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진으로 인한 액상화 지역 및 시설물 안정성 평가
Earthquake-induced Liquefaction Areas and Safety Assessment of Faciliti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9 no.7, 2018년, pp.133 - 143  

전상수 (인제대학교 토목도시공학부) ,  허대양 (경남도청 도시계획과) ,  이상승 (인제대학교 토목도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액상화는 지진이후 동반되는 2차 피해로서 국내의 경우 현대적 지진 관측이 실시된 이후에는 액상화 현상이 거의 보고되지 않았다. 그러나 최근 한반도 남동부에 위치한 양산단층 인근에서 2016년 9월 12일 규모 5.8의 경주지진과 2017년 11월 15일 규모 5.4의 포항 지진이 발생하였고, 포항 지진 당시 최초로 액상화 현상이 발생하여 한반도 또한 액상화의 안전지대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과 인접해 있으며 양산단층이 통과하는 김해시의 액상화 위험성을 예측하기 위하여 김해시 지역의 표준관입시험(274공) 결과를 바탕으로 각 행정구역과 양산단층과의 거리 산정, 지진규모 5.0, 6.5에 따른 최대지반가속도 값을 도출, 액상화 가능지수 산출, 지리정보체계를 이용한 크리깅의 순차적 연산을 통하여 액상화로 인한 시설물 피해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지진 규모 5.0 적용 시 김해시 액상화 발생 지역과 시설물 피해는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지진 규모 6.5 적용 시 낙동강 일대에 근접한 행정구역에 액상화 현상이 넓게 분포하였고, 시설물 피해도 상대적으로 크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iquefaction is one of secondary damages after earthquake and has been rarely reported until earthquake except Mw = 5.4 15 November 2017 Pohang earthquake in Korea. In recent years, Mw = 5.8 12 September 2016 Gyeongju earthquake and Mw = 5.4 15 November 2017 Pohang earthquake, which induced liquefa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진 발생과 함께 동반되는 최대지반가속도는 지질의 특성, 이격거리, 발생 심도에 따라 그 편차가 매우 큰 요소이며 지진관련 피해 예측, 영향 평가 연구 시 가장 실제와 근접한 값이 산정되어야 하는 항목이다. 최대지반가속도는 진앙지 부근에서 가장 크게 발생하며 이격거리가 증가할수록 점점 감소하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지진 발생 시 액상화 피해 영향을 모사하기 위하여 각 행정구역별 이격거리 산정후 감쇠식을 바탕으로 최대지반가속도 값을 산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액상화(liquefaction) 현상이란? 액상화(liquefaction) 현상은 지하수위가 높고 연약한모래, 사질토 지반에서 지진동으로 인해 지반 전체가 액체와 같은 유동성의 형태가 되는 것을 말한다. 이는 과잉간극수압과 유효응력의 감소, 토층의 전단강도 상실 등으로 인해 발생한다[1,2].
광역지역 액상화 피해 평가에서 최대지반가속도 크기를 평가 대상 지역 전체에 동일하게 적용했을 때 문제점은? 현재 국내에서수행된 광역지역에 대한 액상화 피해 평가는 지진으로인하여 발생한 최대지반가속도 크기가 평가 대상 지역전체에 동일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 방법은 지진발생 시 지하수위 및 지반특성을 반영한 액상화 피해와는 개연성이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액상화 안전율을 이용한 평가방법의 문제점은? 0 미만인 경우 ‘발생 가능’으로 평가한다. 그러나 이러한 액상화 안전율을 이용한 평가방법으로는 지반의 세부적인 피해정도를 예측할 수 없으며 넓은 지역의 액상화 피해 평가 시 국부적인 지역을 제외한광역지역의 피해를 예측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7]. 이러한 이유 때문에 최근 이루어지는 액상화 평가 연구는 대부분 Iwasak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S. L. Kramer, "Geotechnical earthquake engineering,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New Jersey, 1996. 

  2. T. L. Youd, I. M. Idriss "Liquefaction resistance of soils: Summary Report from the 1996 NCEER and 1998 NCEER/NSF Workshops on Evaluation of Liquefaction Resistance of Soils", Journal of Geotech. Geoenv. Eng., Vol. 127, No. 10, pp. 817-833, 2001. DOI: https://doi.org/10.1061/(asce)1090-0241(2001) 127:4(297) 

  3. S. Bhattacharya, M. Hyodo, K. Goda, T. Tazoh, C. A Taylor, "Liquefaction of soil in the Tokyo Bay area from the 2011 Tohoku (Japan) earthquake", Soil Dyn. Earthq. Eng., Vol. 31, pp. 1618-1628, 2011. DOI: https://doi.org/10.1016/j.soildyn.2011.06.006 

  4. M. Cubrinovski, B. Bradley, L. Wotherspoon, R. Green, J. Bray, C. Wood, M. Pender, J. Allen, A. Bradshaw, G. Rix, "Geotechnical aspects of the 22 February 2011 Christchurch earthquake", Civil & Naturl Resources Engineering, University of Canterbury & Christchurch, 2011. 

  5. T. D. O'Rourke, S-S. Jeon, S. Toprak, M. Cubrinovski, M. Hughes, S. van Ballegooy, D. Bouziou, "Earthquake response of underground pipeline networks in Christchurch, NZ", Earthquake Spectra, Vol. 30, No.1, pp. 183-204, 2014. DOI: https://doi.org/10.1193/030413EQS062M 

  6. J. Eidinger, "C.A Davis, Recent earthquakes: implications for US water utilities", Water Research Foundation, 2012. 

  7. T. L. Holzer, "Probabilistic liquefaction hazard mapping", Proc., 4th Conference. on Geotechnical Earthquake Engineering and Soil Dynamics, ASCE, Sacramento, CA., pp. 1-32, 2008. DOI: https://doi.org/10.1061/40975(318)30 

  8. T. Iwasaki, K. Tokida, F. Tatsuoka, S. Watanabe, S. Yasuda, H. Sato, "Microzonation for soil liquefaction potential using simplified methods", Proc., 3rd Int. Conf. on Microzonation, Seattle, WA. pp. 1319-1330, 1982. 

  9. D. H. Lee, C. S. Ku, H. Yuan, "A study of the liquefaction risk potential at Yuanlin, Taiwan", Eng. Geol., Vol. 71, pp. 97-117, 2003. DOI: https://doi.org/10.1016/S0013-7952(03)00128-5 

  10. J. W. Chung, J. D. Rogers, "Simplified method for spatial evaluation of liquefaction potential in the St. Louis area", Journal of Geotech. Geoenviron. Eng., Vol. 137, No. 5, pp. 505-515, 2011. DOI: https://doi.org/10.1061/(ASCE)GT.1943-5606.0000450 

  11. H. B. Seed, I. M. Idriss, "Ground motions and soil liquefaction during earthquake", Earthquake Engineering Research Institute Monograph, Oakland, CA, 1982. 

  12. J. S. Choe, T. J. Ku "A study on mapping of Liquefaction Hazard at a Megalopolis in Korea", International Symposium on Urban Geotechnics, Proceedings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Conference, pp. 25-26, 2009. 

  13. J. M. Lee, D. H. Park, C. E. Baag, "Stochastic prediction of strong ground motions and attenuation equation in the southeastern korean peninsular", Autumn conference of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pp. 70-76, 2000. 

  14. N. D. Jo, C. E. Baag, "Estimation of spectrum decay parameter x and stochastic prediction of strong ground motions in southeastern korea",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Vol. 7, No. 6 pp. 59-70, 2003. DOI: https://doi.org/10.5000/EESK.2003.7.6.059 

  15. I. K. Choi, N. Masato, Y. S. Choun, O. Yasuki, K.-H. Yun, "Study on the earthquake ground motion attenuation characteristics in korea and japan using 2005 Fukuoka earthquake record", Journal of the Earthquake Engineering Society of Korea, Vol. 10, No. 4, pp. 45-54, 2005. DOI: https://doi.org/10.5000/EESK.2006.10.4.045 

  16. S. Midorikawa, Y. Ohtake, "Variance of peak Ground Acceleration and Velocity in Attenuation Relationship", 13th World Conference on Earthquake Engineering, Vancouver, B.C., Canada, Aug. 2004. 

  17. C. G. Munson, "Analysis of the attenuation of strong ground motion on the island of Hawaii", Bulletin of the Seismological Society of America, Vol. 87 No. 4, pp. 945-960. 199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