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로안전시설물 평가를 위한 가상현실 운전 시뮬레이션 구축
Virtual Reality Driving Simulation for Evaluation of Road Safety Facilitie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7, 2018년, pp.249 - 257  

채병훈 (아주대학교 산업공학과) ,  채호근 (아주대학교 산업공학과) ,  이주연 (아주대학교 산업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신기술이 융합된 도로안전시설물에 대한 평가기준 탐색 및 평가를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환경 구축을 목적으로 하였다.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을 위해서는 높은 현실감과 정확한 행동 데이터 추출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Unreal Engine을 활용하여 주변 환경을 외부환경과 차량환경으로 나눠 제작하였다. 외부환경은 주변 환경, 날씨, 시간대, 타 차량으로 나눠 제작하였으며 차량환경은 승용차와 화물차를 요인으로 제작하였다. 이후, 발광 도로표지병에 대한 샘플 시뮬레이션 제작 및 사전실험을 진행하여, 도로표지병이 5m 간격이 10m 간격보다 더 차선유도를 잘한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차후 새로운 기술이 접목된 새로운 도로안전시설물에 대한 평가기준에 대한 탐색을 위한 시뮬레이션 작성에서도 활용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다른 도로시설물에 대한 모델링 및 샘플 컴포넌트를 추가하여 다양한 환경에 대한 시뮬레이션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a virtual reality simulation environment for searching and evaluating evaluation criteria for road safety facilities with new technologies. Virtual reality simulation requires high realism and accurate behavior data extraction. To do this, we used the Unrea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현실감 높은 환경구축과 사용자 행동에 따른 주행데이터를 통해 도로안전 시설물 평가 기준 탐색과 평가를 위한 가상현실 운전 시뮬레이션을 구축하고자 한다.
  • 도로표지병은 설치 간격에 따라 자재투입정도와 공사의 크기가 천차만별이 될 수 있다[17]. 따라서 본 샘플 시뮬레이션에서는 도로표지병의 설치 간격을 5m 간격과 10m 간격에 대하여 비교하는 평가 시뮬레이션을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Fig.
  • 본 연구는 산업의 발전에 따라 나타나는 다양한 산업기술이 융합된 도로안전시설물에 대한 평가 기준에 대한탐색과 평가를 위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환경을 구축하였다. 가상현실 시뮬레이션 구축은 도로환경과 차량환경으로 나눠 구축하였다.
  • 가상현실의 최대 장점으로는 실제로 일어날 확률이 적은 환경 혹은 상황을 만들고, 실제로 겪어보거나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9, 10]. 새로운 기술이 융합된 도로안전 시설물에 대한 평가를 위한 기준을 탐색하고, 그 기준을 평가 할 수 있는 가상환경 운전 시뮬레이션 구축을 그 목표로 한다.
  • 위의 컴포넌트들과 들을 활용하여 샘플 시뮬레이션을만들어 사전실험을 진행해 보았다. 이를 통해 시뮬레이션이 데이터를 적절히 수집하는지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상현실란 무엇인가?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은 컴퓨터에서 만들어진 환경 혹은 상황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사용자와 상호작용을 통해 몰입감을 극대화하는 인터페이스라고 할 수있다[5, 6]. 가상현실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발전에따라 게임뿐만 아니라 의료, 건축, 교육, 제품설계, 소매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7, 8].
가상현실의 최대 장점은? 가상현실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발전에따라 게임뿐만 아니라 의료, 건축, 교육, 제품설계, 소매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7, 8]. 가상현실의 최대 장점으로는 실제로 일어날 확률이 적은 환경 혹은 상황을 만들고, 실제로 겪어보거나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점이다[9, 10]. 새로운 기술이 융합된 도로안전 시설물에 대한 평가를 위한 기준을 탐색하고, 그 기준을 평가 할 수 있는 가상환경 운전 시뮬레이션 구축을 그 목표로 한다.
새로운 기술이 접목된 도로안전 시설물의 사례는? 최근에는 도로안전시설물과 다양한 기술을 접목하는기술과 이를 실제 도로에 적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2, 3]. 예를 들어 태양광 충전지가 들어간 도로표지병, LED 시선 유도 시설, 도로상황정보 수집을 위한 IoT 도로 표지판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하지만 새로운 기술이 접목된 도로안전 시설물에 대한 평가기준에 대한 정립이 되어있지 않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S. Y. Son & H. W. Sin. (1998). Classification of traffic accident severity classification using data mining. Proceedings of the Fall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for Industrial Technology, 542-549. 

  2. H. K. Sung & K. S. Chong. (2017). An Study on Securing the Stability of Road Sign through Analysis of wind data according to types of measurement.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2), 77-84. 

  3. G. I. Kim, Y. C. Kim & J. K. Lee. (2016). An Efficiency Authentication Security Mechanism of VANET in Highway,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6(3), 57-64. 

  4. J. J. Park, D. N. Kim & Y. J. Park. (2017). The Introduction and Activation Plan of Driving Simulator Experiment Facility. KSCE 2017 Convention, 1848-1849. 

  5. M. H. Kim. (2017). The Effect of Performing Leader's Role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in Small Group Collaborative Learning in Virtual Real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1), 67-76. 

  6. S. Jayarams, J. Vance, R. Gadh, U. Jayaram & H. Srinivasan. (2001). Assessment of VR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s to engineering problems. Journal of Computing and Information Science in Engineering, 1(1), 72-82. 

  7. J. H. Lee. (2018). A Study on the Educational Use of Augmented Reality Based Mobile Education Content - Case Analysis of Mobile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 for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24(1), 569-585. 

  8. J. S. Kim. (2016). The Design and Development of Healing Depression Convergence Content using Movement of Thought, HMD, Leap Motion, Color and Music Therap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3), 45-51. 

  9. K. J. Lee, J. H. Woo & H. S. Kim. (2018). Extensible Evaluation and Analysis System for Virtual Training using Experiential Knowledge of Expert. KIISE Transactions on Computing Practices, 24(3), 122-128. 

  10. N. E. Kim, Y. L. Kim, S. C. Moon, D. H. Lee, H. J. Lim, E. K. Jang, J. E. Hung & J. H. Kang. (2018). The Effect of Dynamic Balance on Cyber Motion Sickness of Full Immersion Virtual Reality.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1), 131-138. 

  11. C. H. Lee, Y. G. Bae & S. S. Kim. (2003). Development of APC based Low Cost Virtual Reality Driving Simulator for Driving Practice.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1097-1102. 

  12. W. H. Cheon & H. J. Cho. (2006). Development of methodology for Evaluating Road Safety. Korean Society of Transportation, 52, 156-161. 

  13. D. J. Yang, S. K. Park & Y. H. Uhm. (2016). Impact of Virtual Reality Based Neuromuscular Postural Control Fusion Training on Balance Ability and Jump Performance of Soccer Players with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11), 357-367. 

  14. J. M. Kim, K. S. Noh & S. K. Lee. (2007). Application of Driving Simulator to Evaluate Road Facility.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Conference, 1804-1807. 

  15. M. J. Lee. (2013). A Study on Game Production Education through Recent Trend Analysis of 3D Game Engin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4(1), 15-20. 

  16.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Statistics System. (2016). Motor Vehicle Registration by Year. 

  17. D. K. Kim, Y. S. Kim & G. S. Noh. (2000). A Study on the Guidelines for Installation of Raised Pavement Marker. Proceedings of the KOR-KST Conference. 38(0), 455-46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