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학생의 가치 변화 양상
Changing Aspect of Teacher and Student's Value in Mathematics Instruction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C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v.21 no.3, 2018년, pp.273 - 287  

조수윤 (이화초등학교)

초록

본 연구는 교사와 학생의 가치의 변화 양상을 분석하기 위해 수학학습 가치 설문지를 활용하여 15차시 수업이 진행되는 과정에서 학생들과 교사의 가치를 4차에 걸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치는 개인이 수많은 경험을 거쳐 내면화된 깊이 있는 판단 양식임에도 불구하고 수업이 진행됨에 따라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교사는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를 무조건 강요하기 보다는 학생들이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를 반영하여 자신의 목표를 수정해 나갔다. 수학적 가치의 경우, 합리주의, 객관주의, 미스터리는 교사와 학생이 서로 수렴하였고, 통제는 일관되게 유지되었으며, 개방의 경우 교사와 학생모두 상향 하였다. 수학 교육적 가치의 경우에는 이해, 즐거움, 용어, 적용의 경우 서로 수렴하였고, 성취는 일관되게 유지되었다. 또한 교사는 효과적인 수업으로 나아가기 위해 끊임없이 학생과의 가치에 대해 협상해 가면서 몇 가지 전략을 사용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진정한 의미에서 학습자 중심수업으로 나아가기 위한 한 가지 방안으로 가치가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hanging aspect of teacher and student's value in mathematics instruction. For this purpose, teacher and student's value are analyzed through value questionnaire by four ti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although value are individual's deep deci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생들의 수학학습과 관련된 가치를 고려한 수업이 진행됨에 따라 교사와 학생의 가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 분석한 결과는 어떠한가? 첫째, 가치는 개인이 수많은 경험을 거쳐 내면화된 깊이 있는 판단 양식이긴 하지만 수업이 진행됨에 따라 일정한 정도로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학생들이 수학과 관련해 가지고 있는 가치는 기존 경험을 토대로 구성되었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의미 있는 새로운 수학 학습 경험을 제공했을 경우 기존의 가치 체계가 바뀔 수 있음을 시사한다. 가치를 고려한 교사의 수업 설계 및 관행이 학생들에게 매우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과는 의도적 변인인 가치가 수업의 성패를 결정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가 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한다. 둘째, 대부분의 가치에 대해서 수업이 진행됨에 따라 교사와 학생의 가치가 서로 비슷한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이는 교사의 가치와 학생의 가치가 서로 협상과정을 거치며 한 곳으로 수렴한 결과이다. 교사가 수업에서 강조하려는 분명한 의도가 있는 객관주의나 미스터리 이해, 용어, 적용에서는 학생들이 교사의 가치에 수렴하는 경향이 나타났고, 교사가 다른 가치보다 비교적 덜 중요하게 생각하지만, 학생들이 중요하게 생각한 즐거움, 합리주의와 같은 가치에서는 교사의 가치가 학생의 가치에 수렴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교사는 학생들의 가치를 고려했기 때문에 자신이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를 무조건 강요하기 보다는 학생들이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하는지를 반영하여 자신의 목표를 수정해 나갔다. 학생들의 가치를 적극 반영하는 수업설계는 진정한 의미에서 학습자를 중심에 둔 수업의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다는 의미에서 보다 많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위에서 거론한 것처럼 대부분의 가치가 서로 수렴했지만 가치의 종류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이 다른가치도 있었다. 교사의 의도와는 다르게 학생의 가치가 변화하지 않았던 진보나, 학생들이 강력하게 고수했던 성취의 경우 교사와 학생의 평균 차는 줄어들지 않았다. 수업의 두 주체인 교사와 학생의 강한 의지를 반영한 가치는 수업이 진행됨에 따라서 변화가 크지 않았다. 이는 수학 학습과 관련된 가치가 종류에 따라서 더 고수하고 싶어 하는 위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암시한다. 따라서 가치의 종류에 따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추가 분석할 필요성에 제기 되었다. 넷째, 교사는 효과적인 수업으로 나아가기 위해 끊임없이 학생과의 가치에 대해 협상해 가면서 몇 가지 전략을 사용했다. 교사는 자신이 덜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에 대해서는 학생들의 가치로 자신의 가치를 전환하는 전략을 사용했고, 교사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가 학생 가치와 대립하는 경우에는 자신의 가치를 삽입하는 전략을 활용했다. 그러나 교사는 자신의 가치를 학생들에게 일방적으로 삽입하는 것 보다는 두 가치가 양립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가치범주들은 서로 상반된 것이 아니라 수학 학습을 서로 다른 관점으로 본 것이기 때문에 두 가지 이상 가치를 통합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하다. 예를 들어 문제의 정답을 찾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성취’와 개념을 이해하고 관련짓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해’를 통합할 수 있는 과제를 만들어 이 둘을 동시에 강조할 수 있는 학습활동을 설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정한 절차는 없지만 학생들이 개념의 성질을 바탕으로 정답을 구하는 개방형 과제를 제시한다. 이해를 바탕으로 정답을 구하는 활동을 통해 학생들은 이해가 정답을 찾기 위해 더욱 중요한 요소임을 알게 될 것이다.
신념이란 무엇인가? 신념은 개인의 경험을 통해 만들어진 대상이나 아이디어에 대한 믿음을 의미한다(Ernest, 1989). 신념과 가치는 모두 정의적 영역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일상생활에서 혼용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학자에 따라 신념과 가치를 구분하지 않는 경우도 있고 가치를 신념의 하위분류로 보는 경우도 있다(강미선, 이종희, 2016).
가치는 수학학습에 대해서 어떠한 요인인가? 즉, 가치는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을 아우르는 수학학습에 있어서 중요한 요인이며, 수업의 주체인 교사와 학생의 가치를 바로 아는 것이 효율적인 수학수업의 첫걸음이 될 수 있다. 이런 이유에서 Bishop, Clarkson, Seah 등은 2000년도에 들어와 ‘Values and Mathematics Project(VAMP)’ 시작해 가치가 교사의 수업과 학생들의 학습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기 시작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Kang, M. S., & Lee, G, H. (2016). An Analysis of Recognition in Mathematics Learning Valu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arents. School Mathematics, 18(3), 667-689. 

  2. Kim, S. J, Kim, K, H., & Park, J, H. (2014). The effect of mathematics achievement on changes in mathematics interest and valu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18(3), 683-701. 

  3. Ministry of Education. (1997). Korean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1997-15. 

  4. Kim, B. M. (2012). Instrument Development and Analysis of Secondary Students' Mathematical Beliefs. The journal of E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22(2), 229-259. 

  5. Kim, S. H. (2013). Many-sided Analysis on Korean Students'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Mathematical Learning. School Mathematics, 15(1), 61-75. 

  6. Kim, S. J., Kim, H. K., Kim, S. H., Jin, E. N., Lee, M. J., & A, Y. K. (2012). 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Education Environment Change in Result of TIMSS.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a Report of Research RRE 2012-4-1. 

  7. Pang, J. S., & Cho, S. Y. (2016). An Investigation of What Korean Students Valued with regards to Mathematics and Mathematics Learning: A Study with Sixth and Ninth Graders. Mathematics Education, 55(4), 467-484. 

  8. Cho, S. Y. (2017). Analyzing Values of Students and Teachers in Mathematical Learning and Aspects of Instruction Considering Values.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Cheongju. 

  9. Askew, M., Hodgen, J., Hossain, S., & Bretscher, N. (2010). Values and variables: Mathematics education in high-performing countries. London: Nuffield Foundation. 

  10. Bishop, A. J. (1988). Mathematical enculturation: A cultural perspective on mathematics education.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11. Bishop, A. J. (1999). Educating student teachers about values in mathematics education. In F.-L. Lin (Ed.), Proceedings of the 1999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Vol. 2, pp. 1-6). Taipei, ROC: National Taiwan Normal University. 

  12. Bishop, A. J. (2008). Mathematics Teaching and Values Education - An Intersection in Need of Research. In Clarkson, P., & Presmeg, N. (Eds.), Critical Issues in Mathematics Education (pp. 231-238). Cham, Swizerland: Springer. 

  13. Ernest, P. (1989). The knowledge, beliefs and attitudes of the mathematics teacher: A model. Journal of education for teaching, 15(1), 13-33. 

  14. Hofstede, G. (1997). Cultures and organizations: Software of the mind (Rev. ed.). New York: McGraw-Hill. 

  15. Raths, L. E., Harmin, M., & Simon, S. B. (1987). Selections from 'values and teaching'. In J. P.F. Carbone (Ed.), Value theory and education (pp. 198-214). Malabar, FL, USA: Robert E. Krieger. 

  16. Seah, W. T. (2005). The negotiation of perceived value differences by immigrant teachers of mathematics in Australia.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Monash University, Victoria, Australia. 

  17. Seah, W. T., & Andersson, A. (2015). Valuing Diversity in Mathematics Pedagogy Through the Volitional Nature and Alignment of Values. In Bishop A., Tan H., & Barkatsas T. (eds), Diversity in Mathematics Education(pp 167-183). NY: Springer. 

  18. White, L. A. (1959). The evolution of culture. New York: McGraw-Hil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