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교과 수업 적용을 위한 백워드 디자인의 템플릿 재구조화
Template Restructuring of Backward design for Home Economics Instruction 원문보기

韓國 家政科敎育學會誌 =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v.30 no.2, 2018년, pp.117 - 136  

왕석순 (전주대학교 가정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Wiggins와 McTighe(2011)의 2.0버전의 템플릿을 가정과 수업을 위한 템플릿으로 수정, 보완하여 재구조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백워드 디자인의 주창자인 Wiggins와 McTighe의 이론을 고찰하고, Wiggins와 McTighe(2011)의 2.0버전의 템플릿을 고찰하였다. 또 백워드 디자인을 활용한 다양한 선행 연구를 분석하여 가정과 수업에 백워드 디자인을 적용하기 위한 템플릿 재구조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또 전문가 협의회를 통한 안면타당도를 통해 템플릿의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1. 교육과정 분석, 2. 수업설계(학습경험 디자인↔평가설계), 3. 수업 흐름, 4. 각 차시별 수업 안내, 5. 평가기록 및 피드백의 총 5단계로 재구조화한 가정과 템플릿을 개발하였다. 이 연구에서 재구조화한 가정과 템플릿을 활용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가정과교육 영역의 수업 자료를 개발하여 학습자의 역량 함양에 기여하는 교수·학습의 개선이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가야 할 것이다. 추후 연구에서는 백워드 디자인 적용의 가정과 수업이 학습자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학교 현장 연구가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restructuring the template to apply the 'Backward design' for Home Economics Instruction. This study reviewed the theory of Wiggins and McTighe, the advocates of backward design, and examined the template for version 2.0 of Wiggins and McTighe (2011). In addition, This 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은 무엇을 목표로 하는가? 역량 중심의 교육과정은 학습에 대한 관점을 완전히 개혁하는 것으로, 수업은 단순한 지식의 습득이 아닌 지식의 전이와 활용, 새로운 지식으로의 융합, 실세계 맥락에서의 완전한 활용을 중심으로 하는 ‘영속적 이해’를 목표로 한다. 따라서 내용을 많이 가르치는 교육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소수의 핵심내용을 심층적으로 학습하는데 중점을 두어 궁극에는 새로운 의미와 가치를 생성하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같은 ‘역량 중심교육과정’을 지도하는 실행방안으로 ‘백워드 디자인’(Backward Design) 수업 설계모형이 최근 대두되고 있다(Jeong & Lee, 2016; Kim, Ohn, & Lee, 2017).
Ryu와 Park(2016)는 교사의 입장에서 백워드 디자인의 문제점으로 무엇을 지적하였나? 물론, Wiggins와 McTighe(2005)는 백워드 디자인은 교사의 수업설계 과정이며 백워드 디자인 역시 학습자가 아닌 교사의 관점에서 구성된 것임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Ryu와 Park(2016)은 교사의 입장에서, 첫째 백워드 디자인의 용어 자체가 너무 어렵고 낯설다는 점, 둘째, 2015개정 교육과정이 이해중심 교육과정에 기반하고 있으나 관련된 구체적인 자료가 없다는 점, 셋째, 교육과정 재구성자로서의 교사들의 적극성이 부족하다는 점을 문제점으로 지적하였다. Ryu와 Park(2016)은 초등 미술교육에서 백워드 디자인 적용을 위한 모형 재구조화를 위해, 우선 현재의 교사들이 교수·학습 설계에서 주로 사용하는 이해하기 쉬운 용어로 백워드 디자인의 템플릿이 재구조화되어야 하며, 학교 현장의 수업계획을 반영한 템플릿, 교육과정 체제와 관련성을 가지는 템플릿으로 재구조화 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선행 연구의 고찰을 바탕으로 가정과 수업에 백워드 디자인을 적용하기 위해 그 설계도에 해당하는 템플릿을 재구조화할 경우 어떤 방향의 수정, 보완이 고려되어야 하는가? 첫째, 교과의 모든 좋은 수업은 교과의 성격 및 목표, 그리고 내용과의 부합성에서 출발해야 하므로, 가정과 수업을 위한 백워드 디자인의 템플릿도 가정과의 성격 및 목표, 내용에 부합되도록 수정, 보완되어야 한다. 둘째,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을 운영하는 우리나라의 경우 반드시 교육과정에 기반한 수업을 견인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과 연계되어야 한다. 특히 교육과정의 성취기준 기반의 교육과정 운영을 통해 학습자의 깊이있는 이해와 지식의 전이를 통한 창의 융합적 역량을 강화하고자 하는 2015개정 교육과정에서는 반드시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반영한 템플릿이 제시되어야 한다. 셋째, 백워드 디자인의 철학과 방법이 2015개정 교육과정의 역량 함양을 위한 적절한 대안으로 제시되었으나, 현재 시점에서는 백워드 디자인의 대부분의 용어가 너무 낯설고 백워드 디자인에 대한 현장 교사들의 이해도가 매우 낮기 때문에, 교사들이 보다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쉬운 용어를 사용하는 템플릿으로 재구조화되어야 한다. 넷째, Wiggins와 McTighe(2011)의 2.0 버전을 활용하여 템플릿을 재구조화하되, 템플릿을 그대로 따라가는 것만으로도 가정과의 학교 현장의 수업이 그대로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템플릿은 학교 현장의 수업 흐름과 반드시 부합되도록 재구조화되어야 한다. 다섯째, 교육과정과 평가, 수업의 일관성을 강조하는 백워드 디자인의 특징을 보다 강화하기 위해, 템플릿에 학생의 성장의 변화, 및 이러한 학생 성장을 격려하는 교사의 피드백, 그리고 수업 중 학생이 다양한 학습 경험을 통해 보인 결과물을 기록해 줄 수 있는 템플릿의 개발이 필요하다. 학생부 중심의 대학입시 정책이 확대되고 있는 우리나라에서 실제 교실 현장의 수업을 통해 성장하는 학생의 변화를 기록할 수 있는 교수 설계 방안은 그 필요도가 더욱 커지고 있다. 따라서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을 일관적으로 전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템플릿으로 재구조화되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Bae, E. M., & Kang, H. S. (2017). A study on practice of character education through the way of assigning the performance task in backward design.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3(5), 39-62. 

  2. Baek, J. Y., & Kang, H. S. (2017).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iddle School's Moral Curriculum Unit based on Backward Design Model 2.0 version.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65(1), 25-64. 

  3. Cho, J. S. (2005). Thinking About Backward Curriculum Design.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23(1), 63-94. 

  4. Cho, K. J., & Koh, S. M. (2016). A Study on Application of Backward Design Model to Physical Education Class of Elementary School & its Influence on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7(1), 173-178. 

  5. Choi, Y. H. (2016).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Understanding of Technology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16(3), 46-65. 

  6. Choi, M. J., & Heo, M. (2013). The Task of Portfolio Assessment in Backward Curriculum Views. Journal 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7(3), 97-102. 

  7. Go, I. G. (2016). Structured agriculture unit in Practical Art based on Backward Design mode. The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2(2), 257-276. 

  8. Ham, J. H., & Sim, J. H. (2017). The Effects and the Development of Backward Course Design in the 'Biology and Enviornment'Classes of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1(1), 80-97. 

  9. Jang, B. S. (2006). Effects of the instruction based on backward curriculum design.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honbuk, Korea. 

  10. Jang, S. B., & Kim, K. J. (2010). The Effect of an Elementary Social Studies Program Designed by Understanding by Design(UbD) and Differentiated Instruction(DI) Integrated Model on Student's Understanding and Self-Regulation.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1(2), 127-147. 

  11. Jeong, H. S., & Lee, W. M. (2016). 핵심질문: 학생에게 이해의 문 열어주기. Seoul: 사회평론. 

  12. Kang, H. S., & Yi, J. E. (2013). Review of the applicability of Backward Design Version 2.0.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1(3), 153-172. 

  13. Kim, K. J., & Ohn, J. D. (2014). 이해중심 교육과정-백워드 설계-. Seoul: 교육아카데미. 

  14. Kim, K. J., Ohn, J. D. & Lee, K. J. (2017). 역량 함양을 위한 교육 과정 설계: 이해를 위한 수업. Seou: 교육아카데미. 

  15. Kim, J. H. (2016). The Development Research of 'Speaking' Unit of the korean speech field by Backward Design Model, The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60, 87-118. 

  16. Kim, J. S. (2016). Development of Home Economics Unit Based on Backward Design Model 2.0.. Unpublished master's thesis.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Korea. 

  17. Kim, J. S., & Jang, E. S. (2017). On the Direction of Primary Learner Self-assessment Based on Backward Design Model in Primary English Classes.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8(3), 61-77. 

  18. Kim, S. H. (2017). A Study on Organizing of Performance Tasks in Korean Language Learning Using the Backward Design Method: Focused on Factual Reading Unit in Reading Textbooks. Teacher Education Research, 56(4), 412-423. 

  19. Kim, T. W. (2017). Design of a Unit based on Backward Curriculum Design in the subject of Technology-Home Economics: focused on use of solar energy unit.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17(1), 36-54. 

  20. Lee, B. K. (2011).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Design of 'Library and Information Life' Subject Based on Backward Design model.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2(3), 5-24. 

  21. Lee, G. S., & Yoo, T. M. (2013). 백워드 디자인(Backward Design)의 이해와 소비단원 설계의 실제. Proceedings of the 2013 Spring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Conference(pp 136-138). 

  22. Lee, G. S., & Yoo, T. M. (2015). Development of Module for Consumer Content Area Based on the Backward Design.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7(2), 95-119. 

  23. Lee, I. W. (2016). A Study on Curriculum Implementation of 2015 Revised Curriculum of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Key Competencies. 새국어교육, 107, 173-205. 

  24. Lee, H. J. (2016). A Study on Relationship between Application of Backward Design Model to Physical Education of Leisure Activity Units of Elementary School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Early Childhood Physical Education, 16(2), 25-33. 

  25. Lee, T. K. (2015). Identify Desired Results First: Backward Instructional Design in Physical Education. The Journal of Measurement and Evaluation in Physical Education and Sport Science, 17(2), 73-86. 

  26. Lee, T. K., & Lee, H. J. (2015). Collaborative Problem Solving Ability in Physical Education Using Backward Curriculum Design.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6(4), 917-934. 

  27. Lim, Y. J., Choi, Y. H., & Hong, Y. J. (2016). A Study on the Instructional Design Invention Unit of Technology Education in Middle school based on Understanding by Design Framework.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9(2), 77-92. 

  28. McTighe J., & Wiggins, G. (1999). The Understanding by Design Handbook.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9. McTighe J., & Wiggins, G. (2004). Understanding by Design : Professional development workbook.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30. McTighe J., & Wiggins, G. (2013). Essential Question : Opening doors to student understanding.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31. Ohn, J. D. (2013). Examination of How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Integrated Understanding by Design with Differentiated Instruction.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4(1), 25-41. 

  32. Park, I. S. (2012). A Study on an application of backward design for Methematics: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methematics ration-graph unit. The Journal of Curriculum Studies, 30(4), 109-137. 

  33. Park, I. S. (2016). A Study on an Application of Literature unit by Backward Design.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9(2), 129-153. 

  34. Park, I. S. (2017). Development of interdisciplinary integrated unit based on backward design. Journal of Curriculum Integration, 11(2). 47-66. 

  35. Ryu, J. M., & Park, M. J. (2016). Restructuring of backward design for elementary Art Education. Art Education Research Review, 30(4), 23-47. 

  36. Son, K. W. (2016). Improvement of the Effectiveness of Character Education Program. Journal of Ethics Education Studies, 41, 49-78. 

  37. Sohn, J. H. (2016). A Study on an Application of Backward Design for Art Curriculum Development. Journal of Research in Art Education, 17(1), 29-51. 

  38. Wang, S. S. (2011). 가정과학 교육과정 개정 시안-가정과학 시안발표-. 실과(기술.가정) 공통교과 및 선택과목 교육과정개정 시안 토론회 자료집.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pp129-142. 

  39. Wang, S. S. (2016). An Exploratory study on the Direction of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ed with the future social change : focusing on the new recognition of the characteristic as the Subjects for Life and Happiness.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8(3), 17-32. 

  40. Wang, S. S. (2017).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 및 핵심개념-가정과의 '역량'을 '가르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 Proceedings of the 2017 Autumn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Conference (pp51-87). 

  41. Wang, S. S., Kwon, Y. J., Kim, J. W., & Jeong, M. K. (2011).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기술.가정교과의 가정과교육 분야 교육과정 개발(안). 2011'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개정 시안 연구 제 1차 워크숍 자료집.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pp70-91. 

  42. Wang, S. S., Y. K., Kim, Yoo, I. Y., Lee, G. S., Kim, D. N., Kim, T. W., & Jeong, J. W. (2017). 고등학교 기술.가정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수.학습 자료 연구 보고서. 대전교육 2017-100, DaeJeon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43. Wang, S. S., Kim, D. N., Y. K., Kim, Kim, T. W., Yoo, I. Y., Lee, G. S., & Jeong, J. W. (2018).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수.학습 자료 고등학교 [기술.가정]. at http://www.edunet.net/nedu/ncicsvc/listTchLearn2015.do?boardNum3&menu_id703, Ministry of Education. 

  44. Yi, J. E., & Kang H. S. (2010). In Search of the Applicability of Backward Design to Elementary Classroom. The Journal of Elementary Education, 23(2), 383-409. 

  45. Yi, J. E., & Kang H. S. (2012). A new model development of backward design: Focusing on improve model. The Journal of Research in Education, 45, 87-114. 

  46. Yoo, S. J., & Lee, Y. S. (2018). Sysstematic Development of Instruction for Family Life Planning of High School Curriculum for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Based on Backward Design.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6(1), 33-54. 

  47. Yun, S. (2009). Development of understanding-oriented elementary social studies economics un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Korea. 

  48. Wiggins, G., & McTighe, J. (1998). Understanding by design. Alexandria, V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49. Wiggins, G., & McTighe, J. (2005). Understanding by design.(Expanded 2nd). Alexandria, VA: ASCD. 

  50. Wiggins, G., & McTighe, J. (2005). Understanding by design: Handbook(2nd ed.). Alexandria, VA: ASCD. 

  51. Wiggins, G., & McTighe, J. (2011). The Understanding by design Guide to creating High-Quality Units. Alexandria, VA: ASCD. 

  52. 교육부 (2015).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별책 10]. Ministry of Educ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