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한 노인빈곤 결정요인 분석
Determinant of the Elderly Poverty Using Decision Tree Analysi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7, 2018년, pp.63 - 69  

박미영 (대구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6차 년도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노인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성별, 연령, 교육수준, 건강상태와 같은 노인의 개인적 특성, 거주지역, 가족 구성 형태와 같은 노인가구의 특성, 근로소득 유무, 임금근로자 여부와 같은 노인 근로적 특성, 그리고 공적연금수급 여부, 사적연금수급 여부, 사회보장급여수급 여부, 부동산 소득 여부, 개인연금형태 수입 여부와 같은 은퇴 후 근로 외의 발생소득 특성을 노인빈곤 변인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6차 년도 조사대상 5,254가구 중 65세 이상 그리고 노인가구를 분류한 후 결측값이 포함된 것을 제외한 총 3,418명이 분석에 활용하였다. 의사결정나무분석 결과, 노인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변인은 근로소득 유무로 나타났다. 근로소득이 없는 빈곤노인의 경우 공적연금수급 여부, 교육수준, 거주지역이 그리고 근로소득이 있는 빈곤노인의 경우 임금근로자 여부와 성별이 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이런 분석결과를 토대로, 노인빈곤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Senior re-employment 노동환경 조성, 무료 직업교육 프로그램 개발 제공, 공적연금 수급 확대 및 미래연금수급 안전성 보장 및 강화 차원의 현행 연금제도 개선 필요성, 여성 노인 우선적 고용 및 임금근로 조건에 의한 노인 고용 업체 인센티브 제공 등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the elderly poverty by using the Decision-tree analysis. In line with this perspective, this study includes individual characteristics, family characteristics, working characteristics, and periodic income characteristics after retirement as determinants 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즉 그간에 다루어진 노인빈곤 원인을 확대 및 추가하여 개인적 특성, 노인가구의 특성, 노인 근로적 특성, 은퇴 후 근로 외의 발생소득 특성으로 분류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6차 년도(2015년) 국민 노후보장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시간적 변화를 반영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6차 년도(2015-2017년) 국민노후보장패널 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노인빈곤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을 찾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성별, 연령, 교육수준, 건강상태와 같은 본인의 개인적 특성, 거주지역, 가족 구성 형태와 같은 노인가구의 특성, 근로소득 유무, 임금근로자 여부와 같은 노인 근로적 특성, 그리고 공적연금수급 여부, 사적연금수급 여부, 사회 보장급여수급 여부, 부동산 소득 여부, 개인연금형태 수입 여부와 같은 은퇴 후 근로 외의 발생소득 특성을 노인 빈곤 변인으로 선정하였다.
  • 본 연구는 노인빈곤 원인을 규명하기 위해 한국연금 공단에서 실시하고 있는 6차 년도(2015-2017년) 국민노후보장패널조사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고자 한다. 6차 년도 조사대상 가구는 5,254가구였다.
  • 본 연구는 노인빈곤 원인을 밝혀내기 위해 의사결정 나무분석을 활용하고자 한다. 의사결정나무분석은 각 자료 내에 존재하는 관계와 규칙을 탐색하고 찾아내어 나뭇가지 모양의 나무구조로 도형화하여 분류모형을 제공하는 분석기법이다.
  • 본 연구는 최옥금(2009)과 홍백의(2005)의 노인빈곤의 판단기준인 가구의 총소득을 균등화 지수로 조정한 가구 균등화 소득을 활용하여 중위소득을 구한 다음 이 중위 소득의 40%에 해당하는 소득을 빈곤선으로 정의하고 이를 활용하고자 한다.
  • 둘째, 노인 가구의 특성도 노인 빈곤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거주지역 (대도시, 중소도시), 가족 구성 형태(배우자, 배우자+손자 녀, 1인 단독가구)를 노인가구의 특성 변인으로 선정하고자 한다. 셋째, 노인가구의 근로적 특성이 노인빈곤과 직접적인 상관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근로소득 유무, 임금근로자 여부를 선정하고자 한다. 끝으로, 은퇴 후 근로 외의 발생하는 소득의 여부에 따라 노인빈곤이 달라짐을 고려할 때, 공적연금수급 여부, 사적연금수급 여부, 사회보장급여수급 여부, 부동산 소득 여부, 개인연금형태 수입 여부를 포함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는 노인빈곤 원인을 포괄적이고 보편적인 관점에서 그간에 언급된 노인 빈곤의 원인을 확장하여 규명해 보고자 한다. 즉 그간에 다루어진 노인빈곤 원인을 확대 및 추가하여 개인적 특성, 노인가구의 특성, 노인 근로적 특성, 은퇴 후 근로 외의 발생소득 특성으로 분류하고자 한다.
  • 이후 일부 연구[11]에서 이런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더많은 원인변수를 반영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종단면적 혹은 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노인빈곤 원인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지나치게 가구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역점을 둠으로써 노인빈곤의 원인을 가정적 요인과 개인적 요인에만 국한하였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려울 것이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 검토를 토대로 노인빈곤 원인을 선정하였다. 첫째, 노인빈곤은 노인의 개인적 특성과 밀접한 상관성을 지니는 만큼 본 연구에서는 성별, 연령(65세 이상), 교육수준(중등교육, 고등교육), 건강상태(나쁨, 좋음)를 포함하고자 한다. 둘째, 노인 가구의 특성도 노인 빈곤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에 기반하여, 거주지역 (대도시, 중소도시), 가족 구성 형태(배우자, 배우자+손자 녀, 1인 단독가구)를 노인가구의 특성 변인으로 선정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본 연구는 노인빈곤 결정요인을 규명하는데 있어서 다음과 같은 한계가 있었다. 첫째, 본 연구가 결정한 노인 빈곤선과 실제의 노인 빈곤 간에 어느 정도 차이가 있을수 있다. 이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초생활수급대상 노인을 포함한 모델을 구축하여야 했으나 그러지 못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의사결정나무분석이란 무엇인가? 본 연구는 노인빈곤 원인을 밝혀내기 위해 의사결정 나무분석을 활용하고자 한다. 의사결정나무분석은 각 자료 내에 존재하는 관계와 규칙을 탐색하고 찾아내어 나뭇가지 모양의 나무구조로 도형화하여 분류모형을 제공하는 분석기법이다. 이 분석기법은 관측치의 선형성, 정규성, 등분산성의 가정을 고려할 필요가 없는 비모수적인 방법이다.
근로소득과 관련한 노인빈곤을 해결하려는 정부의 노력으로는 무엇이 있는가? 은퇴 후경제활동에 배제됨으로써 노인들의 삶의 질이 저하뿐만 아니라 나아가 인간으로서의 기본적인 삶조차도 영위하기 어려워지고 있는 것이 바로 소득이 없기 때문이라는 것은 이미 주지된 사실이다. 이에 정부가 노인일자리 창출 및 기초노령연금제도 등을 시행하고 있으나 여전히 노인빈곤을 해결하는데 역부족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한국 평균 수명이 80대 초반이며 앞으로 수명이 더 연장될 것을 고려한다면, 건강한 노인이 경제활동에 참여할수 있는 근로환경을 조성하는 것은 매우 시급한 문제임을 두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 이전 연구의 한계점을 극복하기 위해 노인 빈곤의 원인을 확장하여 규명하는데 어떤 방법을 사용했는가? 이에 본 연구는 노인빈곤 원인을 포괄적이고 보편적인 관점에서 그간에 언급된 노인 빈곤의 원인을 확장하여 규명해 보고자 한다. 즉 그간에 다루어진 노인빈곤 원인을 확대 및 추가하여 개인적 특성, 노인가구의 특성, 노인 근로적 특성, 은퇴 후 근로 외의 발생소득 특성으로 분류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6차 년도(2015년) 국민 노후보장패널조사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시간적 변화를 반영하고자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http://www.yonhapnewstv.co.kr/MYH20180418002600038/?did1947m 

  2. T. W. Kim, J. W. Jung & J. M. Lee. (2015). A Study of Elderly Poverty and Depression: Focusing on the Multidimensional Concept of Poverty.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5(3), 71-102. 

  3. S. H. Lee. (2015). Change in Household Consumption Expenditure Structure in 2015: Based on Effect of Increasing Elderly Population on Economy. KB Knowledge Vitamin, 15-19. 

  4. S. H. Seok. (2010). An Analysis on the Anti-poverty Effectiveness of the Basic Old-Age Pension System.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50, 335-352. 

  5. J. E. Seok. (2010). Impacts on the Effectiveness and the Efficiency of Poverty Alleviation of Public Pension and Basic Old-Aged Pension: Seoul Metropolitan City. Social Welfare Policy, 37(3), 193-214. 

  6. K. D. Nam. (2010). Korean Elders' Poverty and Basic Old Age Pension's Measures for Mitigating Their Poverty. Welfare Administration Study, 26, 235-260. 

  7. S. H. Him. (2016). An Analysis on the Poverty Reduction Effects of Basic Pension. Health and Welfare Policy Forum, 236, 82-97. 

  8. H. G. Jung, J. A. Jo, H. Y. Oh, G. J. Byeon & S. H. Moon. (1998). The 1998 Elderly Living Condition Survey. Korean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9. H. S. Choi & Y. K. Ryu. (2003). A Study on the Levels, Trends, and Composition of the Old-Age Poverty in Korea.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3(3), 143-160. 

  10. B. E. Hong. (2005). Factors Influencing the Economic Status of the Elderly in Korea.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7(4), 275-290. 

  11. O. G. Choi. (2007). Factors Influencing Poverty of the Elderly: Utilizing the Panel Data Model.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59(1), 5-25. 

  12. J. S. Choi. (2009). Study on the Cause and Improvement Measures of Poverty in Seniors.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23(1), 457-467. 

  13. S. H. S & H. S. Kim. (2012). Determinants of Poverty in Elderly-Headed Households in Korea. Korean Journal of Public Finance, 5(3), 99-124. 

  14. M. J. Hwang. (2016). Determinant of Poverty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Using Decision Tree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Knowledge Information Technology Society, 11(4), 351-358. 

  15. D. K. McLaughlin & L. Jensen. (2000). Work History and US Elders' Transitions into Poverty. The Gerontologist, 40(4), 469-479. 

  16. K. A. Rupp, A. Strand & P. S. Davies. (2003). Poverty among Elderly women: Assessing SSI Options to Strengthen Social Security Reform. Journal of Gerontology, 58B(6), s359-s368. 

  17. D. K. McLaughlin & L. Jensen. (1994). Poverty Dynamics among U.S. Elders: Implications of Occupation, Gender and Residence. paper prepared for presentation at the 1994 Meetings of the Population Association of America. 

  18. R. B. Schiller. (2003). The Economics of Poverty and Discrimination. Prentice Hall. 

  19. K. McGarry & R. F. Schoeni. (2005). Widow Poverty and Out-of-Pocket Medical Expenditures near the End of Life. Journals of Gerontology, 60, s160-s168. 

  20. K. Z. Hong. (2004). Analyzing the Length of Poverty Spell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24, 187-210. 

  21. H. J. Jin. (2010). Analysis for Consumer Groups Using Decision Tree Model: Focused on Tangerine Consumption. Korea Agricultural Research, 51(1), 19-4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