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서울시 역세권 청년주택 대상지 용도상향 기준 계량화 방안
The Quantification of the Up-zoning Criteria for Seoul's Youth-Housing Sites via the Space Syntax Method 원문보기

지적과 국토정보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v.48 no.1, 2018년, pp.215 - 228  

김성훈 (홍익대학교 과학기술연구소) ,  송민호 (홍익대학교 대학원 도시계획학과) ,  전석훈 (홍익대학교 대학원 도시계획학과) ,  최내영 (홍익대학교 건설도시공학부 도시공학전공) ,  박민호 (홍익대학교 건설도시공학부 도시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역세권 2030청년주택은 청년주거문제가 조명되면서 서울시가 추진해 온 관련정책 가운데 가장 효과적으로 청년층을 위한 임대주택을 공급해 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는 그 공급량이 서울시가 당초 계획했던 목표량에 크게 미치지 못하여 충분한 정책효과를 달성하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역세권 2030청년주택의 공급부진 문제 해소를 위한 하나의 유효한 방안으로서 용도지역 상향(업조닝) 가능여부 판정을 위한 용도지역 간 인접성 판단기준이 명료하게 제시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용도지역 간 인접성 판단의 준거가 되는 역세권 청년주택 운영지침 상의 인접성 판별 모식도와 함께, 인접성 판단이 이미 이루어진 청년주택사업결정 공고, 고시 사례들을 중심으로 공간구문론을 활용한 공간구조 분석을 수행해보았다. 공간구조도 검토결과, 축공간도는 구성이 불가능한 것으로 판명되어 볼록공간도를 활용하였고, 볼록공간도를 활용한 결과 모든 분석 사례에 있어 깊이(Depth)가 2 이하 일 때 두 공간은 서로 인접하게 되어 용도지역 상향을 위한 용도지역 간 인접성 조건을 충족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fter the housing shortage problem for the youths has invoked substantial social attention recently, Seoul's 2030 Youth Housing Program has been timely improvised and successfully providing the decent rental housing packages for the deprived youths of the City. Its housing supply rate, nevertheles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둘째, 다른 방안을 활용하여 연구결과의 신뢰도를 제고하는 것도 유용하리라 생각한다. 가상의 청년주택 대상지를 다수 생성하고 공간구문론을 활용하여 인접성을 분석한 뒤, 실제 서울시청의 정책담당자, 도시계획 전문가, 또는 일반시민을 대상으로 분석결과에 대한 인정여부를 검토하는 것이다. 이는 사례가 누적되기 전에도 실행해볼 수 있는 연구과제로서 시의성이 중요한 정책연구에서 나름 의미있는 접근 방법이라고 생각된다.
  • 더불어 도시가 사회적, 경제적 환경과 내적인 원리에 따라 변모하는 복잡다단한 현상을 체계적으로 이해하는데 주요한 해석의 틀을 제공한다. 다만 이번 연구에서 공간구문론의 적용은 윤용우 외(2005)에서 소개하였던 바를 적용하여 청년주택 인접성 평가 사례지의 실제 공간 깊이와 운영지침에 내재되어 있는 공간인식의 관계를 도출해 봄으로써 인접성 판단의 일관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극히 실용적인 동기에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공간구조 모형과 depth를 계량적으로 도출 할 수 있는 기능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 이점에서 기존의 청년주택 사례정보를 바탕으로 인접성 조건의 충족여부를 확신할 수 있는 범위를 계량적으로 제시하는 일은 청년주택 공급활성화를 위해 충분한 연구의 가치를 지닐 것으로 사료된다. 본고에서는 위 연구목표 달성을 위해 공간구문론을 활용하여 기존에 인접성이 인정된 청년주택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인접성 조건의 인정 범위를 계량적으로 도출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고에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의 연구를 수행하였다.
  • 역세권 2030청년주택은 2016년 3월, 청년세대의 주거안정을 위한 정책수단으로서 시사되고 그해 7월에 “조례”의 제정과 함께 본격적으로 시행된 일종의 청년주거정책이다. 이 정책의 정책목표는 통학 및 출근이 용이한 역세권에 청년임대주택을 다수 공급하여 청년의 주거안정을 도모하는 것이다. 이 목표달성을 위한 핵심 정책수단은 공공의 각종 행정적, 재정적 권한을 활용하여 민간 사업자의 준공공주택 건설사업참여를 촉진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민간임대주택 정책과 유사하다.
  • 다만 이번 연구에서 공간구문론의 적용은 윤용우 외(2005)에서 소개하였던 바를 적용하여 청년주택 인접성 평가 사례지의 실제 공간 깊이와 운영지침에 내재되어 있는 공간인식의 관계를 도출해 봄으로써 인접성 판단의 일관성과 객관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극히 실용적인 동기에 따른 것이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공간구조 모형과 depth를 계량적으로 도출 할 수 있는 기능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울특별시 역세권 2030청년주택이란 어떤 정책인가? 서울특별시 역세권 2030청년주택(이하 ‘청년주택’)은 역세권에 시세의 7~80% 수준의 청년을 위한 민간임대주택 공급을 촉진하여 청년세대 주거불안 해소를 도모하는 정책이다. 이 정책은 2016년 7월 14일 「서울특별시 역세권 청년주택 공급 지원에 관한 조례」(이하 “조례”)의 제정과 함께 시행되었다.
청년세대가 주거복지의 정책적 고려대상을 인식된 이유는? 청년세대가 주거복지의 정책적 고려대상으로 인식되기 시작한 것은 그리 오래지 않은 일이다. 이는 빈곤 문제를 소득위주의 지표를 활용하여 평가하는 과정에서 청년주거생활의 현실과 유리된 판단이 도출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Figure 1은 소득기준의 OECD 국가 빈곤률을 비교하는 막대그래프인데, 이를 참고하면 우리나라의 노인빈곤은 타 OECD 국가에 비해 월등히 높은 수준인 반면, 청년빈곤은 상대적으로 심각하지 않은 수준으로 인식되기에 충분하다(이태진 외 2016).
서울특별시 역세권 2030청년주택 정책의 시초는? 서울특별시 역세권 2030청년주택(이하 ‘청년주택’)은 역세권에 시세의 7~80% 수준의 청년을 위한 민간임대주택 공급을 촉진하여 청년세대 주거불안 해소를 도모하는 정책이다. 이 정책은 2016년 7월 14일 「서울특별시 역세권 청년주택 공급 지원에 관한 조례」(이하 “조례”)의 제정과 함께 시행되었다. 청년주택의 정책목표 달성을 위한 최우선 과제는 다른 민간임대주택 정책과 동일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Hillier B, Hanson J. 1989. The Social Logic of Spa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 Hillier B. 1999. Computers and Culture-The Theory of the City as Object. Review of Architecture and Building Science. 43(11):17-19 

  3. Kong EM, Kim YO, Shin HW. 2009. Transformation of the Urban Spatial Configuration and Function by Urban Growth-Focused on Accessibility Analysis by Street Network. Journal of the Urban Design Institute of Korea Urban Design. 10(3):19-32. 

  4. Kwon JW, Lee EJ. 2013. A Report on the Youth Housing Deprivation. Source Book of the 3rd Conference on Housing Welfare. 

  5. Kim MG, et. al. 2016. The Basic Analysis Report of the Korean Welfare Panel Study in the Year 2016.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IHASA 2016-30. 

  6. Kim TW, Choi JY. 2017. Who is Poorer among Young People.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44(2):6-19. 

  7. Kim CJ, Kim YW. 2008. A Comparative Study on the Functional Composition & Spatial Structure of Planning Method in Elementary School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4(3):43-52. 

  8. Park MS. 2017. The Support Policy for Improvement to Housing environment of Single-Youth Household. KRIHS Policy Brief. (627):1-8. 

  9. Bae BW, Nam J. 2013. A Study on Housing Affordability of University Student in Seoul. Seoul Studies. 14(1):23-38. 

  10. Seoul. 2016.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Ordinance on Support of Supply for Seoul's Station-Area Youth-Housing. 

  11. Seoul. 2017.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dministrative Rule on Establishment and Operation for Seoul's Station-Area Youth-Housing. 

  12. Yoon YW, Kim YW, Park YG. 2003. A Study on the Influence by Depth and Distance in Spatial Cogni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3(1):171-174 

  13. Yoon YW, Kim YW, Park YG. 2005. The Effect of Metric Distance and Spatial Depth on Spatial Cogni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1(5):77-84 

  14. Lee TJ, et. al. 2016. A Study on the Custom-Tailored Housing Support Policy to Alleviate the Youth Poverty.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KIHASA 2016-42 

  15. Chei EY, et. al. 2014. A Study on the Housing Condition and Policies of Young Family in Seoul. The Institute for Democracy and Policies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