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준공후 아파트 하자 저감을 위한 절차개선 방안 연구
Process Improvements for Reducing Apartment Defects after Completion 원문보기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18 no.4, 2018년, pp.355 - 361  

조영준 (Department of Architecture, Joongbu University)

초록

한국의 주요 주거시설인 아파트에서 많은 하자가 발생하고 있다. 이는 공사관리소홀이나 시공기술부족등에 기인하고 있다. 아파트가 수분양자에게 공급될수록 준공이후 하자는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주택법령에서는 지방정부가 건설회사에 하자보수를 지시할 수 있도록 변경되었다. 그러나 하자가가 발생된 이후 하자가가 해결된다면 수분양자는 하자로 인해 고통을 받기 때문에 근본적인 해결책이라고 보기 어렵다. 그래서 수분양자의 권익을 보호하기 위해 아파트 하자를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아파트분양시 수분양자에 대한 정보의 비대칭성해소, 최종 준공도서의 계약문서화, 감리자의 설계도서 검토기간 확보, 계약변경시 적정 감리대가의 확보, 감리대가 지급절차의 개선, 주택감리용역표준계약서상 감리업무의 조정 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any defects are occurring in apartments, the main residential area in Korea. This is due to a lack of construction skills and a lack of management. As many apartments are provided to buyers, the dispute over defects after completion is increasing rapidly. The Housing Act was amended so that local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공동주택의 하자를 근본적으로 줄일 수 있는 대책이 마련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규정이나 절차상의 문제로 인해 발생하는 입주단계에 공공주택에 발생하는 하자를 줄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사된 공동주택의 하자발생원인과 비율은 어떠한가? 우리나라에서 공동주택은 보편적인 주거생활방식이 되고 있으며, 공동주택에서 많은 하자가 발생하고 있다. Kang and Jang[1]에 따르면 공동주택의 하자발생원인과 비율은 공사관리소홀 39.4%, 시공기술부족 22.5%, 시공감리소홀 19.7% 등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사전예방기능의 부족에 기인하고 있는 것으로 진단하고 있으며, 결국 하자가 있는 공동주택이 수분양자에게 제공될 가능성이 높다. MBC[2]에 의하면 실제로 공동주택인 아파트의 하자보수 분쟁이 6년새 50배가 넘게 증가할 정도로 늘었고, 2017년 10월부터 관할 시도 등 지방자치단체도 하자보수를 명령할 수 있도록 법이 개정되었다.
주택감리와 관련된 하자 절감 방안은 무엇인가? 셋째, 감리자의 최소 설계도서 검토 기간이 확보와 함께 계약미체결권이 부여되어야 하고, 설계변경시 합리적으로 주택감리비가 조정되어야 하며, 제3의 기관에 감리비 예치를 통해 감리자의 독립성을 보장해야 하고, 주택감리 용역표준계약서상에 규정된 주택감리업무 내용중 당사자간 이견이 발생할 수 있는 업무는 표현이 조정되어야 한다.
공동주택관리법상 '하자'는 무엇인가? 이 법 제 36조에 하자담보책임을 기술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공사상 잘못으로 인하여 균열·침하(沈下)·파손·들뜸·누수 등이 발생하여 건축물 또는 시설물의 안전상·기능상 또는 미관상의 지장을 초래할 정도의 결함을 하자로 보고 있다. 아파트의 하자는 사업승인단계부터 준공단계까지 아파트 하자와 관련된 법령은 Figure 2와 같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Kang NJ, Jang SS. A study on the home warranty system. Seoul: Korea Housing Institute(Korea); 2000 Feb. 94 p. Report No.: KHI2000-4. 

  2. A flawed Apartment - No one cares about defects. MBC News [Internet]. 2017 Aug 12 [cited 2018 Mar 15];News Desk:[about 2 p.]. Available from: http://imnews.imbc.com/replay/2017/nwdesk/article/4385073_21408.html. 

  3. 'Crisis' of the New Apartment Quality Management: Kyeonginilbo [Internet]. 2017 Feb 22 [cited 2018 Mar 15]; Construction and Estate:[about 2 p.]. Available from: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20170221010007599. 

  4. Defect dispute in the new apartment has surged 56 times in six years: Yonhapnews [Internet]. 2017 Aug 2[cited 2018 Mar 15];News:[about 2 p.]. Available from:http://www.yonhap news.co.kr/bulletin/2017/08/01/0200000000AKR2017080113 7500061.HTML?input1179m 

  5. Geonchukmul Eui Bunyang E Kwanhan Beobrul(Act on Sale of Building Units). Sejong(Kore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7. No.14934. 4 p. Korea. 

  6. Juteakbeob(Housing Act). Sejong(Kore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6. No.14344. 31 p. Korea. 

  7. Jibhab Geonmul Eui Soyou Mit Kwanri E Kwanhan Beobrul(Act on Ownership and Management of Condominium Building). Sejong(Kore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2016. No.13805. 14 p. Korea. 

  8. Gongdong Juteak Kwanribeob(Multi-Family Housing Management Act). Sejong(Kore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7. No.14793. 24 p. Korean. 

  9. Kim BO. A study on rational defect management plan of apartment houses [Dissertation]. [Busan (Korea)]: DongEui University; 2011. 1 p. 

  10. Lee DH, Im JM. The problems of construction defects under asymmetric information. SH Urban Research & Insight. 2018 Apr;8(1):53-67. 

  11. Kang KI, Seo DS. An analysis study on the initial defects raised in apartment house of korea.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1998 Jun;14(6):137-45. 

  12. Kim DS. A suggestion for minimizing defect disputes in apartment housing.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10 Apr;11(2):26-30. 

  13. Kim OK, Choi JH. Current status and problems of the housing defect dispute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2010 Apr;11(2):11-5. 

  14. Cho YJ. A study on the contractor's liability for the defects in public construction works [Dissertation]. [Seoul (Korea)]: Seoul University; 2002. 144 p. 

  15. Cho YJ. A basic study on the improvement of defect liability of an apartment building.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015;31(2):55-63. 

  16. Choi MS. A Study on the Rationalization of Defects Liability in Construction Work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tructure & Construction. 2003 Jan;19(1):137-45. 

  17. Database of Decision against Defect Repair Money (2012da108234) [Internet]. Seoul(Korea): Supreme Court; 2012[cited 2018 Mar 31]. Available from:http://glaw. scourt.go.kr. 

  18. 18. Database of Decision against Damage Compensation (2012da18762) [Internet]. Seoul(Korea): Supreme Court; 2014[cited 2018 Mar 31]. Available from:http://glaw. scourt.go.kr. 

  19. Juteak eui Seolgyedoseo Jakseongjichim(Guide for Building Design Documents). Sejong(Kore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6. No.721. 41 p. Korea. 

  20. Mingan Geonseol Gongsa Pyojun Dogeob Gyeyakseo(Standard Construction Contract Conditions for Private Sector Project). Sejong (Kore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2015. No.750. 15 p. Korea. 

  21. Juteak Geonseol Gonsa Gamri Yongyeok Pyojun Gyeyakseo(Standard Supervision Service Contract Conditions for Building Construction). Sejong (Korea):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2. No.35. 14 p. Korea. [Internet]. 2012 Aug 29[cited 2018 Mar 15]; Administration Rules: [about Clause 3]. Available from: http://www.molit.go.kr/USR/I0204/m_45/dtl.jsp?gubun&search표준계 약서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