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중등 예비교사와 교사의 식생활 교육에 대한 인식과 식생활 관리 역량
The Awareness of the Dietary Education and Dietary Management Competency of (Preliminary) Teachers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30 no.3, 2018년, pp.215 - 231  

김윤화 (대구대학교 사범대학부설 교육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교사의 건강과 식생활에 대한 태도는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초·중등 예비교사와 교사의 식생활과 교육에 대한 인식, 식습관, 식생활 관리 역량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2017년 10월부터 12월까지 서울·경기, 충청, 전라, 강원, 경상 지역의 교육대학과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교사와 초·중·고등학교 교사 812명을 대상으로 5-Likert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로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C +24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을 구하였다. Varimax 회전법에 의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Cronbach's α를 이용하여 신뢰도를 검증하였으며, 식생활과 교육에 대한 인식, 식습관, 식생활 관리 역량의 일반사항에 따른 차이점을 알아보기 위해 one-way ANOVA와 Ryan-Einot-Gabriel-Welsch F를 이용하여 p<0.05 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본 연구의 요인분석 결과 식생활과 교육에 대한 인식은 식생활 관심도와 식생활 관리 스트레스의 2개 요인이 추출되었고, 식습관은 건강 식습관과 나쁜 식습관의 2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식생활 관리 역량은 식생활 지식, 조리, 식생활 위생 및 안전, 환경의 4개 요인으로 구성되었다. 식생활 관심도 평균은 3.81±0.73점, 식생활 관리 스트레스 3.09±0.95점이었다. 건강 식습관은 3.39±0.77점, 나쁜 식습관 3.31±0.91점, 식생활 관리 역량 평균 점수는 3.29±0.73점이었고, 식생활 지식 요인 3.29±0.67점, 조리 요인 3.02±0.82점, 식생활 위생 및 안전 요인 4.16±0.63점, 환경 요인 3.12±0.89점이었다. 예비교사와 교사는 식생활 관리 역량의 환경 요인을 제외한 모든 요인들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식생활 관심 요인은 성별, 전공, 나이, 건강상태, 비만도, 식사준비참여 횟수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식생활 관리 역량의 평균점수는 성별, 전공, 나이, 건강상태, 식사준비참여 횟수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1). 예비교사와 교사를 대상으로 한 식생활 교육은 일반사항에 따른 차이점을 고려하고, 식사준비에 참여하는 횟수를 높여 식생활 관리 역량을 강화하며, 건강한 식습관이 형성되도록 적극적인 교육과 홍보가 요구되었다. 또한 식생활 영역을 활용한 융합 교육을 도울 수 있는 자료 개발이 요구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ttitudes to the health and dietary life of teachers affect their stu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etary and education awareness, eating habits and dietary management competency of the preliminary teachers and teachers. Data was collected from 812 pre-service teachers and tea...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정교과 교육은 무엇을 목표로 실시되고 있는가? 가정교과 교육은 미래세대의 주역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현재와 미래의 생활을 주도할 수 있는 역량과 태도 함양을 목표로 실시되고 있다. Chae, Park, Kim & Han(2017)은 미래 가정과 교육은 가정생활과 관련된 지식과 기능, 태도 습득과 더불어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고 주도적이며 창의적인 가정생활을 형성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가정교과 교육은 어떻게 실시되고 있는가? 가정교과 교육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가정생활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건강한 개인 및 가족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삶을 주도해 나갈 수 있는 역량과 태도를 목표로 녹색생활 교육이 강조되었다(Ministry of Education, 2011). 반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초 중등 교과과정의 연계성이 강조되고, 지식의 활용과 융합, 긍정적 가치관, 실천적 태도, 삶을 향상시키려는 태도, 배려와 나눔의 가치와 태도를 가지며, 실천적 문제해결 능력, 생활 자립 능력, 관계형성 능력을 목표로 생활 안전을 강조한 교육이 실시되고 있다(Ministry of Education, 2015).
미래 가정과 교육은 가정생활과 관련된 지식과 기능, 태도 습득과 더불어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고 주도적이며 창의적인 가정생활을 형성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하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Chae, Park, Kim & Han(2017)은 미래 가정과 교육은 가정생활과 관련된 지식과 기능, 태도 습득과 더불어 이를 바탕으로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고 주도적이며 창의적인 가정생활을 형성하는데 중점을 두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이는 청소년의 건강과 행복을 추구하는 생활교과로서의 가정교과 교육 뿐 아니라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인 능력을 함양할 수 있는 교과교육이 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가정교과 교육은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가정생활에서 직면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고 건강한 개인 및 가족 구성원으로서 자신의 삶을 주도해 나갈 수 있는 역량과 태도를 목표로 녹색생활 교육이 강조되었다(Ministry of Education,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Chae, J. H., Park, M. J., Kim, S. G., & Han, J. (2017). Introduction to home economics education. Paju: Gyomoonsa. 

  2. Choi, A. J. (2011). Transfer system of dietary life safety information and development of consumer-based education program.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of Life and Environmental Science, Seoul, Korea. 

  3. Hyun, E. J., Lee, N. E., & Kim, K. Y. (2014). Content analysis of food and dietary life represented in Korean picture books. Journal of Children's Literature and Education, 15(4), 1-23. 

  4. Jeon, S. K., & Lim, S. J. (2017). The effect of the dietary practic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perception of necessity for dietary education.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30(4), 27-48. 

  5. Jung, K. A. (2012). A study on the dietary habits of 5th & 6th grade students and the dietary life education by teachers -focused on the elementary schools in Chuncheon area-. The Korean Journal of Culinary Research, 18(3), 266-285. 

  6. Kang, K. S. (2017).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s for activation of the rural convergence industr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 461-469. 

  7. Kim, E. S., Cho, H. J., & Kim, Y. H. (2015). A study of the relationship of green dietary education, self-esteem and happiness of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student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7(3), 63-77. 

  8. Kim, H. S. (2015). Traditional foods: historical perspectives and future prospec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ietary Culture, 30(1), 1-7. 

  9. Kim, H. S., & Kim, J. W. (2016a). Prospective elementary teachers' evaluation of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 for improving their dietary life education, food literacy, and agricultural literacy.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2(2), 107-122. 

  10. Kim, H. S., Kim, S.J. (2011).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of green dietary life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 Science, 13(1), 75-94. 

  11. Kim, J. D. (2012). 음식문맹자, 음식시민을 만나다. Tabi: Seoul. 

  12. Kim, J. W., & Lee, E. J. (2014). Evaluation of dietary habits and dietary life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7(4), 17-37. 

  13. Kim, J. W., & Lee, E. J. (2015). An evaluation of dietary habits and dietary life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parents.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Cookery Science, 31(2), 162-174. 

  14. Kim, Y. H. (2018). Fusion Competency and Utilization of Dietary Area Convergence Teaching Efficacy of Teachers and Preliminary Teachers. The Journal of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 24(3), 47-67. 

  15. Kim, Y. H., & Park, P. Y. (2017).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a club activity program to strengthen the adulterated food management capacity of adolescents. The Journal of Practical Arts Education Research, 23(4), 227-245. 

  16. Kim, Y. J., Lee, J. E., Lee, S. Y., & Jung, I. K. (2005).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teachers on dietary behavior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nutrition education in Practical Art education. Korean Education Inquiry, 21, 99-120. 

  17. Kim, Y. S., & Kim, K. S. (2016b). A comparative study on curriculums related to biotechnology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16(1), 23-55. 

  18. Lee, E. J. (2017a). Trends and direction of dietary education research in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30(1), 83-106. 

  19. Lee, H. J., & Lee, J. H. (2016). A study on the E-STEAM program for dietary management and English education.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10(3), 39-72. 

  20. Lee, K. A. (2014).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ating habits, and their perceptions of eating traditional Korean foods,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7(1), 45-65. 

  21. Lee, S. S. (2017b). Changes of dietary life competency and five senses through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 applied practice model by integrated approach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3(2), 23-44. 

  22. Lim, M. S., Han, G. P., & Kim, Y. H. (2018). Development of dietary education program to cultivate creative ability -focusing on solving the problem of adulterated food-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4(2), 1-17. 

  23.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2016). Dietary education support act. Ministry of Government Legislation. Accessed day 2018. 7. 22. http://www.law.go.kr/lsInfoP.do?urlModelsInfoP&lsId011008#0000 

  24. Ministry of Education (2011). 실과(기술 가정)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361호 [별책 10]. 

  25. Ministry of Education (2015).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교육부고시, 제 2015-74호 [별책 1]. 

  26. Moon, S. J., & Lee, Y. M. (1986). The study of value evaluation of foods in urban adolesc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1(2), 142-156. 

  27. Ra, Y. S. (2015). History of eating : another way to understand people. The Korean Journal of History of Historiography, 32, 455-492. 

  28. Sang, E. Y., & Kim, J. W. (2016). Development of STEAM dietary education program for the improvement of core competencie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9(1), 1-18. 

  29. Vidgen, H., & Gallegos, D. (2011). What is food literacy and does it influence what we eat: a study of Australian food experts. Queensland University of Technology, Brisbane, Queensland. 

  30. Yang, S. J., Chae, J. H., Yu, N. S., & Park, M. J. (2015). The analysis of duplicated contents of 'Food and Nutrition unit' of Home Economics and other subject textbooks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7(1), 31-50. 

  31. Yoon, H. S., Choi, Y. S., & Lee, K. H. (2002). Nutrition knowledge, dietary habits and nutrition attitude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in Masan ci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31(1), 160-169.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