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그룹감각통합치료가 학령전기 지적장애 아동의 소근육 기능, 상호작용 및 놀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Group Therapy on Fine Motor, Social Interaction and Playfulness of Preschool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원문보기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The jornal of Korean society of sensory integration therapists, v.16 no.1, 2018년, pp.25 - 34  

최지현 (행복한우리복지관) ,  김희 (건양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적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지적장애아동에게 제공한 그룹감각통합치료가 소근육 기능, 상호작용 및 놀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지적장애 등록을 한 만3~5세 아동 4명을 대상으로 주 1회 90분씩, 총 12회기 실시하였다. 그룹감각통합치료는 평행놀이와 또래놀이 중심의 대근육 활동과 주제에 맞는 미술활동과 감각놀이로 구성하였다. 결과측정은 Erhardt Developmental Prehension Assessment(EDPA)와 또래놀이 상호작용 평점척도(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PIPPS), 놀이다움(The Test of Playfulness; ToP)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사전사후 소근육 기능과 상호작용, 놀이를 평가하였다. 측정 결과는 윌콕슨 순위 검정(Wilcoxon matched-pair signed rank test)을 사용하여 소근육 기능과 상호작용, 놀이의 중재 전후로 차이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그룹감각통합치료 후, 소근육 기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상호작용과 놀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결론 : 그룹감각통합치료는 상호작용과 놀이능력 향상에 유용한 치료적 접근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지속적인 그룹 활동을 통하여 일상생활에서의 다양한 상황에 대한 일반화가 진행되길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effect that sensory integration group therapy has on the fine motor, social interaction and playfulness of preschool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Methods : Participants were four children from three to five years old who were diagnosed with in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EDPA 관찰을 통하여 형식화된 검사 영역을 평가하며, 각 영역은 발달단계 점수로 환산하여 전체적인 아동의 손 기능을 수준을 알 수 있다. 또한, 검사 결과에 따라 기술의 발달 순서 상 결여된 부분과 발달상 부적절한 형태, 특별한 치료적 개입이 필요한지 알 수 있다. 검사영역의 신뢰도는 .
  • 본 연구는 그룹감각통합치료가 소근육 기능과 상호작용, 놀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학령전기 지적장애 아동 4명을 대상으로 그룹감각통합치료를 진행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놀이를 기반으로 한 그룹감각통합치료를 지적장애 아동에게 제공하였을 때, 소근육 기능과 상호작용 및 놀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 선행연구에서 감각통합치료 중재의 연구대상으로 지적대상아동이 가장 많았으며, 그룹감각통합치료의 경우 다양한 진단으로 발달에 어려움을 보이는 아동들의 신체구조나 기능에 초점을 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Jung, Choi, & Kim, 2013; Lee, lee, Kim, & Kim, 2016).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아동의 소근육 기능 향상과 상호작용 및 놀이를 포함한 수행요소와 작업수행 기술 향상에 초점을 두고 그룹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제공하였다. 본 연구는 평가의 내적신뢰도를 위하여 평가자간의 신뢰도를 검정했어야 하나 진행되지 못하였으며, 감각통합중재 원리를 따라 중재를 진행하였으나 중재방법에 대한 내용 타당도 검정이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것이 제한점으로 남았다.
  •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H 복지관 치료프로그램 대기자 중 지적장애 아동 4명을 대상으로 진행하였다. 중재 전 대상자들의 글쓰기 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Erhardt Developmental Prehension Assessment(EDPA)를 시행하였으며, 상호작용을 알아보기 위한 또래놀이 상호작용과 놀이 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놀이다움을 시행하였다. 평가를 위하여 중재 첫 회기와 마지막 회기에 아동들의 자유놀이를 비디오로 촬영하였으며, 치료사와 그룹감각통합치료 프로그램에 직접 참여하기 위하여 평가도구와 프로그램에 대하여 충분한 교육을 받은 작업치료과 학생 4명이 함께 평가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에게 있어서 놀이의 의미는? 아동에게 있어 놀이는 주요 작업이고, 생활이며 활동이다(Bundy, 1992). 놀이는 아동을 치료하는 작업치료의 중재수단으로(Hilton, Graver, & LaVesser, 2007) 작업치료사는 아동의 놀이를 관찰함으로 운동처리, 의사소통, 상호작용기술, 그리고 전반적인 인지와 발달수준을 평가할 수 있다(AJOT, 2008).
본 연구에서 학령전기 지적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그룹감각통합치료 활동이 지적장애 아동의 소근육 기능과 상호작용 및 놀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3∼5세 지적 장애 아동 4명을 대상으로 주 1회 90분씩 12주간 그룹 감각통합치료를 진행한 결과 알 수 있는 점은? 본 연구는 학령전기 지적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한 그룹감각통합치료 활동이 지적장애아동의 소근육 기능과 상호작용 및 놀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해 3∼5세 지적 장애 아동 4명을 대상으로 주 1회 90분씩 12주간 그룹감각통합치료를 진행하였다. 중재 이후 EDPA의 총점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5), 또래놀이 상호작용 평점척도(PIPPS)와 ToP의 총점에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p<.05). 따라서 그룹감각통합치료는 상호작용과 놀이능력 향상에 유용한 치료적 접근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작업치료사는 아동의 놀이를 관찰을 통해 무엇을 평가할 수 있는가? 아동에게 있어 놀이는 주요 작업이고, 생활이며 활동이다(Bundy, 1992). 놀이는 아동을 치료하는 작업치료의 중재수단으로(Hilton, Graver, & LaVesser, 2007) 작업치료사는 아동의 놀이를 관찰함으로 운동처리, 의사소통, 상호작용기술, 그리고 전반적인 인지와 발달수준을 평가할 수 있다(AJOT, 2008). 아동은 놀이를 통하여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며, 의사소통 기술을 익히고, 더 나아가 사회적 역할관계를 경험하게 된다(Arbesman & Lieberman, 20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08).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framework: Domain and process (2nd ed.).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2(6), 625-683. http://dx.doi.org/10.5014/ajot.62.6.625 

  2. Arbesman, M., & Lieberman, D. (2010). Methodology for the Systematic reviews of occupational therapy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ifficulty processing and integrating sensory informatio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4(3), 386-442. http://dx.doi.org/10.5014/ajot.2010.09068 

  3. Bailey, Jr., D. B., & Wolely, M. (1992). Teaching infants and preschoolers with disabilities (2nd ed). New York: Macmillan Publising Company. 

  4. Bundy, A. C. (1992). Play: The most important occupation of children. Sensory Integration Special Interest Section Newsletter, 15, 1-2. 

  5. Case-Smith, J. (1995). The relationships among sensorimotor components, fine motor skill, and functional performance in preschool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9, 645-652. 

  6. Case-Smith, J. (1996). Fine motor outcomes in preschool children who receive occupational therapy service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0(1), 51-61. http://dx.doi.org/10.5014/ ajot.50.1.52 

  7. Craig-Unkefer, L. A., & Kaiser, A. P. (2002). Improving the social communication skills of at-risk preschool children in a play context. Topics in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22(1), 3-13. http://dx.doi.org/10.1177/027112140202200101 

  8. Cummins, A., Piek, J. P., & Dyck, M. J. (2005). Motor coordination, empathy, and social behaviour in school-aged children. Developmental Medicine and Child Neurology, 47(7), 437-442. 

  9. Danker, H. L., Davies, P. L., & Gavin, W. J. (2003). Occupational therapy effects on visual-motor skills in preschool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7, 542-549. http://dx.doi.org/10.5014/ ajot.57.5.542 

  10. Dunn, W., Brown, C., & McGuigan, A. (1994). The ecology of human performance: A framework for considering the effect of context.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8(7), 595-607. 

  11. Erhardt, R. P., Beatty, P. A., & Hertsgaard, D. M. (1981). A developmental prehension assessment for handicapped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35(4), 237-242. http://dx.doi.org/ 10.5014/ajot.35.4.237 

  12. Fantuzzo, J., Sutton-Smith, B., Coolahan, K. C., Manz, P. H., Canning, S., & Debnam, D. (1995). Assessment of preschool play interaction behaviors in young low-income children: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10(1), 105-120. http://dx.doi.org/10.1016/0885-2006(95) 90028-4 

  13. Hilton, C., Graver, K., & LaVesser, P. (2007). Relationship between social competence and sensory processing in children with high functioning autism spectrum disorders. Research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1(2), 164-173. http://dx.doi.org/10.1016/j.rasd.2006.10.002 

  14. Hong, E. K., & Kim, H. G. (2009). The effects of group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for sensory processing, fine motor skill, and social skill.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7(2), 1-12. 

  15. Hong, Y. J., & Lee, E. K. (2007). Physical activity program (EWHAPA program) on basic motor skill and sports-skill of school aged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Ewha Journal of Human Movement Science, 10, 75-81. 

  16. Jerareh, J., Mohammadi, A., Nader, M., & Moosavian, S. A. (2016). The impact of group play therapy on creativity and control of aggression in preschool children. Cogent Psychology, 3(1), 1-9. http://dx.doi.org/10.1080/23311908.2016.1264655 

  17. Jin, H. S. (2003).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ToP (Test of Playfulness). Korea Society for the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19(4), 71-90. 

  18. Jung, H. R., Choi, Y. W., & Kim, K. M. (2013). A systematic review on sensory integration intervention in Korea: Focusing on Ayres Sensory Integration (ASI).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1(2), 27-40. 

  19. Kim, E. Y., Noh, S., Nam, G. Y., & Kim, K. M. (2012). The effects of group sensory integrative intervention on the sensory integration dysfunction children's social interaction with peer and therapis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Sensory Integration, 10(1), 1-10. 

  20. Kim, H. H., Hwang, B. G., & Yoo, B. K. (2011). The effects of the hand-function training applied sensory integration group treatment program on the hand-function and ADL ability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Korean Journal of Physical and Multiple Disabilities, 54(1), 127-143. 

  21. Kim, J. M. (2008).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program on facilitating sensory motor development with preschoolers.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Gyeongnam. 

  22. Marleen, V., Herbert, R., & Willy, D. W. (2011). Objectivity and stability of the Preschool Imitation and Praxis Scal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65(5), 569-577. http://dx.doi.org/10.5014/ajot.2010.ajot00000414 

  23. Schaaf, R. C., & Miller, L. J. (2005). Occupational therapy using a sensory integrative approach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Mental Retardation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search Reviews, 11(2), 143-151. 

  24. Shin, E. S., Kwon, M. K., & Jeong, H. B. (2010).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skills, peer play interactions and social play behaviors. Association for Future Early Childhood Education, 17(4), 183-209. 

  25. Tanta, K. J., Deitz, J. C., White, O., & Billingsley, F. (2005). The effects of peer-play level on initiations and responses of preschool children with delayed play skills.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59(4), 437-445. http://dx.doi.org/10.5014/ ajot.59.4.437 

  26. Tseng, M, H., & Cermak, S, A. (1993). The influence of ergonomic factors and perceptual-motor abilities on handwriting performance. American Journal of Occupational Therapy, 47(10), 919-926. http://dx.doi.org/10.5014/ajot.47.10.919 

  27. Wilkes-Gillan, S., Bundy, A., Cordier, R., Lincoln, M., & Chen, Y. W. (2016). A Randomised Comtrolled Trial of a Play-Based Intervention to Improve the Social Play Skills of Children with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PLOS ONE, 16, 1-22. http://dx.doi.org/10.1371/journal.pone.01605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