율성과 자율성, 책임성 수준을 파악하고, 더불어 통합건강증진사업의 정착을 위한 정부 및 유관기관의 지원 활동에 대한 인식과 문제점를 파악할 것이다.
  • 본 사업은 효율성 제고와 자율성 확대, 책임성 강화를 기본 방향으로 한다[5]. 즉, 보건소 건강증진사업을 건강영역별, 생애과정별로 재구성하여 포괄적인 연계 및 협력을 통한 대상자 중심의 통합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여 효율성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또한 지자체가 재원의 용도 및 세부내역을 자율적으로 설계ㆍ집행할 수 있도록 개선하고, 지역별 건강문제와 지역 여건 등을 반영하여 우선순위에 따라 사업영역 및 사업량을 선택하여 운영하도록 자율성을 확대하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민건강증진법 제정 년도는? 이에 따라, 보건의료체계를 질병치료중심에서 예방중심으로 전환하는 검토가 시작되었으며, 1990년대에 이르러 본격적인 개혁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1]. 우리나라도 1995년 국민건강증진법을 제정하여 국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기틀을 마련하였다. 1996년에는 기존의 보건소법을 지역보건법으로 전환하여 보건소를 지역주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공공기관으로 육성하였으며, 지역사회 주민들 스스로 건강생활 실천을 통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건강증진프로그램과 사업을 제공하도록 하는 제도적인 기반을 마련하였다[2].
우리나라 보건소의 건강증진사업 연혁은? 우리나라 보건소의 건강증진사업은 1998년 시범 운영을 시작으로 2005년에 전국으로 확대되어 시행되었다. 2005년 처음에는 사업 명칭이 건강생활실천사업으로 시작해서 2008년에는 지역특화 건강행태개선사업으로, 2012년에는 건강생활실천 통합서비스사업, 2013년부터는 통합건강증진사업으로 변경되어 시행되고 있다[3].
1996년에 마련한 제도적인 기반은? 우리나라도 1995년 국민건강증진법을 제정하여 국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기틀을 마련하였다. 1996년에는 기존의 보건소법을 지역보건법으로 전환하여 보건소를 지역주민의 건강증진을 위한 공공기관으로 육성하였으며, 지역사회 주민들 스스로 건강생활 실천을 통해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건강증진프로그램과 사업을 제공하도록 하는 제도적인 기반을 마련하였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J. G. Lee, Current Status of Health Promotion in Korea and Future Policy Tasks, '2005 conference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s36-s47. 2005 

  2. Y. S. Lee, The Effect of Public Health Center Program participation on Metabolic Syndrome and Risk of Disease in Middle-aged and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7, No. 6, pp. 317-325, 2016. 

  3. J. Y Lee, Future Directions of the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Health Center,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ol.30, No.4, pp.1-7. 2013. 

  4. J. B. Park, The Variables associated with Planning Capability of the Integrated Health Promotion Program of Public Health centers, Gachon University, Ph.D. thesis, 2014. 

  5.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2016 Guidelines for Promoting Integrated Health Care in Communities, 2016 

  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Korea Health Promotion Foundation, '2015 Guidelines for Promoting Integrated Health Care in Communities, 2015 

  7. Y. A. Oh, Analysis of Perceived Job Training and Educational Needs for the Public Health Promotion Program Personnel,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School & Community Health Education, Vol.16, No.1, pp.93-105, 2015. 

  8. H. N. Kim, Quality improvement activity and aware -ness according for dental hygienist to the existence of dental Q.I. task force team in Korean dental hospitals, Seoul University, master thesis. 2011 

  9. H. N. Kim, Ho Kim and H. Y. Kim, Conditions and Performance of Quality Improvement Activity in Korean Dental Hospitals, J Dent Hyg Sci Vol. 13, No. 4, pp.359-368, 2013. 

  10. H. G. Choi, I. S. Lee, J. H. yang, I. J, Yu, et al.,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Nursing Unit i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Korean Nurse, Vol.41, No. 4, pp. 51-64, 2002. 

  11. J. Park, J. R. Kim, K. S. Kwon et al, 'Development Strategies for Health Care Implementation in Health Care Centers' Result report,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5. 

  12. Y. J. Park, Gum-Jung Kim, "The Effects of Meaning of Life and Depression on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the Elderly - Focusing on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in Community Health Program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5, No. 5, pp. 411-417, 2017. 

  13. Sun Young Lee, Yunyoung Kim, "Factors Influencing Cognitive Impairment of the Seniors using Senior Center",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5, No. 3, pp. 393-403, 2017. 

  14. Y. H. Lim, A Study on the Job Satisfaction of Health Promotion Program Workers, Health and Welfare, Vol.7, pp. 103-121, 2004. 

  15. M. K. Ahn, Recognition on Job implementation & Job Satisfaction of Health Promotion Program Personnels in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Kosin University, master thesis, 2006. 

  16. E. H. Park, Y. E. Lee, Task satisfacti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sion of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employe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44, No. 12, pp. 1881-1894. 2015. 

  17. Nyhan RC, Increasing Affective Organizational Commitment in Public Organizations, The Key role of interpersonal Trust, Review of Public Personnel Administration, Vol. 19, No. 3, pp. 58-70. 1999. 

  18. H. R. Jung, A. R. Son, Y. J. Yun, S. H. Lee, S. B. Lee, J. A. In, K. h. Kang, "Study on self-development needs, job satisfaction, self-efficacy by general characteristics of dental hygienist",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6, pp. 231-239, 2015. 

  19. E. S. Shin, "Job Satisfaction and Relating Factors of Medical Record Technicians Working in General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 6, No. 5, pp. 337-346, 20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