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급성 발목 염좌에 대한 족관절의 관절가동술이 보행과 고관절 근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nkle stability exercise and Mobilization on Hip Muscle Strength and Gait in Patients with Acute Ankle Sprain 원문보기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Orthopedic Manual Physical Therapy, v.24 no.1, 2018년, pp.39 - 46  

정상모 (경인의료재활센터병원 재활센터) ,  이재남 (경인의료재활센터병원 재활센터) ,  전재형 (쌍용자동차 서비스지원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In most human lives, 80 percent have problems with the ankle and can be solved with a treatment that is objective in proper assessment. Discrepacts in the ankle are also associated with walking patterns and affect hip and knee joints. An evaluation of hip flexion and extensor muscles w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급성 발목 염좌가 있는 환자에게 관절 가동술과 안정화 운동 적용 후 고관절 근력 변화에 대한 연관성을 확인하는 연구로 진행되었다. 급성 발목 염좌로 비수술적인 치료를 받은 환자에게 관절가동술 적용은 발목 부위 근력을 강화하고, 인대를 보호하는 역할을 통해 발목의 불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고유수용성 감각을 향상시켜 전체적인 자세 균형의 빠른 회복과 재손상으로 인한 위험 요소에 노출되는 것을 감소시킨다(Digiovanni와 Brodsky, 2006).
  • 본 연구는 급성 발목 염좌가 있는 환자에게 관절 가동술과 안정화 운동을 적용하여 고관절의 신전근과 굴곡근의 변화를 통하여 두 군 간의 치료적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얻었다.
  • 이전 연구들에서는 급성 발목 염좌가 있는 환자들은 치료 적용 후 발목 근력의 변화를 비교하는 연구들이 있었지만, 고관절 근력에 따른 보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위와 같이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본 연구는 급성 발목 손상 환자에게 관절가동술과 안정화 운동을 적용 후 달라진 변화를 비교하고, 손상된 발목의 동측 고관절의 굴곡근과 신전근의 근력변화 평가와 보행 결과가 어떠한 변화가 있는 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발목의 역할은 무엇인가? 발목의 병변은 보행 패턴과도 연관성 있으며, 고관절과 슬관절 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Magee 2009). 발목은 신체에서 가장 원위 부위에 위치하고 전체 균형 유지에 있어서 자세-조절 전략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Cote 등, 2005).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여가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운동과 스포츠 활동을 즐기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발목의 손상 위험도 높아지고 있다(유태섭 등, 2004).
급성 발목 염좌는 해부학적으로 어떻게 나눌 수 있나? 15명으로 15~19세에서 가장 많으며, 남성이 여성 보다 같은 연령대에서는 높은 발생 빈도를 보였다(Waterman, 2010). 급성 발목 염좌는 관절 주변에 있는 인대 손상에 의해서 발생이 되며, 해부학적으로 내측 발목 염좌, 경비 인대 염좌, 외측 발목 염좌 등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손상으로는 내번력으로 인한 발목 외측부의 급성 인대손상인 외측 발목 염좌로 85%를 차지한다(Ferran와 Maffulli, 2006). 급성 발목 염좌는 내측 인대에 비해 상대적으로 외측 인대지지 구조가 약하기 때문에 관절이 내번된 상태가 자주 반복되거나 외부에 의한 외력으로 인한 손상에 노출되면서 외측부위 발목 염좌가 쉽게 발생된다(Garrick, 2008).
발목의 손상 중 외측부 염좌가 있는 환자들은 만성통증, 부종이나 재발성 염자를 동반하는 증상을 보였는데 이 중 4% 환자들이 보인 증상은 무엇인가? Konradsen(2002) 등은 발목의 손상 중 외측부 염좌가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적인 치료를 통한 결과를 보고하였을 때, 7년 동안 32% 정도의 환자들은 만성통증, 부종이나 재발성 염좌를 동반하는 증상을 보였다. 이중 4%의 환자들은 안정 상태에서도 심각한 통증과 기능 장애를 갖고 있었다. 급성 발목 손상을 보인 환자들에게 통증과 부종이 나타나는 시점에 RICE(protection,rest, ice, compression, elevation)을 적용한 후, 아무런 치료적 조치를 받지 않은 군에 비해 상대적으로 증상 호전되는 효과가 있었고, 관절가동술 적용 후 관절 범위 향상과 발목 부위의 근력 향상으로 환자들에게 자세적으로 안정성 변화를 가져왔다(Slayer 등,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김학준. 족관절 염좌의 보존적 치료.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2014;49(1):7-12. 

  2. 유태섭, 박동석, 강성길. 족관절 염좌의 치료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4;21(1):168-176. 

  3. 류석규, 이종훈. 발목관절의 질병유무가 고관절의 등속성 근기능에 미치는 영향. 2012;21(2):1239-1248. 

  4. 서지선. Thera-band 운동이 발목 염좌 환자의 유연성과 근력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5. 

  5. Beckman SM, Buchanan TS. Ankle inversion injury and Hypermobility: Effect on Hip and Ankle Muscle Electromyography Onset Latency.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3;76(12):1138-1145. 

  6. Bernier JN, Perrin DH, Rijke A. Effect of unilateral functional instability of the ankle on postural sway and inversion and eversion strength. J Athl Train. 1997;32:226-232. 

  7. Cote KP, Brunt ME, Gansneder BM, et al. Effects of pronated and supinated foot postures on static and dynamic postural stability. J athl train. 2005;40(1):41-46. 

  8. Cutter NC, Kervorkian CG. Handbook of Manual Muscle Testing. New york: Mcgraw-hill. 2002. 

  9. Digiovanni CW, Brodsky A. Current concepts: lateral ankle instability. Foot ankle Int. 2006;27:854-866. 

  10. Earl JE. Gluteus medius activity 3 variations of isometric single-leg stance. J of sport rehab. 2005;14:1-11. 

  11. Ferran NA, Maffulli N. Epidemiology of sprains of the lateral ankle ligament complex. Foot Ankle Clin. 2006;11:659-662. 

  12. Friel K, McLean N, Myers C, et al. Ipsilateral Hip abdutor Weakness after Inversion Ankle Sprain.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2006;41(1):74-78. 

  13. Garrick G. The frequency of injury mechanism of inj ury and etiology of ankle sprain.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2008;5:241-247. 

  14. Kammski TW, Heather DH. Factors contributing to chronic ankle instability. A strength perspective. Journal of Athletic Training. 2002;37(4):394-405. 

  15. Khamis S, Yizhar Z. Effect of feet hyperpronation on pelvic alignment in a standing position. Gait and Posture. 2007;25(1):127-134. 

  16. Konradsen L, Bech L, Ehrenbjerg M, et al. Seven years follow-up after ankle inversion trauma. Scand J Med Sci Sports. 2002;12:129-135. 

  17. Lentell G, Baas B, Lopez D, et al. The contributions of proprioceptive deficits, muscle function, and anatomic laxity to functional instability of the ankle.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2;21(1):206-215. 

  18. Mackinnon CD, Winter DA. Control of whole body balance in the frontal plane during human walking. Journal of Biomechanics. 2006;26(6):633-644. 

  19. Magee DJ. Orthopedic physical assessment. B. saunders. Univ. of Alberta. Edmonton. canada. 2009. 

  20. Mchugh MP, Tyler TF, Tetro DT, et al. Risk factor for noncontact ankle sprains in high school athletes the role of hip stregth and balance ability. The American Journal of Sports Medicine. 2006;34(3):464-470. 

  21. Schmidt R, Benesch S, Friemert B. Anatomical repair of lateral ligament in patients with chronic ankle instability. Knee Surg Sports Traumatol Arthrosc. 2005;13:231-237. 

  22. Slayer MA, Hensley MJ, Lopert R.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piroxicam in the management of ankle sprain in Australian Regular Army recruits. the Kapooka Ankle Sprain Study. Am J Sport Med. 2001;25:544-553. 

  23. Van Uden CJ, Besser MP. Test-retest reliability of temporal and spatial gait characteristics measured with an instrumented walkway system(GaitRite). BMC Musculoskelet Disord. 2004;17(5):13-18. 

  24. Waterman BR, Owens BD, Drvey S. The epidemiology of ankle sprains in the United States. J Bone Joint Surg Am. 2010;92(6):2279-2284. 

  25. Wolfe MW, Uhl TL, Mattacola CG et al. Management of ankle sprains. Am Fam Physician. 2001;63(1):93-1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