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효율적인 품질관리를 위한 공동주택 하자위험 분석
Assessment of Defect Risks in Apartment Projects based on the Defect Classification Framework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11, 2019년, pp.510 - 519  

장호면 (세명대학교 보건안전공학과(건설안전))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동주택 설계 및 시공단계에서 다양한 하자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안이 모색됨에도 불구하고, 완공 이후 다양한 하자들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공동주택 하자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하자 위험에 대한 패턴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공종/하자보수보증기간/하자위치/하자유형을 고려한 하자분류체계를 설정하고, 세부적인 하자위험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공동주택 하자분쟁사례 133건, 약 15,056개의 하자데이터를 토대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공용부의 RC 공사와 관련된 주요 하자는 균열이며, 균열과 연계되어 있는 누수 및 표면불량 등도 하자위험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다양한 자재가 활용되고, 복합적인 공종이 이루어지는 마감공사의 특성에 따라 상대적으로 하자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하주차장에 대한 방수공사의 경우 오시공이나 미시공과 같이 재시공이 필요한 하자들의 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발생위험이 높은 하자들을 LFHS, LFLS, HFLS 영역으로 구분하여 시공단계, 입주 전단계, 유지관리단계 등에서의 하자대응방안을 모색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set a defect classification framework and evaluate the defect risks in apartment buildings For this, approximately 15,056 defect items for 133 apartment buildings were examin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ajor defect of the RC work was cracks, which were found mai...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자심도는 하자빈도와 마찬가지로 음영으로 표시된 하자항목에 대하여 해당 하자 1건 당 하자비용으로 산출하였다. 또한 하자심도의 경우 사례 규모를 고려하기 위하여 연면적으로 보정하였다. 이렇게 산출된 하자심도는 결국 하자가 발생할 경우 해당 하자의 심각성을 나타내는 가중치의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 본 논문에서는 실제로 발생한 하자분쟁사례의 감정서 자료를 토대로 공동주택 하자에 대하여 하자공종/하자보수보증기간/하자유형/하자위치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다차원 하자분류체계를 도출하고 하자분류체계에 각 항목에 대하여 하자빈도 및 심도를 도출하였다. 도출한 하자 빈도와 하자심도를 토대로 하자위험을 최종적으로 도출 하여 다차원 하자분류체계 각 항목의 하자위험도의 순위를 확인함으로써 하자발생 유형을 조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공동주택 하자분쟁의 손실을 최소화하고 하자관리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하여 다양한 하자에 대한 세부적인 하자위험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논문에서는 실제 하자분쟁이 발생한 133건의 사례에 대한 하자감정서를 통해 약 15,056개 하자데이터를 확보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 이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발생위험이 높은 하자들을 대상으로 빈도와 심도를 기준으로 하자특성을 파악하여 효율적인 하자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먼저 HFLS 영역의 하자들의 경우, 공용부에 외벽에 발생한 균열하자로 나타났다.
  •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하자보수보증기간을 기반으로 하자 종을 정리하고, 해당 하자공종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하자 유형과 더불어 하자위치까지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세부적인 하자위험을 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공동주택 하자관리의 효율성을 높이고 하자분쟁을 최소화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이에 본 논문에서는 하자보수보증기간을 기반으로 하자 종을 정리하고, 해당 하자공종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하자 유형과 더불어 하자위치까지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세부적인 하자위험을 산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자분쟁은 입주자와 주택사업자들 간의 사전협의를 통한 원만한 합의로 해결하기 보다는 어떤 경향을 보이는가? 이에 따라 과거에 비해 공동주택에서 발생한 품질불량 등에 대한 하자분쟁이 증가하고 있다[1]. 이러한 하자분쟁은 입주자와 주택사업자들 간의 사전협의를 통한 원만한 합의로 해결하기 보다는 소송제기를 통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경향을 보여 입주와 주택사업자들 양 측에 정신적, 물질적으로 심각한 피해를 초래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2]. 본질적으로 건설공사는 그 건물의 완성에 장기간의 시일이 필요하며 공사자체가 여러 공종의 다양한 결합으로 복합적으로 이루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건축물의 하자란 무엇인가? 이 중 건축물의 하자란 시공자가 완성한 건축물에 계약대로 이행되지 못한 불완전한 부분과 자재를 공급한 자가 그 계약의 내용대로 이행하지 아니한 자재의 품질, 규격, 기능상의 결함과 그 설치가 불완전한 것을 말한다. 건축물의 근본적인 성능에 대한 하자로는 구조적 하자가 있으며, 이는 기둥, 내력벽, 보, 바닥, 지붕 등의 중요 내력구조부에 발생한 결함으로 건축물이 전도되거나 전도될 우려가 있을 경우에 이른 경우를 말하며, 차음성능이나 단열성능, 내외벽체에 구조적 결함이 없는 균열, 더러움, 창호의 뒤틀림 등 구조적 하자 이외의 하자가 있다.
공동주택에서 발생한 품질불량 등에 대한 하자분쟁이 증가하고 있는 이유는? 최근 국내에서는 토지이용을 고도로 집약하기 위해 널리 보급된 공동주택에 대하여 쾌적하고 합당한 주거환경을 추가적으로 요구하게 되었으며 입주자 의식수준의 향상, 공동주택의 자산가치 증대 등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과거에 비해 공동주택에서 발생한 품질불량 등에 대한 하자분쟁이 증가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B. S. Kim, J. M. Park, J. H. Choi, D. S. Seo, O. K. Kim, "Comparative Analysis on Repairing Cost of Lawsuit on Concrete Crack Defect in Apartment Building",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12, No.6, pp.142-150, Nov. 2011. DOI: https://dx.doi.org/10.6106/KJCEM.2011.12.6.142 

  2. D. S. Seo, K. R. Cho, "A Study on the Direction of Defect lawsuit Solutions on Apartment Buildings from Resident's Respect",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24, No.6, pp.119-126, Jun. 2008. 

  3. D. S. Seo, S. K. Um, "A Study on Types and Problems of Defect lawsuit on Apartment Buildings", KIEAE Journal, Vol.7, No.6, pp.127-132, Dec. 2007. 

  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defect dispute Information system [Internet]. Available From: http://59.7.251.35/com/mainFrame.do. (accessed Oct. 18, 2019) 

  5. D. S. Seo, J. H. Choi, O. K. Kim, K. W. Park, J. H. Cho, J. M. Park, K. H. Kim, "A Study on use state of Defect Deposit based on Actual use data",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ol.10, No.2, pp.81-88, Apr. 2010. 

  6. D. S. Ko, J. H. Kim, S. Y. Lee, "An Analytic Study of Defect Occurrence Properties and Repair Cost in Apartment Building",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Vol.8, No.1, pp.75-82, Feb. 2006. 

  7. J. E. Lee, B. Y. Kim, B. J. Jeong, "Analysis of Defect Repair Cost by Work Type based on Defect Inspection of Apartment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Vol.15, No.5, pp.491-500, Oct. 2015. DOI: https://dx.doi.org/10.5345/JKIBC.2015.15.5.491 

  8. D. H. Kim, The Priority Analysis of Defect Type Through Tenant Preliminary Research in Apartment House,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Korea, pp.1-2, 2016. 

  9. H. M. Jang, "Assessment of Defect Risks in Apartment projects based on the Defect Classification Framework", Journal of Academia-Industrial Technology, Vol.19, No.3, pp.61-68, Mar. 2018. DOI: https://doi.org/10.5762/KAIS.2018.19.3.61 

  10. S. H. Kim, J. J. Kim, "Analysis of Defect Risk by Work Types based on Warranty Liability Period in Apartment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ol.19, No.4, pp.34-42, Jul. 2018. DOI: https://dx.doi.org/10.6106/KJCEM.2018.19.4.034 

  11. S. H. Lee, J. J. Kim, S. H. Lee, "Evaluating Importance of Defects through Defect Dispute Case Study in Apartment Buildings", Journal of Academia-Industrial Technology, Vol.20, No.3, pp.56-64, Mar. 2019. DOI: https://dx.doi.org/10.5762/KAIS.2019.20.3.5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