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학생들의 수학 문장제 이해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 작용 양상과 교사의 담론 구조
Teacher-student interaction patterns and teacher's discourse structures in understanding mathematical word problem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v.59 no.2, 2020년, pp.101 - 112  

최상호 (고려대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문장제 이해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 작용 양상에 따른 교사의 담론 구조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생들의 참여를 촉진하는 교수법을 다년간 실행해 온 경력교사의 한 학기 수업 중에서 문제 해결 과정을 대표할 수 있는 수업 4차시를 추출하였다. 4차시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 간에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에 대한 일치 여부에 따라 교사 담론의 구조는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 작용 양상에 따라 문장제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을 협의하고 수학적인 의미를 만들어 가는 교사 담론의 구조는 학생들의 수업 참여를 촉진함으로써 문장제 이해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 작용 양상에 따라 학생들의 문제 이해를 위한 교사 담론의 구조를 바탕으로 향후 교사들이 문제 이해를 위해 학생들과 어떻게 소통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론을 제공하였다고 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ructures of teacher's discourse according to the pattern of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understanding mathematical word problem. The structures of teacher's discourse could be conceptualized as a process in which the teacher starts, ...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학생들의 문제 이해를 위한 교사의 역할을 구체화함으로써 문제 이해를 위한 교사 담론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문제 해결을 위해 발문과 권고 등 같은 교사의 역할을 강조한 Polya의 주장에 대해 본 연구에서 교사는 학생들과의 상호 작용 양상에 따라 어떠한 담론의 구조를 가지고 소통해야 하는지를 분석하고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Polya가 주장한 문제 이해를 위한 교사의 역할을 의사소통학적 관점에서 확장하고 구체화함으로써 실제 학생들의 문제 이해를 위한 교수법을 개발하는데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이러한 중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어려움을 겪는 문장제를 이해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사의 담론 구조를 분석하고자 한다(Choi, 2020; Choi et al., 2016b; Kim et al., 2019). 학생들의 문장제 이해를 위한 교사의 역할을 구체화함으로써 문제 이해를 위한 교사 담론 개발에 도움을 주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B. (2018).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problem-solving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22(4), 405-425. 

  2. Baxter, P., & Jack, S. (2008). Qualitative case study methodology: Study design and implementation for novice researchers. The Qualitative Report, 13(4), 544-559. 

  3. Choi, S. (2018). Mathematics teachers' discursive competency.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4. Choi, S. (2020). Interaction patterns between teachers-students and teacher's discourse structures in mathematization processes. The Mathematical Education, 59(1), 17-29. 

  5. Choi, S., Ha, J., & Kim, D. (2016a). A communicational approach to mathematical process appeared in a peer mentoring teaching method.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30(3), 375-392. 

  6. Choi, S., Ha, J., & Kim, D. (2016b). An analysis of student engagement strategy and questioning strategy in a peer mentoring teaching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9(2), 153-176. 

  7. Choi, S., & Kim, D. (2019). A mathematics teacher's discursive competence on the basis of mathematical competencies.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33(3), 377-394. 

  8. Choi, S., Lee, D., & Kim, D. (2017). Teacher-friendly education for process-focused assessment and teacher cognition.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3(2), 1-23. 

  9. Creswell, J. (2015).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translated by Cho, Jeong, Kim, & Kwon). Seoul: Hakjisa(originally published in 2013) 

  10. Hwang, H., Na, G., Choe, S., Park, K., Yim, J., & Seo, D. (2016). Theory of mathematics education. Seoul: moonumsa. 

  11. Ji, C., & Oh, S. (2000). The study on the influence that the understanding degree about the sentence stated math. problems reach the extension of the problem solving capacity.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3(1), 189-200. 

  12. Kang, O., Hwang, S., Kwon, E., Jeong, K., Kim, Y. (2014). Middle school mathematics 1. Seoul: Doosandonga. 

  13. Kim, D., Shin, J., Lee, J., Lim, W., Lee, Y., & Choi, S. (2019). Conceptualizing discursive teaching capacity: A case study of a middle school mathematics teacher. School Mathematics, 21(2), 291-318. 

  14. Lee, J., & Ahn, B. (2013). The effects of writing activities based on Polya's problem solving stages on learning accomplishment and attitudes.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7(1), 87-103. 

  15. Lee, K., & Shin, H. (2009). Exemplary teachers' teaching strategies for teaching word problems.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2(4), 433-452. 

  16. Mehan, H. (1997). Students' interactional competence. In M. Cole, Y. Engestrom, & O. Vasquez(Eds.), Mind, Culture, and activity: Seminal papers from the laboratory of comparative human cognition(pp. 235-240).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Ministry of Education (2015). The second comprehensive plan of mathematics education. Ministry of Education. 

  18. NCTM(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Author. 

  19. Park, H., & Lee, C. (2006). An analysis of similarities that students construct in the process of problem solving.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16(2), 115-138. 

  20. Park, J., Ryu, S., & Lee, J. (2012). The analysis of mathematics error type that appears from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 related to real life.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15(4), 699-718. 

  21. Polya, G. (2008). How to solve it?(translated by Woo, J.). Seoul: Kyowoosa(Originally published in 1954) 

  22. Ra, W., & Paik, S. (2009). Teaching the comprehension of word problems through their mathematical structure in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13(2), 247-268. 

  23. Sfard, A. (1998). On two metaphors for learning and the dangers of choosing just one. Educational Researcher, 27(2), 4-13. 

  24. Sfard, A. (2008). Thinking as communicating.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5. Vygotsky, L. S. (1986). Thought and language. Cambridge, M. A.: MIT Press. 

  26. Wittgenstein, L. (1953/2003).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The German text, with a revised English translation(3rd ed., G. E. M. Anscombe, Trans.). Malden, MA: Blackwell. 

  27. Woo, J., & Jeong, E. (1995). A study on the Polya's mathematical heuristic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5(1), 99-117. 

  28. Wood, T. (1998). Alternative patterns of communication in mathematics classes: Funneling or focusing? H. Steinbring, M. Bussi, & A. Sierpinska(Eds.), Language and communication in the mathematics classroom(pp. 167-178). Reston, VA: NCTM. 

  29. Yin, R. (2005). Case study research(translated by Shin & Seo). Seoul: Hankyungsa(originally published in 200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