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항 콘크리트와 아스팔트 포장 간의 접속 방법 개발
Development of a Junction between Airport Concrete and Asphalt Pavements 원문보기

한국도로학회논문집 = International journal of highway engineering, v.20 no.4 = no.90, 2018년, pp.15 - 20  

박해원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김동혁 (인하대학교 토목공학과) ,  정진훈 (인하대학교 사회인프라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magnitude of shoving of asphalt pavement by junction type between airport concrete and asphalt pavements, and to suggest a junction type to reduce shoving. METHODS : The actual pavement junction of a domestic airport, which is called airport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결과적으로 ‘A’공항 포장 접속부의 buried slab의 크기와 설치 깊이를 약간 조절하는 수준으로도 쇼빙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공항의 콘크리트 포장과 아스팔트 포장의 접속부에 발생하는 쇼빙을 줄이기 위해서 UFC 표준단면을 차용한 국내 민간공항 ‘A’공항의 포장 접속부 설계의 수정방안을 제시하였다. 다만 콘크리트 슬래브가 팽창하여 아스팔트 포장을 밀어낼 때 발생하는 쇼빙의 정도를 포장 접속부 형식에 따라 비교한 결과이므로 추후 항공기 하중에 의한 단차 발생 비교해석을 추가로 실시하여 최적의 포장 접속부 단면을 제시할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포장과 아스팔트 포장 접속부 인근에서 발생가능한 쇼빙을 저감할 수 있는 접속부 단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쇼빙 저감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국내 ‘A’공항의 실제 포장 접속부 단면과 포장 접속부 수정제안 단면 그리고 아직 국내 적용 사례가 없는 FAA의 포장 접속부 표준단면에 대해서 콘크리트 포장부 팽창에 따른 아스팔트 포장부의 쇼빙 발생 정도를 유한요소해석으로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공항 포장의 설계기준이 되는 것은 무엇인가? 국내 민간공항의 포장은 일반적으로 미국 FAA(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의 설계법에 기반하여 설계되어 왔으며 군공항의 경우 미국 UFC(Unified Facilities Criteria)의 기준에 따라 설계되어 왔다. 이들 설계기준 가운데 UFC의 3-260-02Pavement Design for Airfields(UFC, 2001)에서 군 공항, 민간공항 그리고 교통량이 적은 공항을 대상으로 총 3가지의 아스팔트 포장과 콘크리트 포장의 접속부설계단면을 먼저 제시하였다.
국내 공항의 활주로 포장은 어떻게 이루어져 있나? 국내 공항의 활주로는 대부분 아스팔트 포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항공기가 이착륙하는 일부 구간만 콘크리트 포장으로 이루어진 경우가 일반적이다. 이러한 활주로 포장의 특성상 콘크리트 포장과 아스팔트 포장이 만나는 접속부 인근에서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콘크리트 포장의 특징과 이에 따라 아스팔트 포장에 미치는 영향은? 이러한 활주로 포장의 특성상 콘크리트 포장과 아스팔트 포장이 만나는 접속부 인근에서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콘크리트 포장은 아스팔트 포장보다 강성이 상대적으로 매우 크며, 온도나 재료적 특성에 의한 콘크리트 포장부가 팽창하여 아스팔트 포장부가 밀려가는 쇼빙(shoving)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아스팔트 표층부가 솟아오르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Table 1은 미공병단에서 제시하고 있는 쇼빙의 심각도 구분기준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Choi, J. H., Seo, Y. G., Suh, Y. C. (2009). Validation of Permanent Deformation Model for Flexible Pavement using Accelerated Pavement Testin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29(4D), pp.491-497. 

  2. FAA (1995). AC 150/5320-6D - Airport Pavement Design and Evaluation,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Washington DC, USA. 

  3. FAA (2016). AC 150/5320-6F - Airport Pavement Design and Evaluation, Federal Aviation Administration,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Washington DC, USA. 

  4. MOCT (2000). Hand book of Road Design, Ministry of Construction and Transportation, Korea. 

  5. MOLTMA (2011). Road Pavement Integration Guidelines, Ministry of Land, Transport and Maritime Affairs, Korea. 

  6. Park, M. G. (2009). A Study on Friction between Slab and Different Types of Base of Concrete Pavement, Master Thesis, Inha University, Korea. 

  7. UFC (2001). UFC 3-260-02 Pavement design for Airfields, Unified Facilities Criteria, National Institute of Building Sciences, Washington DC, USA. 

  8. USACE (2009). $Paver^{TM}$ Distress Identification Manual - Asphalt Surfaced Airfields, U.S. Army Corps of Engineers, Washington DC, USA. 

  9. Zollinger, D. G., Cho, B. H., Won, M., & Wimsatt, A. J. (2012). Subbase and Subgrade Performance Investigation and Design Guidelines for Concrete Pavement, Final Report, No. FHWA/TX-12/0-6037-2, Research and Technology Implementation Office, Texa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Texas, U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