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본초강목(本草綱目)』을 통해 본 『주역(周易)』의 물상(物象)에 대한 고찰
A Study on Symbols of the Book of Changes Described in the Compendium of Materia Medica 원문보기

한국의사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medical history, v.31 no.1, 2018년, pp.135 - 147  

김민정 (계룡한의원) ,  강연석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nalyzing the Book of Changes, researchers noted that animals and plants utilized as symbols in the Book of Changes were later used as medicinals in East Asian medicine. They found 24 animals and plants utilized as symbols in the Book of Changes; specifically in six statements on the hexagrams and 5...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기 중국의 일반 저술 중 원시적 형태의 본초 정보들도 일부 포함하고 있는것 중에 대표적인 것은? 한편 초기 중국의 일반 저술들은 원시적 형태의 본초 정보들도 일부 포함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詩經』과 『周易』이다. 『시경』은 고대인들에게 자연교과서 같은 역할도 했던 것이 분명2)하며, 『주역』 또한 많은 상징의 제제 범위 가운데 날짐승, 들짐승, 식물 등이 포함되어있다.
고대인들에게 『시경』의 역할은? 한편 초기 중국의 일반 저술들은 원시적 형태의 본초 정보들도 일부 포함하고 있는데, 대표적인 것이 『詩經』과 『周易』이다. 『시경』은 고대인들에게 자연교과서 같은 역할도 했던 것이 분명2)하며, 『주역』 또한 많은 상징의 제제 범위 가운데 날짐승, 들짐승, 식물 등이 포함되어있다.3) 한국의 학사에서는 이러한 『주역』을 활용하여 의서의 분석4), 이론 체계 설명5) 및 학술유파의 활동 구분6)7)과 관련한 연구가 수차례 진행되었다.
주자어류에서 설명한 莧과 陸은 무엇인가? 그러나 주자는 현륙을 마치현이라25) 하기도 하였지만 주자어류 에서는 “莧과 陸은 두 가지 物이다. 莧은 마치현이고 陸은 章陸이니 一名 상육으로 둘 다 음기를 많이 感하는 草이다. 상육은 水腫을 다스리는 약물이며 씨는 홍색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周易 

  2. 詩經 

  3. 詩集傳 

  4. 毛詩序 

  5. 朱子. 朱子語類大全 下. 辛卯入梓嶺營藏版. 서울:曺龍承(百部限定版). 1978. 

  6. 丁學游(朝鮮)編. 詩名多識 1권.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7. 學民文化社 編譯. 周易 附諺解 元. 大田:學民文化社. 1990. 

  8. 學民文化社 編譯. 周易 附諺解 亨. 大田:學民文化社. 1990. 

  9. 學民文化社 編譯. 周易 附諺解 利. 大田:學民文化社. 1990. 

  10. 學民文化社 編譯. 周易 附諺解 貞. 大田:學民文化社. 1990. 

  11. 富山房編輯部 編. 漢文大系 十六卷. 東京(日本):富山房. 1917. 

  12. 富山房編輯部 編. 漢文大系 十二卷. 東京(日本):富山房. 1917. 

  13. 李時珍. 本草綱目. 서울:高文社. 1983. 

  14. 成百曉 譯註. 懸吐完譯 周易傳義 上. 서울:傳統文化硏究會. 1999. 

  15. 成百曉 譯註. 懸吐完譯 周易傳義 下. 서울:傳統文化硏究會. 1998. 

  16. 成百曉 譯註. 懸吐完譯 詩經集傳 上. 서울:傳統文化硏究會. 2003. 

  17. 成百曉 譯註. 懸吐完譯 詩經集傳 下. 서울:傳統文化硏究會. 2004. 

  18. 誠齋 선생 강의 편찬위원회. 주역이해 下. 서울:佺學出版社. 2006. 

  19. 정학유 지음. 허경진, 김형태 옮김. 詩名多識. 파주:도서출판 한길사. 2007. 

  20. 유교경전번역총서 편찬위원회. 시경. 서울:성균관대학출판부. 2015. 

  21. 정병석 역주. 주역 下. 서울:을유문화사. 2015. 

  22. 정상홍 옮김. 시경. 서울:을유문화사. 2016. 

  23. 金碩鎭. 대산주역강해 (2)하경. 서울:대유학당. 2015. 

  24. 쑨잉퀘이, 양이밍 풀이. 박삼수 옮김. 주역. 서울:현암사. 2016. 

  25. 구미숙. 주역의 사유구조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26. 신민교. 臨床本草學. 서울:永林社. 1996:48. 

  27. 안상우. 本草書의 系統과 本草學 發展史. 한국의사학회지. 2005;18(2):39-54. 

  28. 안종수. 시경의 자연관. 哲學硏究. 2002;81:129. 

  29. 엄연석. 주역 상징의리론의 문화생태학적 특성. 대동문화연구. 2008:141-179. 

  30. 엄연석. 정이 易傳의 역학이론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999. 

  31. 윈자옌, 손용훈. 시경에 나타난 식물 소재의 문화적 해석. 韓國傳統造景學會誌. 2014;32(3):96-109. 

  32. 李世東. 朱子 周易本義 硏究.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6. 

  33. 崔在赫. > 상징고찰. 中國語文學誌. 2004;15:1-23. 

  34. 洪承直, 申鉉哲. 시경출현 "一名多種" 식물 고찰. 中語中文學. 2004;35:195-217. 

  35. 김헌, 김남일. 東醫寶鑑의 醫易思想 硏究. 한국의사학회지. 2011;24(2):87-104. 

  36. 김남일. 東醫寶鑑 滋陰論의 醫易學的 해석. 한국의사학회지. 2000;13(2):131-139. 

  37. 김남일. 韓國韓醫學의 學術流派에 關한 試論. 한국의사학회지. 2004;17(2):3-25. 

  38. 이충열. 중국의 중서의회통파에 대한 연구동향과 한국 한의계가 얻을 수 있는 교훈. 한국의사학회지. 2017;30(2):13-3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