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장류 미생물을 이용한 식용곤충 발효 조미페이스트 제조 및 품질특성
Characteristics of seasoning pastes fermented by Aspergillus oryzae and Bacillus subtilis using edible insects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0 no.3, 2018년, pp.297 - 307  

조혜령 (세종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  조주형 (세종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  정장호 (세종대학교 조리외식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식품 원료로 사용 허용이 된 갈색거저리 유충(Tenebrio molitor larvae, Mealworm), 쌍별귀뚜라미(Gryllus bimaculatus), 번데기(Bombyx mori pupa, Silkworm pupa) 등 단백질이 풍부한 식용곤충 원료를 이용하여 된장 형태의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또한 된장 제조 시 발효에 관여하는 대표적인 미생물인 A. oryzae와 B. subtilis 균주를 사용하여 메주분말과 입국을 제조한 후 선행연구에 따른 저염 된장의 발효방식을 이용하여 곤충의 페이스트형 발효조미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식용곤충을 이용하여 제조한 페이스트형 발효조미료의 수분은 47.58-49.58%로 나타났고 염도는 11.34-11.99%의 값을 보였다. pH는 발효가 진행되면서 천천히 감소하였으며 TMP가 가장 낮은 값으로 나타났다. 적정산도는 모든 시료에서 발효기간이 지남에 따라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색도의 L값은 번데기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a값은 귀뚜라미와 번데기 비슷하게 나타났다. b값은 번데기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환원당의 경우 발효 기간에 따라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였으며, TMP의 환원당 함량을 가장 낮게 나타났다. 아미노질소는 모든 시료에서 발효 시간에 지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났으며, TMP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다. 총 질소는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으며, 전반적으로 SBP에 비해 곤충소재 페이스트형 발효조미료가 높게 분석되었다. DPPH라디칼 제거능은 콩에 비해 곤충소재 페이스트형 발효조미료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SPP가 80.95%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발효가 진행되면서 전반적으로 2배 이상 증가하였다. 또한 맛의 기호성과 상관성이 높은 아미노산으로는 글루탐산, 아스파트산, 라이신, 페닐알라닌, 아르지닌, 세린 등으로 분석되었다. 전반적인 향, 맛, 전체적 기호도의 경우 곤충소재 페이스트형 발효조미료는 콩 된장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소비자들이 콩으로 만든 된장에 익숙해져 있는 상태로, 곤충소재에서 나타나는 특유의 맛이 전체적인 기호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되었다. 곤충에 대한 관능적 차이는 있었으나 콩된장과 번데기로 만든 페이스트형 발효조미료는 유의적으로 비슷한 선호도를 보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식용곤충 중에서 적절한 곤충을 선별하고 장류 미생물을 이용할 경우 차별화 된 페이스트형 발효조미료의 제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easoning paste fermented by Aspergillus oryzae and Bacillus subtilis using three edible insects: Tenebrio molitor larvae, Gryllus bimaculatus, and Bombyx mori pupa. No significant changes in pH and titratable acidity were observed between the insect pastes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식품 원료로 사용 허용이 된 갈색거저리 유충(Tenebrio molitor larvae, Mealworm), 쌍별 귀뚜라미(Gryllus bimaculatus), 번데기(Bombyx mori pupa, Silkworm pupa) 등 단백질이 풍부한 식용곤충 원료를 이용하여 된장형태의 조미료를 제조하였다. 또한 된장 제조 시 발효에 관여하는 대표적인 미생물인 A. oryzae와 B. subtilis 균주를 사용하여 메주분말과 입국을 제조한 후 선행연구에 따른 저염 된장의 발효 방식을 이용하여 곤충의 페이스트형 발효조미료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식용곤충을 이용하여 제조한 페이스트형 발효조미료의 수분은 47.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용곤충의 영양 기능은 어떠한가? 식용곤충(edible insect)이란, 식용을 목적으로 하는 곤충을 말하며 아시아,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및 호주 등 많은 지역에서 동물성 단백질, 필수아미노산, 미량영양소 섭취를 위해 흰개미, 메뚜기, 딱정벌레 등의 다양한 곤충을 식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Bukkens, 1997). 식용곤충은 종(species) 및 서식지에 따라 영양 분의 함량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영양소로는 건조 중량 대비 조단백질 함량이 50-60% 정도로 높게 함유되어 있어 양질의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중요성이 보고된 바 있다. 그 밖에 조지방은 8.
식용곤충이란 무엇인가? 식용곤충(edible insect)이란, 식용을 목적으로 하는 곤충을 말하며 아시아,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및 호주 등 많은 지역에서 동물성 단백질, 필수아미노산, 미량영양소 섭취를 위해 흰개미, 메뚜기, 딱정벌레 등의 다양한 곤충을 식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Bukkens, 1997). 식용곤충은 종(species) 및 서식지에 따라 영양 분의 함량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영양소로는 건조 중량 대비 조단백질 함량이 50-60% 정도로 높게 함유되어 있어 양질의 단백질 공급원으로서 중요성이 보고된 바 있다.
단백질 식품 공급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한 중요한 대안 식품이 필요한 이유는?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식용하는소, 돼지, 닭 등의 사육에 소비되는 곡물사료의 양은 각각의 고기 1 kg을 생산하는데 8, 4 및 1 kg의 곡물이 소비가 된다고 보고되고 있어 육류생산의 효율성에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Godfray 등, 2010). 반면, 곤충은 냉온 동물로 체온을 유지하지 않아 적은 양의 사료와 물로도 충분히 성장할 수 있고 식물의 잎과 유기농 산품 부산물을 사용하여 사육할 수 있기 때문에, 가축보다 적은 비용으로 고단백질의 식량을 생산할 수 있다(Van Broekhoven 등, 2015; Van Huis, 2013). 그러나 곤충을 식품으로 섭취한다는 인식은 해외에서나 국내에서도 사회적으로 부정적 인식이 강하여 식량자원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태도변화와 식품섭취의 혐오 감을 없앨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Kang 등, 2017; Looy 등,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Washington DC, USA: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p. 876. (1990) 

  2. Ahn Y-S, Kim Y-S, Shin D-H. Isolation, identification,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Bacillus sp. with high protease activity from traditional cheongguk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8: 82-87 (2006) 

  3. Blois MS. Antioxidant determinations by the use of a stable free radical. Nature 181: 1199-1200 (1958) 

  4. Bukkens SG. The nutritional value of edible insects. Ecol. Food Nutr. 36: 287-319 (1997) 

  5. Chae SK, Kang GS, Ma SJ, Bang KW, Oh MW, Oh SH. Standard Food Analysis. Jigu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381-382. (2002) 

  6. Chang M, Chang RC. Characteristics of bacterial-koji and Doenjang (soybean paste) made by using Bacillus subtilis DJI. Kor. J. Microbio. Biotechnol. 35: 325-333 (2007) 

  7. Choi JH, Kim MH, Shon MY, Park SK, Choi SD, Hong H. Production and quality properties of capsule type meju prepared with Rhizopus oligosporus. Korean J. Food Pres. 9: 315-320 (2002) 

  8. Deori M, Boruah DC, Devi D, Devi R. Antioxidant and antigenotoxic effects of pupae of the muga silkworm Antheraea assamensis. Food Biosci. 5: 108-114 (2014) 

  9. Godfray HCJ, Beddington JR, Crute IR, Haddad L, Lawrence D, Muir JF, Pretty J, Robinson S, Thomas SM, Toulmin C. Food security: the challenge of feeding 9 billion people. Science 327: 812-818 (2010) 

  10. Ham SN, Kim SW, Lee JH, Chang PS. Changes in enzymatic activities during Eoyukja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251-256 (2008) 

  11. Hong SC, Choi KS, Lee HJ, Kwon DJ. Effects of deodeok contents on the qualities of quick fermented Doenjang type produ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 757-763 (2010) 

  12. Hong JS, Park JR, Jeon JR, Cha MH, Kim J, Kim JH.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activity of Doenjang prepared with Bacillus subtilis SS103.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14: 363-369 (2004) 

  13. Jung SW, Kwon DJ, Koo MS, Kim YS.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cceptance for Doenjang prepared with rice. J. Korean Soc. Appl. Bi. 37: 266-271 (1994) 

  14. Jung BM, Roh SB. Physicochemical quality comparison of commercial Doenjang and traditional green tea Doenjang.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 132-139 (2004) 

  15. Kang WG, Chi MG, Kang HS, Park JS, Park SJ, Heo YH, Lim CY, Kim OJ. Study on the preference of edible insects by age group. J. Anim. Assisted Psychother. 6: 47-56 (2017) 

  16. KFDA. Food Codes. Seoul. p. 372 (2000) 

  17. KFDA. Food Codes. Seoul. p. 404 (2005) 

  18. Kim JG. Changes of components affecting organoleptic quality during the ripening of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amino nitrogen, amino acids, and color. J. Food Hyg. Saf. 19: 31-37 (2004) 

  19. Kim JW, Doo HS, Kwon TH, Kim YS, Shin DH.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meju fermented with Aspergillus species and Bacillus subtilis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18: 397-406 (2011b) 

  20. Kim HE, Han SY, Jung JB, Ko JM, Kim YS.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soybean paste) prepared with germinated regular soybean and black soybean. Korean J. Food Sci. Technol. 43: 361-368 (2011a) 

  21. Kim SH, Kim SJ, Kim BH, Kang SG, Jung ST. Fermentation of Doenjang prepared with sea salts.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365-1370 (2000) 

  22. Kim MJ, Rhee HS. Studies on the changes of taste compounds during soy paste fermentation. Korean J. Soc. Food Sci. 6: 1-8 (1990) 

  23. Kim EY, Rhyu MR. The chemical properties of Doenjang prepared by Monascus koji. Korean J. Food Sci. Technol. 32: 1114-1121 (2000) 

  24. Kim HJ, Yang EJ. Optimization of hot water extraction conditions of wando sea tangle (Laminaria japonica) for development of natural salt enhancer. J. Korean Soc. Food Sci. Nutr. 44: 767-774 (2015) 

  25. Ko YJ, Son YH, Kim EJ, Seol HG, Lee GR, Kim DH, Ryu CH. Quality properties of commercial Chungkukjang in Korea. J. Agr. Life Sci. 46: 1-11 (2012) 

  26. Ku KH, Choi EJ, Park WS.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enjang added with red pepper (Capsicum annuum L.) see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 1587-1594 (2009) 

  27. Lee SJ, Ahn BM. Thermal changes of aroma components in soybean pastes (Doen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271-276 (2008) 

  28. Lee S, Kim DH.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ow-salt Doenjang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4: 592-599 (2012) 

  29. Lee JJ, Lee YM, Chang HC, Lee MY. Antioxidative effects of Doenjang fermented using Bacillus subtilis DJI. Korean J. Food Preserv. 16: 554-561 (2009a) 

  30. Lee HT, Lee MJ, Lee SS.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ybean pastes containing sword bean. Food Eng Progress. 13: 176-182 (2009b) 

  31. Lee JY, Mok CK.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low salt soybean paste (Doenjang) during fermentation. Food Eng. Prog. 14: 153-158 (2010) 

  32. Lee KI, Moon RJ, Lee SJ, Park KY. The quality assessment of Doenjang added with Japanese apricot, garlic and ginger, and samjang. Korean J. Soc. Food Sci. 17: 472-477 (2001) 

  33. Looy H, Dunkel FV, Wood JR. How then shall we eat? Insecteating attitudes and sustainable foodways. Agr. Hum. Values 31: 131-141 (2014) 

  34. MAFRA. Standards for Processed Foods and Traditional Food Standards. Korea: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p. 14 (2013) 

  35. Mengerink Y, Kutln D, Tth F, Csmpai A, Molnr-Perl I. Advances in the evaluation of the stabili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amino acid and amine derivatives obtained with the o-phthaldialdehyde/3-mercaptopropionic acid and o-phthaldialdehyde/N-acetyl-L-cysteine reagents: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study. J. Chromatogr A. 949: 99-124 (2002) 

  36. NAPS. Korean tradition food standard. Gimcheon, Korea: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Quality Management Service. p. 74 (2010) 

  37. Oh EJ, Oh MH, Lee JM, Cho MS, Oh SS. Characterization of microorganisms in Eoyukjang. Korean J. Food Sci. Technol. 40: 656-660 (2008) 

  38. Park SY, Kim SK, Hong SP, Lim SD. Analysis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gional traditional and commercial soybean pastes (Doenjang). Korean J. Soc. Food Sci. 32: 686-695 (2016) 

  39. Park WP, Kim ND, Lee SC, Kim SY, Cho SH. Effects of powder and concentrates of Prnus mume on the quality of Doenjang dur- 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Preserv. 13: 574-580 (2006) 

  40. Park JS, Lee MY, Kim JS, Lee TS. Compositions of nitrogen com- pound and amino acid in soybean paste (Doenjang) prepared with different microbial sourc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609-615 (1994) 

  41. Park CK, Nam JH, Song HI, Park HY. Studies on the shelf-life of the grain shape improved meju. Korean J. Food Sci. Technol. 21: 876-883 (1989) 

  42. Park JM, Oh HI. Changes in microflora and enzyme activities of traditional Kochujang meju during ferment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7: 56-62 (1995) 

  43. Park SK, Seo KI, Choi SH, Moon JS, Lee YH. Quality assessment of commercial Doenjang prepared by traditional meth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 211-217 (2000) 

  44. Perberton R. The use of the Thai giant water bug. Lethocerus indcus. 81-82 (1988) 

  45. Rho JD, Choi SY, Lee SJ.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bean pastes (Doenjang) prepared using different types of microorganisms and mixing ratios. Korean J. Soc. Food Sci. 24: 243-250 (2008) 

  46. Seo JS, Man EM, Lee TS. Effect of meju shapes and strain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oybean pas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15: 1-9 (1986) 

  47. Sheen RT, Kahler HL. Effects of ions on Mohr method for chloride determination. Ind. Eng. Chem. Anal. Ed. 10: 628-629 (1938) 

  48. Van Broekhoven S, Oonincx DG, Van Huis A, Van Loon JJ. Growth performance and feed conversion efficiency of three edible mealworm species (Coleoptera: Tenebrionidae) on diets composed of organic by-products. J. Insect Physiol. 73: 1-10 (2015) 

  49. Van Huis A. Potential of insects as food and feed in assuring food security. Annu. Rev. Entomal. 58: 563-583 (2013) 

  50. Van Huis A, Van Itterbeeck J, Klunder H, Mertens E, Halloran A, Muir G, Vantomme P. Edible insects: Future prospects for food and feed security: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2013) 

  51. Wang KJ, Zhang YJ, Yang CR. Antioxidant phenolic compounds from rhizomes of Polygonum paleaceum. J. Ethnopharmacol. 96: 483-487 (2005) 

  52. Yang R, Zhao X, Kuang Z, Ye M, Luo G, Xiao G, Liao S, Li L, Xiong Z. Optimization of antioxidant peptide production in the hydrolysis of silkworm (Bombyx mori L.) pupa protein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J. Food Agric. Environ. 11: 952-956 (2013) 

  53. Yoo JY, Kim HG, Kim WJ. Physico-chemical and microbiological changes of traditional Meju during fermentation in Kangweondo a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0: 908-915 (1998) 

  54. Yoon DI. A study on the Asian fermented soybean sauce culture. Asian Comp. Folk 34: 155-215 (2007) 

  55. Yoon WJ, Lee SW, Moon HK, Moon JN, Kim BG, Kim BJ, Kim GY. Quality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soybean paste (Doenjang) manufactured with mixed beans. J. East Asian Soc. Dietary Life 21: 375-384 (20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