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고압 합성법으로 제조한 리튬이온전지 음극활물질 Li4Ti5O12의 전기화학적 특성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Li4Ti5O12 Particles Manufactured Using High Pressure Synthesis Process for Lithium Ion Battery 원문보기

한국재료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aterials research, v.28 no.6, 2018년, pp.337 - 342  

지성화 ((주)일신오토클레이브) ,  조완택 ((주)일신오토클레이브) ,  김현효 ((주)일신오토클레이브) ,  김효진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신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sing a high pressure homonizer, we report on the electrochemical performance of $Li_4Ti_5O_{12}(LTO)$ particles manufactured as anode active material for lithium ion battery. High-pressure synthesis processing is performed under conditions in which the mole fraction of Li/Ti is 0.9,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본 논문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음극활물질인 LTO 소재를 초고압 합성법을 이용하여 균일한 나노 입자 형태로 제조하였다. XRD와 SEM 분석을 통해 제조된 LTO 나노 입자의 결정상 및 구조적 특성을 확인한 다음에 코인 형태의 반쪽/완전 전지를 제작하여 전기화학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였다. 여기서 우리는 초고압 합성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LTO 나노 입자가 꽤 좋은 전기화학적 성능을 나타내는 리튬이온전지의 음극활물질용 소재로서 유망하다는 점을 제시할 것이다.
  • 다른 한편으로, 전반적으로 전기화학적 특성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된 P2000T07 LTO 시료를 음극활물질로 선택한 다음에 양극활물질을 LiCoO2(LCO), LCO+LiNi0.5-Co0.5O2(LNCO), LCO+LiMn2O4(LMO)로 바꾸어가면서 코인형 완전 전지를 제작하여 얻어진 충전 및 방전 곡선들을 Fig. 8에 제시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Table 4에 정리하여 나타내었다. LCO+LNCO를 양극활물질로 사용한 경우를 제외하고 초기 충방전 용량에는 큰 손실이 없다는 점을 확인하였는데, 특히 LCO+LNCO 시편의 경우 충전 초기에 전압 저하가 발생하였다.
  • 음극활물질로서의 전기화학적 특성 평가를 위해 코인형 반쪽 전지(half-cell)를 제작하여 충방전 특성, 율 특성(rate capability) 및 임피던스 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덧붙여, 몇 가지 상이한 양극활물질을 적용하여 제작된 코인형 완전 전지(full-cell)를 사용하여 충방전 특성을 평가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음극활물질인 LTO 소재를 초고압 합성법을 이용하여 균일한 나노 입자 형태로 제조하였다. XRD와 SEM 분석을 통해 제조된 LTO 나노 입자의 결정상 및 구조적 특성을 확인한 다음에 코인 형태의 반쪽/완전 전지를 제작하여 전기화학적 특성을 체계적으로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 LTO 나노 입자의 합성은 소형 초고압 균질기를 사용하여 이루어졌는데, 여기서 고압 균질기의 모식도를 Fig. 1에 나타내었으며 초고압 합성은 내경 75µm의 Z형 미세 구멍을 통과시킴으로써 달성되었다.
  • 2에 제시하였다. 여기서 비교를 위해 상용음극활물질 LTO에 대한 XRD 패턴도 추가하여 제시하였다. Fig.
  • 제조된 음극활물질 나노입자의 결정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X-선 회절기(XRD, X-pert PRO MPD)를 사용하여 얻어진 XRD 패턴을 분석하였고, 입자 크기 및 미세구조는 주사전자현미경(SEM, JSM-7000F)을 이용하여 얻어진 영상을 분석하였다. 음극활물질로서의 전기화학적 특성 평가를 위해 코인형 반쪽 전지(half-cell)를 제작하여 충방전 특성, 율 특성(rate capability) 및 임피던스 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덧붙여, 몇 가지 상이한 양극활물질을 적용하여 제작된 코인형 완전 전지(full-cell)를 사용하여 충방전 특성을 평가하였다.
  • 5몰의 LiOH·H2O와 5몰의 TiO2를 10 %의 비율로 혼합한 수용액을 1분 동안 교반함으로써 현탁액을 얻었다. 이렇게 얻어진 현탁액은 초고압 균질기를 이용하여 2,000 bar의 고압에서 균질화 과정을 거쳤는데, 미세 구멍의 통과 횟수를 5, 7, 10회로 변경하여 합성하였다. 합성된 시료를 100 ℃에서 12시간 동안 오븐에서 건조시킨 다음에 일반 믹서를 사용하여 7분 동안 분쇄한 후 800 ℃에서 12시간 동안 소성하여 음극활물질을 얻었다.
  • 그런데 전하이동 저항 분석 결과는 통과 횟수 10회의 LTO 시편이 가장 좋은 것으로 밝혀졌다. 전반적으로 음극활물질로서의 전기화학적 특성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명된 통과 횟수 7회의 LTO 나노입자를 음극활물질로 선택하여 코인형 완전 전지를 제작한 다음에 리튬이온전지로의 응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결과적으로 고압 균질화 과정을 거쳐 합성된 LTO 나노입자가 나타내는 우수한 전기화학적 특성은 리튬이온전지 음극활물질로서의 적절성을 예증한다.
  • 제조된 음극활물질 나노입자의 결정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X-선 회절기(XRD, X-pert PRO MPD)를 사용하여 얻어진 XRD 패턴을 분석하였고, 입자 크기 및 미세구조는 주사전자현미경(SEM, JSM-7000F)을 이용하여 얻어진 영상을 분석하였다. 음극활물질로서의 전기화학적 특성 평가를 위해 코인형 반쪽 전지(half-cell)를 제작하여 충방전 특성, 율 특성(rate capability) 및 임피던스 특성 등을 분석하였다.
  • 초고압 균질기의 미세 구멍 통과 횟수를 5, 7, 10회로 변화시키면서 2,000 bar의 압력 하에서 초고압 균질화 과정을 거쳐 합성된 시료들(각각 P2000T05, P2000T07, P2000T10으로 표기)에 대해 상온에서 측정한 XRD 패턴들을 Fig. 2에 제시하였다. 여기서 비교를 위해 상용음극활물질 LTO에 대한 XRD 패턴도 추가하여 제시하였다.
  • 초고압 균질기의 미세 구멍 통과 횟수를 5, 7, 10회로 변화시키면서 2,000 bar의 압력 하에서 초고압 균질화과정을 거쳐 음극활물질 LTO 나노입자를 합성한 후에 입자 크기 및 구조와 전기화학적 특성을 X-선 회절법, SEM 분석 그리고 전지 제작을 통해서 체계적으로 조사하였다. X-선 회절 측정 및 SEM 분석 결과로부터 LTO음극활물질의 고압 균질화 합성 과정 중 통과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비활성 물질인 Li2TiO3 상의 회절선 세기가 감소하고 10회 통과 시에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LTO나노입자의 크기가 작아진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대상 데이터

  • 6은 초고압 통과 횟수를 5, 7, 10회로 변화시키면서 합성된 LTO 나노입자들에 대해 전기화학 임피던스 분광법(EIS) 실험을 통해 얻어진 나이퀴스트 선도(Nyquist plot)을 나타낸다. 관측된 데이터는, Fig.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세 가지의 저항 성분, 즉 전해질과 전극의 오믹 저항 Rs, 고체 전해질 계면(SEI) 박막의 저항 RSEI 그리고 전하 이동 저항 Rct로 구성되는 등가 회로를 사용하여 분석되었는데(Fig. 6의 맞춤 결과 참조), 결과적으로 얻어진 저항값들을 Table 3에 나열하였다. 전반적인 EIS 특성은 통과 횟수 5회의 시료로 제작된 전지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평가되지만, 전하 이동 저항Rct의 경우에는 용량 수명 및 율 특성이 가장 열등한 통과 횟수 10회의 시료로 제작된 전지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고 통과 횟수 5회의 시료로 제작된 전지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는 것으로 추산되었다.
  • 음극활물질로서 합성된 LTO 나노입자의 전지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Table 1에 제시된 조건으로 제작된 코인형 반쪽 전지를 활용하였다. 2,000 bar의 압력 하에서 초고압 통과 횟수를 5, 7, 10회로 변화시키면서 합성된 LTO 나노입자들에 대해 측정된 1C 충방전 사이클 30회의 충전 및 방전 곡선들을 Fig.
  • 출발 원료로서는 대정화금(Daejung Chemical)에서 구입한 수산화리튬 수용액(LiOH·H2O, 98 %)과 시그마 알드리치(Sigma-Aldrich)에서 구입한 이산화티타늄(TiO2, 98 %)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LTO의 낮은 전도성이나 방전 속도 특성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쓰는가? 5) 사실상 LTO는 여러 장점들을 갖추고 있지만, 낮은 전도성이나 방전 속도 특성의 문제점도 있다. 이런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원자가가 다른 금속 이온 또는 전도성 소재를 첨가하거나 환원 분위기에서 열처리하는 등의 공정 개선이 시도되고 있다.6-12) 이런 음극활물질로서 LTO의 합성에서 중요한 것은 균일한 나노 크기로 제조하는 것인데, 이것은 전기 전도성 및 전하 이동성을 향상시킨다.
탄소계 음극활물질은 초기 활성화 과정에서 음극활물질의 표면에 고체 전해질 계면(solid electrolyte interface: SEI) 층이 형성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는? 흑연계의 이론 용량(Li1C6 기준)은 372 mAh/g으로 현재 사용 중인 흑연 소재들은 95 %에 가까운 용량 이용률을 나타내기 때문에 더 이상의 용량 증가를 기대하기 어렵다. 그리고 탄소계 음극활물질은 초기 충방전 과정(활성화 과정)에서 음극활물질의 표면에 고체 전해질 계면(solid electrolyte interface: SEI) 층(layer)이 형성되는데, 그것으로 인해 초기 비가역 반응이 유발되어 리튬 이온의 흡착 속도가 느려지는 단점과 더불어 계속적인 충방전 과정에서 SEI 층의 붕괴 및 재생 과정에서 전해액이 고갈되어 전지 용량이 감소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2-4) 이런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신규 고용량 음극재료로 금속 및 금속 합금 Si(4,212 mAh/g), Sn(990 mAh/g), Ge(1,624 mAh/g)계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리튬이온 출입에 의한 결정 격자의 팽창 및 수축에서 유발되는 큰 부피 변화로 인해 전극이 파괴되는 문제점이 나타난다.
리튬이온전지의 음극활물질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최근에는 전기자동차(EV)와 하비브리드 전기자동차(HEV) 같은 차량 및 전동 장치 등에 필요한 환경 친화적 에너지원으로서 중대형 리튬이온전지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데, 중대형 전지는 소형 전지와 달리 높은 에너지 밀도와 용량이 요구된다.1) 리튬이온전지의 음극활물질은 인조흑연계, 천연흑연계, 저결정성 탄소계 및 금속계로 구분된다. 지금까지는 탄소계 물질인 흑연계가 주로 사용되었는데, 구조적으로 리튬이온이 탄소층 사이로 가역적인 삽입과 탈리가 일어나는 반응 메커니즘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우수한 순환주기 특성을 나타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T. Yuan, R. Cai, K. Wang, R. Ran, S. Liu, and Z. Shao, Ceram. Int., 35, 1757 (2009). 

  2. S. C. Hong, H. P. Hong, B. W. Cho, and B. K. Na, Korean J. Chem. Eng., 27, 91 (2010). 

  3. S. H. Kim, H. Park, S. H. Jee, and H. S. Ahn, Korean J. Chem. Eng., 26, 485 (2009). 

  4. R. J. Yi and G. D. Jenq, J. Power Sources, 198, 294 (2012). 

  5. S. Huang, Z. Wen, X. Zhu, and Z. Lin, J. Power Sources, 165, 408 (2007). 

  6. X. L. Yao, S. Xie, H. Q. Nian, and C. H. Chen, J. Alloys Compd., 465, 375 (2008). 

  7. L. Xing, Q. Meizhen, H. Yongjian, and Y. Zuolong, Electrochim. Acta, 55, 2978 (2010). 

  8. N. Kiyoshi, N. Ryosuke, M. Tomoko, and M. Hiroshi, J. Power Sources, 117, 131 (2003). 

  9. N. Zhu, W. Liu, M. Q. Xue, Z. A. Xie, D. Zhao, M. N. Zhang, J. T. Chen, and T. B. Cao, Electrochim. Acta, 55, 5813 (2010). 

  10. P. Guo, H. H. Song, and X. H. Chen, Electrochem. Commun., 11, 1320 (2009). 

  11. S. H. Huang, Z. Y. Wen, X. J. Zhu, and Z. X. Lin, J. Electrochem. Soc., 152, A186 (2005). 

  12. S. Huang, Z. Wen, J. Zhang, Z. Gu, and X. Xu, Solid State Ionics, 177, 851 (2006). 

  13. H. Yu, X. Zhang, A. F. Jalbout, X. Yan, X. Pan, and H. Xie, Electrochim. Acta, 53, 4200 (2008). 

  14. G. Wang, J. Xu, M. Wen, R. Cai, R. Ran, and Z. Shao, Solid State Ionics, 179, 946 (2008). 

  15. K. Burapapadh, H. Takeuchi, and P. Sriamornsak, Adv. Mater. Res., 506, 286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