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메틸말론산혈증 환자에서 파미드로네이트 치료 1례
Pamidronate therapy for a Patient with Methylmalonic acidemia 원문보기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herited Metabolic Disease, v.18 no.1, 2018년, pp.13 - 17  

조수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 ,  서고훈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 ,  김윤명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 ,  김구환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의학유전학센터) ,  유한욱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 ,  이범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소아청소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메틸말론산혈증은 선천성 유기산대사질환 중 하나로 증상의 발현시기 및 임상 증상이 매우 다양하며, 장기간의 합병증으로 세뇨관 간질 신염과 만성 신기능 저하, 췌장염, 기저핵 손상, 지능저하가 발생 할 수 있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메틸말론산혈증의 세뇨관 간질신염을 동반한 활동저하 환자에서 파미드로네이트 치료를 통해 고칼슘혈증과 골다공증의 호전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ethylmalonic acidemia is an autosomal recessive disorder caused by complete (mut0) or partial (mut-) deficiency of methylmalonyl-CoA mutase (MUT) or by defects in the synthesis of adenosylcobalamin (cblA, cblB, cblD variant 2). Long term complications of methylmalonic acidemia include tubulointer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메틸말론산혈증은 선천성 유기산대사질환 중 하나로 증상의 발현시기 및 임상 증상이 매우 다양하며, 장기 간의 합병증으로 세뇨관 간질 신염과 만성 신기능 저하, 췌장염, 기저핵 손상, 지능저하가 발생 할 수 있다. 연구자들은 이러한 메틸말론산혈증의 세뇨관 간질신염을 동반한 활동저하 환자에서 파미드로네이트 치료를 통해 고칼슘혈증과 골다공증의 호전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이러한 이차성 골다공증환자에서 파미드로네이트 치료가 골밀도 증가, 통증감소와, 골절율 감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6-8). 이에 본 증례는 고칼슘혈증과 이차성 골다공증이 발생한 메틸말론산혈증 환자에서 파미 드로네이트 치료를 통한 임상증상의 개선을 보고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메틸말론산혈증은 어떻게 분류 할 수 있는가? 메틸말론산혈증(Methylmalonic acidemia)은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는 선천성 유전성 대사 질환의 하나로 일부 아미노산과 지방의 대사과정 중 발생하는 대사 산물인 메틸말론산이 succinic acid로 전환되는 과정에 관여하는 methylmalonyl-coenzyme A mutase (MUT)나 adenosyl-cobalamin의 합성효소의 일부 혹은 완전 결핍으로 인해 나타난다. MUT 유전자의 완전 결핍형(mut0)과 부분 결핍형(mut-), adenosyl-cobalamin 유전자(cblA, cblB, cblD variant 2)의 결핍형으로 분류되어 발생 시기 및 임상 증상의 차이를 보인다1). 메틸말론산혈증은 고암모니아혈증, 대사성 산증, 케톤증, 뇌증 등의 급성 합병증 이외에도 세뇨관 간질 신염, 신부전증, 시신경 위축, 망박 변성, 심기능 저하, 기저핵 손상, 지능저하 등 다양한 장기간 주요 합병증을 동반한다2,3).
메틸말론산혈증이란? 메틸말론산혈증(Methylmalonic acidemia)은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는 선천성 유전성 대사 질환의 하나로 일부 아미노산과 지방의 대사과정 중 발생하는 대사 산물인 메틸말론산이 succinic acid로 전환되는 과정에 관여하는 methylmalonyl-coenzyme A mutase (MUT)나 adenosyl-cobalamin의 합성효소의 일부 혹은 완전 결핍으로 인해 나타난다. MUT 유전자의 완전 결핍형(mut0)과 부분 결핍형(mut-), adenosyl-cobalamin 유전자(cblA, cblB, cblD variant 2)의 결핍형으로 분류되어 발생 시기 및 임상 증상의 차이를 보인다1).
메틸말론산혈증의 원인은? 메틸말론산혈증(Methylmalonic acidemia)은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는 선천성 유전성 대사 질환의 하나로 일부 아미노산과 지방의 대사과정 중 발생하는 대사 산물인 메틸말론산이 succinic acid로 전환되는 과정에 관여하는 methylmalonyl-coenzyme A mutase (MUT)나 adenosyl-cobalamin의 합성효소의 일부 혹은 완전 결핍으로 인해 나타난다. MUT 유전자의 완전 결핍형(mut0)과 부분 결핍형(mut-), adenosyl-cobalamin 유전자(cblA, cblB, cblD variant 2)의 결핍형으로 분류되어 발생 시기 및 임상 증상의 차이를 보인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Manoli I, Venditti CP. Methylmalonic acidemia. GeneReviews at GeneTests: Medical Genetics Information Resource (database online): Copyright, University of Washington, Seattle, WA; 1997-2011, updated 2010. 

  2. van der Meer SB, Poggi F, Spada M, Bonnefont JP, Ogier H, Hubert P, et al. Clinical outcome of longterm management of patients with vitamin B12-unresponsive methylmalonic acidemia. J Pediatr 1994;125 (6 Pt 1):903-8. 

  3. Cosson MA, Benoist JF, Touati G, Dechaux M, Royer N, Grandin L, et al. Long-term outcome in methylmalonic aciduria: a series of 30 French patients. Mol Genet Metab 2009;97(3):172-8. 

  4. Horster F, Baumgartner MR, Viardot C, Suormala T, Burgard P, Fowler B, et al. Long-term outcome in methylmalonic acidurias is influenced by the underlying defect (mut0, mut-, cblA, cblB). Pediatr Res 2007;62: 225-30. 

  5. Bianchi ML. Osteoporosis in children and adolescents. Bone 2007;41:486-95. 

  6. Lee JE, Lee HO, Paik KH, Lee SH, Jin DK. Therapeutic efficacy of alendronate for glucocorticoid induced metabolic bone disease in children with nephrotic syndrome. J Korean Soc Pediatr Nephrol 2004;8:33-42. 

  7. Rauch F, Glorieux FH. Bisphosphonate treatment in osteogenesis imperfecta: which drug, for whom, for how long? Annals of Medicine 2005;37:295-302. 

  8. Astrom E, Soderhall S. Beneficial effect of long term intravenous bisphosphonate treatment of osteogenesis imperfecta. Archives of Disease in Childhood 2002; 86:356-64. 

  9. Zwickler T, Haege G. Metabolic decompensation in methylmalonic aciduria: which biochemical parameters are discriminative? J Inherit Metab Dis 2012;35:797-806. 

  10. Walter JH, Michalski A, Wilson WM, Leonard JV, Barratt TM, Dillon MJ. Chronic renal failure in methylmalonic acidaemia. Eur J Pediatr 1989:148:344-8. 

  11. Zsengeller ZK1. Methylmalonic acidemia: a megamitochondrial disorder affecting the kidney. Pediatr Nephrol 2014 Nov;29. 

  12. Rodd C, Goodyer P. Hypercalcemia of the newborn: etiology, evaluation, and management. Pediatr Nephrol 1999;13:542-7. 

  13. Lietman SA, Germain-Lee EL, Levine MA. Hypercalcemia in children and adolescents. Curr Opin Pediatr 2010;22:508-15. 

  14. Bilezikian JP. Management of acute hypercalcemia. N Engl J Med 1992;326:1196-203. 

  15. Rice AM, Rivkees SA. Etidronate therapy for hypercalcemia in subcutaneous fat necrosis of the newborn. J Pediatr 1999;134:349-51. 

  16. Lee JE, Yoon JY, Lee YA, Lim JS, Shin CH, SW Yang. Pamidronate Therap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Secondary Osteoporosis. J Korean Soc Pediatr Endocrinol 2011;16:178-84. 

  17. Bachrach LK, Ward LM. Clinical review 1: bisphosphonate use in childhood osteoporosis. J Clin Endocrinol Metab 2009;94(2):400-9. doi: 10.1210/jc.2008-1531. 

  18. Chilbule SK, Madhuri V. Complications of pamidronate therapy in paediatric osteoporosis. J Child Orthop 2012;6:37-43. 

  19. DiMeglio LA, Peacock M. Two-year clinical trial of oral alendronate versus intravenous pamidronate in children with osteogenesis imperfecta. J Bone Miner Res 2006;21:132-14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