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민참여형 커뮤니티정원 조성 가이드라인 마련을 위한 국외 사례 비교 연구
Case Study on the Overseas Locally-Led Community Design Guidelines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6 no.3, 2018년, pp.117 - 129  

이애란 (청주대학교 휴먼환경디자인학부 조경도시계획전공) ,  박재민 (청주대학교 휴먼환경디자인학부 조경도시계획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도시농업, 텃밭 가꾸기 등에 대한 관심과 활동에서 공동체가 함께 만들어가는 아름다운 커뮤니티정원에 대한 사회적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국내의 경우, 개인단위의 생산중심 텃밭가꾸기 활동은 익숙한 반면, 공동체가 함께 아름다운 정원으로 가꾸는 것에 대한 측면은 여전히 경험이 적고 정보 또한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외 커뮤니티정원 조성 가이드라인을 분석하여, 국내 도입되어야 할 가이드라인의 특성과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국외 커뮤니티정원 가이드라인 6개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외에서 커뮤니티정원 관련 가이드라인은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여, 비교적 적은 분량(100쪽 이내)으로 제작되었으며, 자료에 대한 온라인 접근이 용이한 편이었다. 일부에서는 편집에 대한 허용을 하고 있었다. 가이드라인의 구성은 초보자가 처음부터 따라할 수 있도록 개요, 기획, 대상지 선정 및 설계, 시공, 유지관리로 구성되어 있었다. 다만 초보자들을 위하여 첫 미팅의 논의사항부터 커뮤니티를 어떻게 형성해 나아가야 하는지에 관한 자세한 내용을 담고 있었다. 개요에서는 개념 정의, 목적, 효과, 성공요인 등을 담아 처음 접하는 사람들의 이해를 돕고 있었다. 대상지 선정에서는 대상지의 햇빛, 급수, 토양오염 등을 체크리스트 등을 활용하여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설계와 관련해서는 구체적 도면, 이미지 보다는 설명중심으로 다루고 있어 초보자의 이해를 돕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시공에서는 기반조성, 구조물설치, 식재부분을 다루었으며, 특히 정원 조성 시 노동력의 확보 방법을 구체적으로 포함하였다. 유지관리는 자세히 다루며, 시설물, 회원, 자금에서부터, 병충해, 반달리즘, 유기농 재배, 생물다양성 등까지 확장하여 설명하였다. 부록은 다양한 체크리스트, 행정 서식, 가이드라인, 도면, 연락처 등을 포함하여 초보자들의 이해를 돕고 있었다. 본 연구는 국외 커뮤니티정원의 조성 경향과 특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주며, 더 나아가 향후 도입 예정인 커뮤니티정원 조성 가이드라인의 기본 방향을 제시해 준다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changing of social needs and paradigms, citizens are concerned about aesthetic and cultural community gardens from productive urban farms in Korea. It is still difficult, however, to cultivate a beautiful garden with a community to design, install and manage it. Therefore, this study analyz...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커뮤니티정원이란? 커뮤니티정원의 사전적인 의미는 울타리 등 영역에 의해 명확하게 구분되는 개인정원 외에 주민공동체가 함께 조성한 개방된 공간으로 식물요소와 조형물로써 공동체 의식을 키우거나 행사나 이벤트가 열리고 놀이장소로서 역할을 하는 공간이라고 정의하고 있다(Kim et al., 2006; Lee, 2012).
커뮤니티정원 조성에 대한 필요성과 수요가 증가함에도 조성하지 못하는 이유는? 특히 최근 정원과 지역공동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며, 기존의 도시농업보다는 아름답고 주민들이 함께 가꾸어 나아갈 수 있는 커뮤니티정원 조성에 대한 필요성 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아름답고 지역공동체가 함께하기 위한 커뮤니티정원을 어떻게 기획, 설계, 시공, 관리하는지에 대한 정보는 미흡한 실정이다. 기존 관련 가이드라인은 주로 정원디자인보다는 농업 중심의 텃밭 조성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아름답고 공동체가 함께 계획하고 만들어갈 수 있는 커뮤니티정원 조성 가이드라인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도시농업과 커뮤니티 정원활동과의 차이점은? 국외에서도 유사한 개념으로 커뮤니티 정원 활동이(community gardening) 오래전부터 진행되어 왔다. 이는 생산적 활동을 기반으로 공동체 형성 활성화라는 측면에서 국내 도시농업 활동과 유사하지만, 도시농업은 주로 생산 중심의 활동, 지역공동체보다는 가족단위의 활동이라는 측면에서 커뮤니티정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범위는 한정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최근 정원과 지역공동체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증가하며, 기존의 도시농업보다는 아름답고 주민들이 함께 가꾸어 나아갈 수 있는 커뮤니티정원 조성에 대한 필요성 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lberta Health Services (2016) Community Gardens Handbook: A Guide for Community Groups in Alberta. (https://www.albertahealthservices.ca/assets/info/nutrition/if-nfs-community-gardens-handbook.pdf) 

  2. Alternative Energy Resources Organization (2009) Building Community Gardens. Montana. (http://aeromt.org/PDFs/AERO_Garden_Manual.pdf) 

  3. Choi, B. D. (2009) A Study on the Formation of a Vegetable Garden in an Apartment Complex. Master Thesis, Chungang University. Korea. 

  4. Choi, J. M. and B. H. Seo (2016) Research on developing a model for perry-urban welfare community garden for second-class citizens in the metropolis. Residential Environment Institute of Korea 14(1): 97-116. 

  5. City of Sydney (2016) Community Garden Guidelines. Sydney. (http://www.cityofsydney.nsw.gov.au/__data/assets/pdf_file/0006/278601/8598_Community-Gardening-guidelines_DE11_web.pdf) 

  6. Cultivating Community (2002) The Good Practice Guide for Community Gardens. (https://communitygarden.org.au/wp-content/uploads/2010/06/Good_Practice_Guide_CG.pdf) 

  7. Gyeonggi Agro Food Institute (2016) Citizen Gardener Manual. 

  8. Hashimoto, M. (2017) Citizen fellowship to "Stop Hate Speech": Community base of Studies of Koreans Abroad. The Korea Journal of Japanese Study 43: 105-130. 

  9. Hideki, Y. (2002) Comunity Garden: Making Green Community with Citizens. Tokyo: Academic Publishers. (コミュニティガ?デン:市民が進める?のまちづくり) 

  10. Hou, J., J. M. Johnson and L. J. Lawson (2009) Greening Cities, Growing Communities. Seattle: Landscape Architecture Foundation in Association with University of Washington. 

  11. Hue, J. N. and T. K. Kim (2012) Valuation of multi-functionality of urban agriculture using turnbull model. Korea Association of Organic Agriculture 20(4): 431-455. 

  12. Kim, J. Y. and Y. S. Lee (2013) A study on design direction of community garden in urban deprived area through analysis of psychological and social effects: Targeting on the community garden of Jeonju-si urban regeneration test-bed area. Society of Design Convergence 12(6): 83-98. 

  13. Kim, K. H., D. B. Cho and M. H. Kim (2006) Eco-symbolic landscape characteristics in community gardens and common spaces of eco-villages in Europe.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17(5): 117-126. 

  14. Kim, M. H (2011) Study on the Community Garden Model Utilizing a Small Vacant Space in the Urban Area. Ph.D.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Korea. 

  15. Kim, S. H., S. Y. Yoon, M. J. Cha., Y. S. Yoo., J. Y. Cho. and Y. S. Kim (2012) A study on experimental construction of community garden: A case study on rooftop of SAHA disabled welfare hous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0(2): 24-37. 

  16. Lee, A. and N. R. Lee (2018) A case study of community garden related guidelines in Korea.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Conference 37: 57-58. 

  17. Lee, C. H. (2012) A Comparative Study on Urban Agriculture Operating Agents: Construction and Operating System with a Focus on Community Allotment. Master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Korea. 

  18. Lee, G. H. (2016) Community garden movement and urban agriculture on North America. Seoul Garden Show Conference. pp. 6-21. 

  19. Lewisham Council (2014) Love Lewisham, Love Growing your own Food, Lewisham's Guide to a Community Garden, London. (https://www.lewisham.gov.uk/inmyarea/openspaces/Documents/CommunityGardensGuide.pdf) 

  20. Lim, J. E. and J. S. Sung (2016) The effect of community gardening on the formation of social connectedness among residents in new town apartment complexes: Comparison between community garden users and non-users. Urban Design 17(3): 25-40. 

  21.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6) Landscape Architecture Design Criteria. 

  22. Nam, H. G. and A. H. Kim (2017) Analysis of design guidelines for inclusive parks as an inclusive environment for the disabled and the non-disabled.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5(2): 89-100. 

  23. Park, E. J., Y. S. Lee and C. H. Ahn (2011)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garden based on social capital perspective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11(6): 117-125. 

  24.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5) Making Garden on Farming Villages. 

  25.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6) Maintenance Guideline for Private Home Garden. 

  26.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7) Design of Vegetable Garden. 

  27. Sung, C. W. and J. K. Lee (2013) A study of implications on art community garden for the activation of the community: Case study of oversea art community garden. Korean Institute of Spatial Design 23: 33-42. 

  28. Tomomi, F. (2015) Community to Cultivate in Community Gardens in the Community: Creating a Place to Connect with Greenery through Community Gardens, Faculty of Cultural Studies, Waseda University Social Construction theory Region Cities Seminar. (地域の庭で育てるコミュニティ:コミュニティガ?デンを通じた?とつながりの場づくり, http://www.waseda.jp/sem-muranolt01/SR/S2015/S2015-furuta.pdf) 

  29. Urban Greenery Foundation (2005) Recommendation of Community Garden: Flower and Green City Planning Guide, Tokyo: Seisonbado Shinkansha. (都市?化基金, コミュニティガ?デンのおすすめ?花と?のまちづくりガイド, 東京: 誠文堂新光社) 

  30. You, H. J (2011)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Garden Model. Master Thesis, Donga University. Korea. 

  31. www.ci.seattle.wa.us/neighborhoods/ppatch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