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체육교육에 대한 대학생들의 융합적 인식 연구
The Study on the Convergence Perception of College Students for the Physical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9 no.7, 2018년, pp.125 - 133  

유영설 (수원농생명과학고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체육교육에 대한 대학생들의 융합적 인식을 탐색하여 체육교육에 대한 반성적 자료를 얻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인간의 주관적 인식을 탐색할 수 있는 방법인 Q방법론을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학생 30명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4개의 유형이 탐색되었다. 첫째, '전문성 강조형'으로 정의한 유형 1은 체육수업에서 보다 전문적인 종목별 운동기능과 기본 체육이론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둘째, '교수방법 강조형'으로 정의한 유형 2는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효율적인 교수방법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셋째, '필수과목 요구형'으로 정의한 유형 3은 체육교육의 필수과목요구와 체육수업시수의 증대 등을 강조하였다. 넷째, '생활체육 강조형'으로 정의한 유형 4는 체육교육은 원활한 사회생활을 위한 체력증대 및 사회성 함양 그리고 생활체육과 연계성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체육교육에 대한 반성적 자료를 제공함으로서 효과적인 체육교육계획을 수립하는데 기여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ollege students' subjective perception on physical education using Q-methodology. Thirty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is study found four types of college students' perception for physical education. Type I is named 'the type of Emphasizin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Q방법론을 활용하여 대학생들이 인식하는 체육교육에 대한 태도 유형과 그 특성을 파악하고자 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체육교육에 대한 인식유형과 그 특성을 탐색하여 학교의 체육교육에 대한 반성적 사고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결과 대학생들의 체육교육에 대한 주관성은 전문성 강조형, 교수방법 강조형, 필수과목 요구형, 생활체육 강 조형의 4가지 유형으로 정의되었고, 다음과 같이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체육교육에 대한 인식 유형을 고찰하고 이들이 21세기 체육교육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 가를 탐색하고자 출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대학생들이 이해하고 느끼는 체육교육에 대한 인식을 진단하였다.
  • 따라서 이러한 한계를 보완하기 위해 중등교육과정을 이수한 성인을 대상으로 체육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체육교육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교육과정이 수자 관점에서의 체육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연구는 체육 교육에 대한 의미 있는 반성적 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판단한다.
  • 본 연구는 대학생들의 체육교육에 대한 인식 유형을 고찰하고 이들이 21세기 체육교육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 가를 탐색하고자 출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1세기 대학생들이 이해하고 느끼는 체육교육에 대한 인식을 진단하였다. 이를 위해 D광역시의 C대학교 재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1세기 체육교육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유형화하였다.
  • 본 연구는 체육교육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을 탐색하여 4가지 유형을 정의하였다. 특히,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한 학교현장에서의 체육교육에 대한 보다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체육교육실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주관성 연구’라는 사회과학의 객관성을 담보한 계량연구와는 다른 차원의 방법론을 활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체육교육의 목적이 영향을 받은 두 개의 사상은? 체육교육의 목적은 시대에 따라 많은 변화를 거쳤으나 크게 두 개의 사상에 의해 영향을 받아 왔다. 먼저, 19세기부터 20세기 초에 강조된 ‘신체의 교육(education of the physical)’사상이다. 신체의 교육은 심신일원론적인 사상을 바탕으로 체육교육은 신체의 발달을 주된 목표로 하였다. 그러나 이 사상은 체육의 범위를 신체의 외형적인 발달에 한정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2]. 다른 하나는 20세기 초에 이르러서 미국의 진보주의 교육사상의 영향으로 ‘신체를 통한 교육(education through the physical)’이다. 신체를 통한 교육은 Williams[3]가 체육을 전인교육을 위한 중요한 교과목으로 주장하면서 강조되었는데 이는 체육의 학문화 과정과 맞물려 체육이 교육적 당위성을 확고히 하는데 부합하면서 오늘에 이르기까지 체육의 가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2,4]. 이러한 가치를 반영하여 우리나라의 2009개정교육과정에서는 ‘신체활동의 가치’와 더불어 도전, 건강, 표현, 여가, 경쟁의 다섯 가지 가치를 중심으로 내용을 강조한 바 있다[1,5].
체육교육의 목표는? 체육교육의 목표는 전인적 인간을 육성하는데 있다. 즉, 체육교육은 지행과 덕행 그리고 신체가 조화롭게 형성된 인간을 육성하는 교과이다.
체육교육은 어떤 교과인가? 체육교육의 목표는 전인적 인간을 육성하는데 있다. 즉, 체육교육은 지행과 덕행 그리고 신체가 조화롭게 형성된 인간을 육성하는 교과이다. 대부분의 교과가 주로 지적인 활동을 통하여 인지적 능력 향상을 교과목표로 설정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신체활동을 통해 전인적 인간 형성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1]는 점에서 체육 교과의 독특성과 중요성은 강조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Ministry of Education(2011).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2011(361). 

  2. Y. O. Ahn. (1994). Subject Matter Knowledge and Skill as Concepts for Justifying Physical Education in The School Curriculum.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1, 1-9. 

  3. Williams, J. F.(1965). The Principles of Physical Education. Philadelphia: W. B. Saunder Company. 

  4. S. G. Kim. (2016). A Study Goal of The Physical Education: In terms of The 'Education of The Physical.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21(4), 11-25. 

  5. J. W. Lee & C. G. Park(2017). The Analysis on interest of the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bout the revised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in 2015.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7(5), 165-173. 

  6. O. S. Lee & E. C. Choi & H. S. Jung. (2017). A Systematic Review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ontinuing Professional development.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24(3), 1-23. 

  7. M. J. Kwon & K. S. Kim. (2011). Research on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rofessional Factors in Middle School according to Practicing Experiences of Instruction Consulting.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18(4), 145-163. 

  8. E. C. Choi. (2011). Reexamining Professionalism of Sport Professionals: The Role and Education of the Spiritual Dimension.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18(2), 1-25. 

  9. J. A. You. (2000). Research on Expertise in Teaching,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7(2), 41-59. 

  10. I. S. Nam. (2014). Effect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Behaviors on Learning Motivation and Help-seeking Behaviors for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19(1), 15-29. 

  11. J. H.. Pyo & K. M. Lee & S. H. Jeong. (2010). The Effect of Intrinsic Motivation of Physical subject and Teaching Behavior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 on Class Satisfaction in Physical Educ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15(2), 311-324. 

  12. J. A. You & Y. K. Jin. (2016). Exploring Convergence Instructional design for Physical Education Activity in Free Semester System throughout Olympic Education.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23(1) 23-39. 

  13. G. I. Lee. (2012). Exploration on Analytic Framework and Instructional Content for Designing Integrative Physical Education : In Basis of Territorial Competent Activity.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60(4), 1169-1203 

  14. H. C. Cho & Y. H. Seo. (2015). The Differences in Important Recognition Degree about the Aspect and the Features of 'Good PE Class' between Secondary School Preliminary Teachers and In-Service Teachers. Holistic Research, 19(4), 173-191. 

  15. S. H. Lee & S. B. Choi & J. H. Jung. (2011). Importance Analysis for Conceptions on 'Good Teaching' of Novice and Expert Physical Education Teacher in Secondary Schoo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16(2), 15-29. 

  16. J. L. Park. (2007). An Analysis for the Improving Physical Education Class Culture. Korean Journal of Sport Pedagogy, 14(4), 25-42. 

  17. K, S. Park. (2017). A Study on Structural Relations between Type of Physical Education Class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ir Academic Interest and Participation Will in a clas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22(1), 111-123. 

  18. E. J. Kim, & K. I. Jung & J. W. Park. (2012). Positive Understanding on Physical Education Class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Class Diarie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17(3), 63-77. 

  19. B. J. Lee, & J. W. Kim, & J. W. Yi. (2011). A Study on The Students' Perception and Preference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Behavior.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16(2), 29-42. 

  20. Kerlinger, F. N.(1986). Foundations of behavioral research(3rd ed), New York: Holt, Rinehart, and Winston. (Chapter on "Q Methodology"). 

  21. Goe, L.(2007). The link between Teacher Quality and Student Outcomes: A Research Synthesis. Washington, DC: National Comprehensive Center for Teacher Quality. 

  22. O. S. Lee. (2018) In-Servic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England for Quality Elementary Physical Education: Trend and Its Implications for Korean In-servic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22(1), 1-13. 

  23. I. H. Lee. (2012). Study on the outlook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on the Unit Construction of Revised Physical Education Textbook: centering around physical education history. Teacher Education Research, 51(1), 106-117. 

  24. P. S. Lee. (2004). Efficient Programs for Middle School Physical Education's Curriculum through Complementary Connection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and Life Sports.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hysical Education 14(1), 1-12. 

  25. C. H. Lee, & J. W. Kim. (2012). Effects of School Sport Activity Using the Community Sport Facilities on Sport Activity Satisfaction and Physical Education Class Attitud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Physical Education, 16(4), 159-172. 

  26. J. Y. Lim. (2007). A Study on the Outlook of Physical Education Teachers on the Unit Construction of Physical Education History in Middle School. Master's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cheongbuk-do. 

  27. J. H. Lee. (2017). The Study of Religious Meaning of Sports. Journal of Korea Society for Wellness, 12(2), 195-205. 

  28. S. N. Nam & K. T. Eo. (2018). A Study on the Development Process and Status of Korean Marathon.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4), 357-371. 

  29. K. S. Oh & E. K. Suh & H. J. Chung(2018). A study on development of educational contents about combining computational thinking with design think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5), 65-73. 

  30. L. S. Ahn(2018). Subjectivity about North Korean refugee: A Q-methodology Approach.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2), 37-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